한국어 학습자의 암시적·명시적 지식 측정을 위한 과제 타당화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asks measuring implicit and explicit knowledge of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on the basis of theory and practice of the implicit learning paradigm in the field of cognitive psychology....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asks measuring implicit and explicit knowledge of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on the basis of theory and practice of the implicit learning paradigm in the field of cognitive psychology. Although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mechanisms and products of implicit and explicit learning in the field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little is still known about how implicit and explicit learning works and what role it plays in SLA. For better understanding of implicit and explicit processes of SLA, instruments are needed that can measure the resulting knowledge and the conscious status of it: Whether the learned knowledge is implicit or explicit.
In order to develop and validate tasks measuring implicit and explicit KSL knowledge,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issues: (1) whether a subjective threshold approach (Cheesman & Merikle, 1984) can be successfully applied to dissociating implicit and explicit second language (L2) knowledge in the natural language context; (2) whether the tasks devised to measure implicit or explicit KSL knowledge really tap into implicit or explicit knowledge about KSL target structures (structural knowledge) (Dienes & Scott, 2005); and (3) whether the self-paced reading technique can be effectively used to capture implicit KSL knowledge indirectly in both aural and visual conditions.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provided by psychological and SLA research into implicit learning and measurement of the resulting knowledge, four tasks were developed to measure implicit or explicit L2 knowledge of KSL learners independently: (1) a dual-task condition task designed to elicit implicit L2 knowledge, (2) a single-task condition task and (3) a syntactic priming condition task designed to tap into explicit L2 knowledge, and (4) a post-decision wagering condition task designed to non-introspectively measure awareness of L2 knowledge. Each of the tasks consisted of an integrated combination of objective knowledge measures to assess KSL learners’ knowledge of target structures (i.e., Korean markers of tense and aspect) and subjective awareness measures to assess the conscious status of KSL learners’ acquired knowledge.
The data on L2 knowledge and awareness of knowing it was collated from thirty adult learners of Korean whose L2 proficiency ranged from intermediate to advanced levels, and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subjective threshold approach using a variety of techniques (e.g., guessing criterion, zero correlation criterion, signal detection theory, and calibration methods) proposed by cognitive psychologists attempting to dissociate implicit and explicit knowledge which might be entangled in the test results. As a result,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tests designed to assess implicit L2 knowledge (i.e., the dual-task condition task) measured implicit L2 knowledge while the test devised to assess explicit L2 knowledge (i.e., the single-task condition task and the syntactic priming condition task) measured explicit knowledge. In addition, the intuitive use of the post-decision wagering technique by KSL participants supported the claim that the post-decision wagering technique can effectively assess the conscious status of L2 knowledge as a non-introspective awareness measure without making them reflect their judgment about the consciousness state.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on trial-by-trial structural knowledge attributions ed by KSL participants, it was found that the implicit and explicit L2 knowledge tests successfully elicited implicit and explicit structural knowledge about L2 target morpho-syntactic rules as intended. Finally, results of an analysis of KSL learners’ response time on grammatical violation of the target markers made sure that the self-paced reading method may have promise as an attractive indirect measure of implicit L2 knowledge when the items were presented in the auditory form. The aforementioned empirical evidences imply not only that the developed implicit and explicit KSL tasks are valid instruments that can be utilized to validly infer implicit and explicit L2 knowledge of KSL learners, but also that the data interpretation based on the subjective threshold approach can contribute to effectively dissociating implicit and explicit L2 knowledge.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oposed as well.

제2언어 습득 학계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암시적 학습과 명시적 학습이 제2언어 지식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 많은 관심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들이 어떤 ...

제2언어 습득 학계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암시적 학습과 명시적 학습이 제2언어 지식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 많은 관심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들이 어떤 원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제2언어 습득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그리 많은 것이 알려져 있지 않다. 제2언어 습득의 암시적·명시적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암시적·명시적 학습을 통해 습득된 지식을 평가하고 지식에 대한 학습자의 자각을 측정하는 절차와 그를 위한 도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암시적·명시적 지식의 인지심리학적 구인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암시적·명시적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과제들은 아직까지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인지심리학적 이론과 방법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암시적·명시적 문법지식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과제들을 개발,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서는 제2언어 습득과 인지심리학 분야의 이론적, 경험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암시적 문법지식 측정 과제(이중과제 조건 문법성 판단 과제)와 명시적 문법지식 측정 과제(단일과제 조건 문법성 판단 과제, 통사적 점화 조건 문법성 판단 과제) 그리고 비성찰적 자각측정 기법을 활용한 판단 후 내기하기 조건 문법성 판단 과제를 개발했다. 이들 과제는 목표구조(시제와 상 표지)에 대한 학습자의 지식을 측정하는 객관적 지식측정 과제와 목표구조 지식에 대한 자각을 측정하는 주관적 지식측정 과제가 결합된 형태로 설계되었다. 그리고 30명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암시적 제2언어 문법지식 측정을 위해 설계된 이중과제 조건 문법성 판단 과제, 명시적 제2언어 문법지식 측정을 위해 설계된 단일과제 조건 문법성 판단 과제 및 통사적 점화 조건 문법성 판단 과제 그리고 비성찰적 자각측정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된 판단 후 내기하기 조건 문법성 판단 과제가 과연 과제의 구인대로 학습자의 암시적·명시적 문법지식을 타당하게 측정하고 있는지를 검증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암시적·명시적 제2언어 문법지식 측정 과제들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암시적 지식과 명시적 지식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인지심리학 분야의 암시적 학습 패러다임 연구들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주관적 분기점 준거 분석 기법(예를 들면, 영상관준거, 추측준거, 신호탐지이론, 척도화 점수 등)을 사용했다. 아울러 학습자가 지닌 암시적·명시적 제2언어 지식에 대한 좀더 심도 깊은 이해를 위해 제2언어 지식의 층위를 판단지식(주어진 제2언어 입력에 문법적 오류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지식)과 구조지식(주어진 입력을 구성하는 제2언어 구조에 대한 지식)으로 구분했다. 그리고 학습자의 암시적 제2언어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설계된 과제가 목표규칙에 대한 암시적 구조지식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지 그리고 명시적 제2언어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설계된 과제가 목표규칙에 대한 명시적 구조지식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학습자에게 판단에 사용된 근거를 보고하도록 하고, 판단근거별 사용 비율을 분석했다. 더불어, 자가 속도조절 읽기 기법이 학습자의 암시적 제2언어 문법 이해지식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를 듣기 조건과 읽기 조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습자들의 자각측정 자료와 수행측정 자료를 바탕으로 주관적 분기점 준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단일과제 조건 및 통사적 점화 조건 문법성 판단 과제는 과제의 구인대로 학습자의 명시적 판단지식과 명시적 구조지식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중과제 조건 문법성 판단 과제는 과제의 구인에 맞게 암시적 구조지식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주관적 분기점 준거 분석이 인공문법뿐만 아니라 제2언어에 대한 암시적·명시적 지식을 분리하는 데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비성찰적 자각측정 방법인 판단 후 내기하기 기법은 학습자 스스로 자각의 정도를 판단하도록 요구하지 않고도 학습자의 자각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그리고 명시적 지식 측정 과제는 과제의 구인에 맞게 명시적 구조지식의 사용을 암시적 구조지식의 사용보다 훨씬 더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한편, 암시적 지식 측정 과제는 암시적 구조지식과 명시적 구조지식을 비슷한 비율로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암시적·명시적 제2언어 문법지식 측정 과제는 학습자의 암시적·명시적 제2언어 문법지식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내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끝으로, 간접적 지식측정 도구인 자가 속도조절 읽기 기법이 학습자의 암시적 제2언어 문법 이해지식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지 살펴본 결과, 입력이 문자로 제시되는 환경보다 음성으로 제공되는 환경에서 암시적 제2언어 문법 이해지식을 훨씬 더 효과적으로 포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