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유학생의 효능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광주광역시 거주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returning to China and to the future of China. Students planning to study abroad worry about how well they can adapt and maintain to studying environment abroad and to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returning to China and to the future of China. Students planning to study abroad worry about how well they can adapt and maintain to studying environment abroad and to study well in their satisfaction. Next, they expect to have well developed high self-efficacy formed between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n order to have satisfying lives abroad. High self-efficacy will cause better living satisfaction, which in turn will cause a successful study abroad.
To this end, 150 Chinese students residing in Gwangju are selected for surveying and 141 questionnaires are returned through the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126 questionnaires a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As a tool to collect data, the survey on self-efficacy questionnaire developed by Hong Heyeong (1995) is u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impact of self-efficacy of Chinese studen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correlat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 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21 for Window and AMOS21 are used as a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and T test with 5% significance level is performed.
With the collected data as mentioned above are analyzed for the sutdy purposes and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it is reviewed if the impact of self-efficacy of Chinese students on the life satisfaction differ depending in genders. General self-efficacy does not differ depending on genders, however, the average gender difference of the social self-efficacy may b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is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ders. There is no difference in gender for the support system satisfaction. The gender difference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seems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 it is examined if main configuration concepts, age, length of stay, Korean skills, or part-time working experience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General self-efficacy is correlated within 0.1% of the social self-efficacy and the social self-efficacy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upport system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life satisfaction also has correlation with the support system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support system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Third, as the result of the hypothesis validation, hypotheses 1 and 4 are determined to be rejected. The result of hypothesis 2 h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Sim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hypothesis 3 is done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general self-efficacy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result shows it does have an impact in significant level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Hypotheses 5 and 6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본 연구목적은 먼저 해외에 유학하고 있는 중국 학생들이 현지에 잘 적응하여 훌륭히 공부를 마치고 귀국하게 되면 학생 본인들의 장래를 위해서도 바람직하고 또한 중국의 장래를 위해서...

본 연구목적은 먼저 해외에 유학하고 있는 중국 학생들이 현지에 잘 적응하여 훌륭히 공부를 마치고 귀국하게 되면 학생 본인들의 장래를 위해서도 바람직하고 또한 중국의 장래를 위해서도 좋은 일이다. 공부를 잘 하려면 학생들이 유학하는 현지 생활에 적응하여 어느 정도 만족스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둘째, 현지 생활에 만족하려면 유학을 떠나기 이전에 학생과 부모 및 교사 등과의 관계에서 형성된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이 높게 잘 발달돼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생활만족도도 높을 것 같고, 생활만족도가 높으면 유학생활을 성공적으로 마치게 될 가능성도 높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서 사는 중국인 유학생으로 설정하고 단순무선 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총 150매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41부를 회수하였다. 최종 126매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는 홍혜영(1995)에 자기효능감에 실태 조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중국유학생의 효능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통계분석 패키지로SPSS21 Window용과 AMOS21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빈도분석, T검증, 분산분석을 사용할 것이며 T검증을 이용하여 5%의 유의수준에서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유학생의 효능감이 생활만족도의 평균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검토해보기로 한다.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남녀의 차이가 없다.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남녀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볼 수 있다. 생활만족도는 남녀 간 평균의 차이가 있다. 지원제도만족도는 남녀 간 평균의 차이가 없다. 교육만족도는 남녀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고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 구성개념 및 나이, 체류기간, 한국어능력, 그리고 아르바이트기간 등은 상호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본다.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0.1%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하고,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지원제도 및 교육만족도와 의미 있는 상관을 보인다. 생활만족도 역시 지원제도와 교육만족도에 의미 있는 상관을 보인다. 그리고 지원제도는 교육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인다.
셋째, 가설검증 결과 보면 가설1과 가설4 기각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었다. 가설2는 결과하면 통계적으로 의미 있다. 가설3는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에서 영향력이 있어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5과 가설6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