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의 시간 표현 중에서 과거시간을 나타내는 시간명사와 시간부사의 의미와 통사적 특성을 분석했다. 동시에 한중 언어의 대응관계를 제시하고 아울러 중국인 학습자...
이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의 시간 표현 중에서 과거시간을 나타내는 시간명사와 시간부사의 의미와 통사적 특성을 분석했다. 동시에 한중 언어의 대응관계를 제시하고 아울러 중국인 학습자들이 과거를 나타나는 시간부사 사용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유형화하고 오류원인을 밝히고 중국인 학습자들에 알맞은 시간부사 교육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시간부사 습득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선행연구에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에 대한 연구에 비해 시간부사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리고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은 문법적 측면에서 시제어미와 중국어 상과 시제표현 대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간부사 증에서 과거시간을 나타내는 부사만 선택하여 논의하였다. 중국어에서 시간표현은 시간명사와 시간부사 두 범주로 나뉘는데 한국 어에서 시간명사는 모두 시간부사 범주에 통합시킨 것을 지적하고 한국어 시간부사에 대응되는 중국어 시간부사만 논의하였다. 논의에서 이런 부사들의 의미론적 특성과 통사론적 특성, 그리고 대응관계를 기술 하고 이를 바탕으로 두 대학(연변대학, 연변과학기술대학)의 1,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간부사의 사용실태를 조사하고 오류유형과 오류원인을 제시했다. 한중 시간부사의 의미론적 특성에서는 과거시간을 나타내는 부사 "벌써, 이미, 방금, 아까"와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부사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통사론적 특성에서 "아까"는 명사와 부사의 기능을 다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 조사의 이 있음을 지적했다. ("벌써까지*, 이미까지*"), 또 "방금"도 명사와 부사의 기능을 다 갖고 있지만 "아까"보다는 제약이 많다. "방금"은 "까지"와의 결합은 자연스럽 지만 "부터"(*방금부터)와의 결합은 자연스럽지 못함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 부사들이 담당하는 기능과 문장에서의 수식기능 즉 부사 "벌써", "이미"가 용언 외에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을 기술하였다. 중국어 시간부사는 주로 "벌써, 이미, 아까, 방금"과 대조하여 이에 대응되는 현상을 살펴 그 특성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시간부사 사용을 문장과 담화 그리고 번역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실험하여 학습자들의 수준별로 오류를 분석하였다. 오류원인에서 언어간 간섭을 제기했는데 시간부사 학습에서 중국어 시간명사에 대응되는 부사는 전이가 된다. 통계에서“이미”는 중국어에서 "已经"으로 표기되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중국어의 도움으로 쉽게 기억하고 습득한다. 이에 반하여 다의어 "방금"이나 "벌써"등은 모국어의 간섭으로 인하여 오류를 발생한다. 언어내 간섭은 시간부사의 유의어 의미혼용을 제시하였다. 즉 먼 과거를 나타내는 시간부사 “벌써 ”와 “이미”, 가까운 과거 시간을 나타내는 “아까”와 직전과거를 나타는 “방금”은 그 사용에서 겹치는 부분도 있고 대체할 수 없는 경 우도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결합에 제약이 없으나 "벌써"와 "이미" 는 "부터"외에 조사의 결합에 제약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