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자료에 나타난 학습자의 어휘적 특성이 각 수준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는 중간 언어적 입장에서 중국인 학습자가 제2...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자료에 나타난 학습자의 어휘적 특성이 각 수준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는 중간 언어적 입장에서 중국인 학습자가 제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습득 과정 중에 일어나는 어휘적 특성을 분석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에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어휘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 연구의 대부분이 학습자의 어휘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연구자의 시각에서 판단하여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학습자의 특성에 적절한 어휘 교수 및 방법들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간 언어적인 입장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자료에 나타난 어휘적 특성이 각 수준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한국어 수업시간에 쓴 초․중․고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을 수집하여 여기에서 나타난 어휘적 양상을 품사별 특징과 어종별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본 후 어휘 오류의 유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품사별 특징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품사별로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수준별 어휘 다양도(Type-Token Ratio : TTR)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어휘 사용 능력을 살펴보았다. 어휘 다양도(TTR)을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품사별 특징을 살펴본 결과 학습자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좀 더 다양하고 많은 어휘를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어종별 특징에서는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 혼종어로 나누어 사용 비율을 살펴보았다. 한자어와 고유어의 사용 비율은 학습자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사용 비율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고유어의 사용 비율은 학습자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사용 비율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오류를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범하는 오류의 유형들이 어떠한 것인지를 알 수 있었다. 특히 모국어 영향으로 인한 오류 중 중국식 표현이나 전략에 의한 오류 중 신조어 전략과 같은 독특한 오류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을 통해 나타난 어휘적 특성을 중간 언어적 입장에서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나타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수준별로 보이는 어휘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학습자들이 격을 수 있는 어려움을 미리 예상하여 학습자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며 학습자들이 목표어 수준으로 더 가까이 갈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lex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found in their composition data appear by each level. This aims to build a basic data for teaching vocabulary to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by a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lex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found in their composition data appear by each level. This aims to build a basic data for teaching vocabulary to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by analyzing lexical characteristic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from the point of view of interlanguage. Currently, while studies on vocabulary area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carried out actively, we viewed that they have limitations in that most of them are judged and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ers without taking learners' lexical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Therefore, we have felt it is necessary to teach proper vocabulary suited to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seek proper methods of teaching and according to this need the present study analyzed how lex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found in their composition data appear by each level from the viewpoint of interlanguage.
For the current study, we investigated types of vocabulary errors as well after examining dividing lexical features into characteristics by parts of speech and characteristics by word types found in them collecting writings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which were written in Korean language class at the beginner’s level and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In order to examine what characteristics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have by parts of speech in characteristics of word class we investigated their ability of using vocabulary employing vocabulary diversity by levels found in their writings(Type-Token Ratio : TTR). The results of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by parts of speech through vocabulary diversity(TTR) indicate that the higher learners' level becomes, the more diverse and the more words they use.
Next, for characteristics by word types we examined the ratio of use dividing words into Sino-Korean words, native words, loan words, and mixed words. It was observed that the ratio of use of Sino-Korean words and native words becomes increasing as the learners' levels get higher and higher, and that the ratio of use of native words becomes decreasing as the learners' levels get higher and higher.
Finally, we investigated errors by types, which indicates what error types are made by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In particular, we could identify the existence of unique errors such as strategy of new words out of errors resulted from Chinese style expressions or strategy among errors arising from the influence of native tongue.
The current study analyzed lexical characteristics occurring through composition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from the point of view of interlanguage. We expect that it will help learners approach Korean closer to the level of their mother tongue by predicting in advance difficulties learners may experience in education of Korean vocabulary based on lexical characteristics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show by their levels and by minimizing their problem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