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 외국인의 유창성 특성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언어권과 언어능력에 따른 한국학습 외국인의 구어, 읽기, 쓰기 속도와 오류 및 비유창성 빈도와 유형을 알아보았다. 언어권에 따른 구어, 읽기, 쓰기 속도와 오류 및 비유창...

본 연구는 언어권과 언어능력에 따른 한국학습 외국인의 구어, 읽기, 쓰기 속도와 오류 및 비유창성 빈도와 유형을 알아보았다.
언어권에 따른 구어, 읽기, 쓰기 속도와 오류 및 비유창성 유형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구어, 읽기, 쓰기의 오류 및 비유창성 유형을 알아본 결과, 구어 비유창성 중 다음절단어반복/구반복에서 중국어와 영어권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언어능력에 따른 구어, 읽기, 쓰기 속도를 살펴 본 결과, 읽기 속도에서 초급과 중/고급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쓰기 속도에서 초급과 고급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 간의 구어, 읽기, 쓰기 오류 및 비유창성 유형의 빈도를 살펴본 결과, 쓰기 오류빈도에서 초급과 고급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 간 구어, 읽기, 쓰기 오류 및 비유창성 유형을 비교한 결과, 읽기 비유창성 유형 중 구/다음절반복이 초급과 고급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났으며 쓰기 오류 중 대치에서 초급과 고급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언어권 및 언어능력에 따라 구어, 읽기, 쓰기유창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어 학습 외국인의 유창성은 언어권보다 언어능력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언어능력이 높아짐에 따라 읽기와 쓰기 속도가 높아지며 쓰기 오류 빈도가 감소하며 읽기에서 구/다음절반복이 감소하고 쓰기에서 대치 오류가 감소하였다. 외국인의 삽입 및 다음절단어반복/구반복 유형은 외국인이 다음에 이어질 단어회상 및 단어 찾기의 어려움으로 생각해 내는 시간을 벌기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사용하는 것이며 읽기와 쓰기가 구어 보다 언어능력에 더욱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한국어 학습 외국인의 유창성 특성에 대한 본 연구결과가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및 다문화가정 부모와 아동, 중도 입국자, 재외 동포 등의 의사소통 특성을 예측하고 그들의 전반적 의사소통 능력 및 유창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by non-Koreans has increased.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language fluency characteristics of native Chinese and English speakers in relation to their native language and Korean proficiency level. Parti...

In recent years,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by non-Koreans has increased.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language fluency characteristics of native Chinese and English speakers in relation to their native language and Korean proficiency level. Participants were evaluated for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rates, as well as for frequency of errors and speech disfluencies and types of errors and speech disfluencies. Results revealed that proficiency level has a stronger influence than native language on Korean learners’ fluency characteristics. Also of particular interest was the presence of interjection and repetition disfluencies for all proficiency levels during speaking tasks. The prevalence of these time-earning devices suggests that proficiency level has a stronger positive effect on reading and writing than on speaking. Looking forward,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an have predictive value for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regardless of background, and can ultimately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ffecting improvements in the general communication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