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권 한국어 교재의 慣用型 단계화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惯用型作为韩语的一个特殊的语法形式,通过词汇、语尾、助词等的搭配组合,来表达固定的意义,在韩语教材中也作为独立的语法项目来进行说明。本论文以中国出版的韩语教材为探讨对...

惯用型作为韩语的一个特殊的语法形式,通过词汇、语尾、助词等的搭配组合,来表达固定的意义,在韩语教材中也作为独立的语法项目来进行说明。本论文以中国出版的韩语教材为探讨对象,韩语毕业论文,略论了各教材内惯用型的分布及排列顺序,并尝试对整理出的惯用型目录进行等级划分,以便方便教学。
首先第一章序论部分介绍了探讨对象、必要性以及探讨措施,并对先行探讨进行了分类整理,特别是分别从韩国语教育和国语学两个侧面,以语法的选择和排列为主进行了归纳。
第二章作为理论基础,具体阐述了中韩学者对于惯用型的概念、范畴及分类标准的不同观点。同时重新定义了中国出版的韩语教材中惯用型的概念和特征。本论文所探讨的惯用型是指:两个或以上的语法素和词汇素紧密结合作为一个整体来表达特定意义的复合形态。同时根据语法素和词汇素的结合方式将惯用型分为词尾-体言,词尾-用言,助词-体言,助词-用言四个种类。
第三章首先概况了中国的韩语教育及教材开发的背景,中国的韩语教育大致可分为启蒙期,准备期,上升期四个阶段。本论文以此为基础在上升期开发的教材中选择了中国大学韩语专业广泛使用的六套精读教材,并略论了其在语法记叙上的差异。最后根据第二章的惯用型定义,整理了各教材中的惯用型的分布,韩语论文,最后选定了181个惯用型并生成了目录。
第四章则通过客观的计量措施,综合了频度和难易度,选用适当的标准为第三章整理的惯用型打分。本论文中选定的基准主要有三个:一是国立国语院所发布的国际通用标准模型中的等级,二是白峰子在2006年修订的《韩语语法词典》中所列举的等级,三为韩国语学堂使用的教材。将这三个标准分别打分,最后将分数相加把惯用型分为初、中、高三个等级。
第五章则根据形态和韩国语法词典的出现频度,对第四章的结果进行了进一步的系统归类,最后总结了各个等级中惯用型的分类和数量。
本论文通过对中国的韩语教材内惯用型的等级探讨,力求使教师及学习者更容易把握利用惯用型的整体形态,顺利进行韩语教学作业,并对韩语教材的编写有所帮助。

본고에서는 중국에서 한국어를 전공으로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교재의 문법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중국어권 한국어 교재 6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교육용 慣用型을 선정하였고, ...

본고에서는 중국에서 한국어를 전공으로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문법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중국어권 한국어 교재 6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교육용 慣用型을 선정하였고, 그것을 초급, 중급, 고급별로 단계화하고자 시도하였다.
먼저 1장에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그리고 앞선 선행연구를 살펴보며 연구의 준비 작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국어학과 한국어교육 부문에서 진행된 慣用型에 대한 연구, 그리고 문법 항목의 설정과 단계화에 대한 연구 위주로 살펴보았다.
또 2장에서 지금까지 논의된 慣用型의 개념 및 설정, 그리고 유형화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고 본고에서 다루게 되는 慣用型의 개념과 유형화 원리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慣用型을 두 개 이상의 문법요소와 어휘요소가 긴밀하게 결합하여 특정한 문법적 기능과 의미를 표출하는 복합체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慣用型을 형태적으로 문법요소와 어휘요소의 결합방식에 따라 어미 선행 慣用型과 조사 선행 慣用型으로 분류하였고, 어미 선행 慣用型은 다시 어미-체언 慣用型과 어미-용언 慣用型, 조사 선행 慣用型은 조사-체언 慣用型과 조사-용언 慣用型으로 재분류할 수 있다고 밝혔다.
3장에서는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실태와 교재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크게 태동기, 준비기, 도약기, 상승기 등과 같이 시기별로 중국어권 한국어 교재의 발전 흐름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국어권 한국어교육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6종 교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 각 교재에 실려 있는 慣用型을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를 제시하고 교재의 내용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려고 하였다. 마지막 3.3에서는 2장에서 언급한 慣用型의 정의를 토대로, 각 교재에 수록된 慣用型 중 동일하게 제시된 것이 각 교재에 따라 어떤 등급에서 제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중복도 분석을 통해 중국어권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慣用型의 제시 현황을 파악하고 총 181개 慣用型을 선정하였다.
4장에서는 먼저 선행연구에 따라 단계화 기준을 <표준모형 2단계>, <한국어 문법 사전>과 한국어 교재 제시 등급 3가지로 선정하였다. 이어서 3장의 중복도 분석을 통해 선정한 총 181개의 慣用型을 1, 2, 3차 기준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였다. 구체적인 실현방법은 1차 단계화 기준 <표준모형 2단계>의 최고점인 초급 점수, 2차 백봉자(2006)의 초급 점수, 그리고 3차 한국어 교재의 초급 점수는 각각 12점을 부과하여 진행하였다. 이처럼 메타 계량적 방법으로 최종 단계화 목록을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앞서 산출한 단계화 목록을 토대로 하여 한국어 문법 사전에서 나타난 빈도에 따라 중요도를 판정하였다. 판정한 결과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단계별 교육용 慣用型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형태에 따라 단계별 교육용 慣用型의 수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어권 한국어교육의 교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향후 한국어 교재를 편찬할 때 慣用型을 선정하고 배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