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학습자와 일반 학습자의 읽기 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 : -초등학교 중학년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features of the reading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comparing the reading patterns of middle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ordinary families. The researcher tested the r...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features of the reading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comparing the reading patterns of middle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ordinary families. The researcher tested the reading abilities of 13 middle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nother 13 from ordinary families, and recorded and transcribed interviews with each of the students. After that,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ading test and the transcription of the interviews in terms of four function categories and the specific items of each categor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of words and sentence structure’ was set as an item under the category ‘language knowledge.’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reading in terms of this category showed that compared with the students from ordinary families,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new a smaller number of words, and thus were less capable of inferring the meanings of words from contexts. In addition, they used an avoidance strategy in a definitional aspect more strikingly than the students from ordinary families.
Second,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reading in terms of the category ‘verifying content’ was conducted in two parts, ‘checking the content’ and ‘summarizing the content.’ A significant number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ailed to present correct answers to the questions regarding the details of the content. Furthermore, they summarized only part of the content without understanding the entire content.
Third, the category ‘background knowledge’ was divided into ‘inferring based on experience and background knowledge’ and ‘assessment and appreciation based on experience and background knowledge.’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reading in terms of this category showed that compared with the students from ordinary families,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d less background knowledge, and thus understood only fragmentarily what they read, failing to proceed to the inference stage. They couldn't sympathize with the author's experiences and thoughts because they lacked related experiences.
Fourth,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reading in terms of the category ‘checking and adjusting reading process’ showed that the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not aware of the reading strategy necessary for effective reading and its importance.
It is expected that the features of the reading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have been found in this study will serve important basic materials in devising an reading teaching plan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학습자가 일반 학습자에 비해 부족한 읽기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어떤 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다문화 학습자의 원활한 학교생활 적응을 돕고자...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학습자가 일반 학습자에 비해 부족한 읽기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어떤 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다문화 학습자의 원활한 학교생활 적응을 돕고자 하는데 있다.
지금까지 다문화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 부족에 대해 지적하는 선행 연구가 많이 발표되었다. 하지만 다문화 학습자들이 어떤 측면에서 읽기를 어려워하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이해하는지 등에 대한 기초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중학년 다문화 학습자와 일반 학습자의 읽기 양상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학습자의 읽기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중학년 다문화 학습자와 일반 학습자 각 13명을 대상으로 읽기 평가를 실시하고 읽기 평가와 관련된 면담을 녹취, 전사하였다. 그리고 읽기 평가 결과물, 면담 전사 자료를 ‘언어 지식’, ‘내용 확인’, ‘배경 지식’, ‘읽기 과정의 점검과 조정’의 4개 기능 범주와 각 범주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범주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 지식’ 범주의 세부 항목으로 ‘낱말과 문장 구조에 대한 이해’를 설정하였다. 본 범주 분석 결과 다문화 학습자들은 일반 학습자들에 비해 알고 있는 낱말의 수가 적었고 글을 읽으면서 앞뒤 문맥을 통해 단어의 뜻을 추론해 내는 능력이 부족하였다. 또, 다문화 학습자들이 알고 있다고 말한 단어의 뜻을 질문하였을 때 ‘까먹었다’라고 대답하는 등 뜻을 정확히 알지 못하면서 알고 있다고 대답하였다. 일반 학습자에 비해 다문화 학습자들이 정의적인 측면에서 회피 전략을 두드러지게 사용함을 확인할 수 있는 범주였다.
둘째, ‘내용 확인’ 범주는 ‘글의 내용 확인하기’와 ‘글의 내용 간추리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글의 내용 확인하기’에서 문제의 세부 내용과 관련된 질문에는 다문화 학습자의 상당수가 정확한 답을 쓰지 못하였다. ‘글의 내용 간추리기’에서 다문화 학습자는 글 전체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채 글의 앞 부분 또는 뒷 부분 등 자기가 읽은 일부분의 내용만을 간추렸다.
셋째, ‘배경 지식’은 ‘경험 및 배경 지식 활용하여 추론하기’, ‘경험 및 배경 지식 활용하여 평가와 감상하기’로 세부 항목을 설정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다문화 학습자가 일반 학습자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지적하는 것이 배경지식이었기 때문에 배경지식을 별도의 기본 범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 범주 분석 결과 다문화 학습자들은 일반 학습자에 비해 부족한 배경 지식으로 인해 읽은 내용을 단편적으로 이해하였고 따라서 그 다음 단계인 추론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경험 및 배경 지식 활용하여 평가와 감상하기’에서 다문화 학습자들은 글쓴이의 경험과 생각에 공감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그 이유로 관련 경험의 부재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넷째, ‘읽기 과정의 점검과 조정’에서는 학습자들의 면담 내용을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읽기 전략들로 분류하여 제목 활용하기, 중요한 내용에 표시하기, 반복해서 읽기, 메모하기의 4가지 주요 전략을 추출하였고 이를 세부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학습자들은 효과적으로 글을 읽는데 필요한 읽기 전략과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다문화 학습자의 읽기 양상의 특성은 다문화 학습자를 위한 읽기 지도 방안을 설계하는 데에 귀중한 기초 자료의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