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 文 抄 錄
중국에서는 改革開放 이후 예전부터 해 왔던 朝鮮語敎育과 함께 새롭게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어 교육이 팽창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
國 文 抄 錄
중국에서는 改革開放 이후 예전부터 해 왔던 朝鮮語敎育과 함께 새롭게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어 교육이 팽창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고, 그 과정에서 많은 정책이 시행되었을 것이라 추측되지만, 그와 관련된 기본적인 사실이나 새롭게 생겨난 제도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改革開放 이후 중국의 韓國語敎育 政策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을 통해 한국어 교육 정책의 기본적인 特徵을 밝히는 데에 目的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사실들에 대해 질문하고 그것에 충실하게 답하고자 하였다. 먼저 개혁개방 이후 시행되었던 한국어 교육 관련 정책의 변천과정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외국어 교육 정책 및 朝鮮族 대상 한국어 교육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 정책의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의 실제에 있어서는 한국어 교육 學科 開設, 敎育課程 및 敎材 使用 狀況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의 개혁개방 이전에는 조선어 교육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고, 또한 중국 내에 조선족이 존재하기 때문에 민족 언어교육의 일환으로 시행된 조선어 교육도 있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이라는 용어는 韓中 수교 이후부터 學界에서 점차 인정을 받은 것이었고 개혁개방 이후 30여 년의 역사를 거쳐 개혁개방 이전의 ‘조선어 교육’에서 ‘한국어 교육’으로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개혁개방 이후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정책을 개혁개방 시기부터 한·중 수교 시기까지와 한·중 수교 시기부터 현재까지의 두 시기로 구분하였다.
한·중 수교 이전의 한국어 교육이 주로 국가적·사회적·정치적 기능을 갖고 있었고, 모두 도구로서의 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이 시기에 존재한 조선어학과는 모두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던 것이다. 정부의 뚜렷한 제도적 노력은 찾아보기 어렵고 한국어 교육에 대해 적극적이었다고 보기도 어려울 것이다.
韓·中 수교부터 현재까지는 조선어 교육의 위상이 점점 떨어지는 반면에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크게 활발해졌다. 여러 분야의 교류가 날로 활발해지면서 한국어 인재에 대한 수요가 급속히 늘어났고, 정부가 대학의 자율에 맡기면서 韓國語學科가 설치된 대학은 처음에 불과 몇 곳에서 현재는 170여 개까지 급속히 증가하였다. 현재 중국 내 한국어 교육은 제도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중국 내에서는 朝鮮語와 韓國語를 병행하여 교육하고 있고 중국 내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연구 또한 미흡한 수준이다. 그렇지만 중국 내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학 간의 교류도 활발해지고 있으므로 향후 중국 내 한국어 교육의 발전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개혁개방 이후 중국 내 한국어 교육 정책의 변화 과정과 그 특징에 초점을 맞춘 연구이기 때문에 좀 더 심층적이고 다양한 해석을 시도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한국어 교육 정책과 관련된 연구물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 시기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는 데에는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中國, 外國語敎育, 敎育政策, 朝鮮語, 韓國語
학 번: 2010-22867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