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더듬 성인과 일반 성인의 통사복잡성에 따른 발화 특성 비교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effects of syntactic complexity on language-speech input and output performance in adults who stutter(AWS). To observe the relation between syntactic complexity and language-speech performance of AWS, this stu...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effects of syntactic complexity on language-speech input and output performance in adults who stutter(AWS). To observe the relation between syntactic complexity and language-speech performance of AWS, this study carried out some experiments and analyzed the results. First, Language-Speech Task Performance Time(TPT) on all the given tasks of AWS and adults who do not stutter(AWN) was calculated and compared. Second, comparison in effects of syntactic complexity on TPT between two groups was made by calculating TPT of two types of tasks separated by syntactic complexity. third, influences of syntactic structure on TPT of AWS and AWN were observed by comparing TPT of two groups when two kinds of tasks one of which included the relative clause in subject component, the other of which in object component were offered to two groups. Finally, the stuttering events between the two different clausal places and the number of stuttering events in each place were analyzed in AWS.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were total 18people aged from 19 to 55, among whom 9 for AWS and AWN, respectively. The experiment process was involved in providing each subject with 100sentence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syllables but two levels of syntactic complexity( simple or complex), and then analyzing both the TPT and performances of the subjects through the voice- and video-recorded data. The given 100sentence tasks were made up of 5 types of syntactic structure with subject-object-verb word order: Type 1 was Basic Structure(BS) with no modifying structure, Type 2 was Subject Simple Modifying Structure(SS) related to simple modifying adjective in subject component, Type 3 was Object Simple Modifying Structure(OS) which modified object with simple adjective, Type 4 was Subject Complex Modifying Structure(SC) containing relative clause in subject component, and Type 5 was Object Simple Modifying Structure(OC) which modified object with relative clause. The study results are following:
AWS spent more time in performing the given tasks than AWN do. But the TPT gap between two group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he task had complex syntactic structure, TPT accordingly increased in both groups. The increase gap between AWS and AWN was widened when complex structures were provided. When it comes to the clausal places, AWS demonstrate different performance ability depending on whether they deal with subject clause or object clause while AWN show little difference in their performance. AWS show more time spending and stuttering while carrying out object clausal structure. Through the experiments, effects of syntactic complexity on TPT between AWS and AWN were revealed. Both groups show vulnerability to the syntactically complex tasks than to the simple ones, and AWS were more vulnerable to complex structure than AWN were. However, some of the experiment results do not gain the statistical support, which means the competence gap between two groups might be subtle.
To get the preceding result, this study calculat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syntactic complexity on TPT between AWS and AWN by dividing the subject's language and speech process into several stages such as task response time, speech initiation time, speech motoric time, and as a whole task performance
time.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 성인의 통사복잡성에 따른 언어-말 입력 및 산출 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째, 말더듬 성인의 과제수행 시간을 일반 성...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 성인의 통사복잡성에 따른 언어-말 입력 및 산출 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째, 말더듬 성인의 과제수행 시간을 일반 성인과 비교하였다. 둘째, 말더듬 성인에게 통사복잡성을 달리한 문장 과제를 제시하고 일반 성인과 과제수행 시간을 비교하였다. 셋째, 통사복잡성이 증가한 위치에 따른 과제수행 시간을 비교하여 통사복잡성 증가 위치가 말더듬 성인의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 성인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통사복잡성 증가 위치와 말더듬발생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19세에서 55세 사이의 말더듬 성인과 일반 성인 각각 9명이다. 실험방법은 피험자 개인별로 음절수는 동일하나 통사복잡성을 달리한 100개의 문장을 제시한 후 과제수행 시간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측정하고 수행 과정을 음성 파일로 녹음하였다. 음성 파일 분석을 통해 정반응, 말더듬 오반응, 기타 오반응을 분석하여 통사복잡성이 말더듬 성인의 언어-말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제시된 100개의 문장 과제는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을 기본으로 하여, 수식이 없는 기본형과, 주어부에 단순 형용사 수식을 첨가한 ‘SS(Subject Simple Modifying Structure)’, 목적어부에 단순 형용사 수식을 첨가한 ‘OS(Object Simple Modifying Structure)’, 주어부에 관계절 수식을 첨가한 ‘SC(Subject Complex Modifying Structure)’, 목적어부에 관계절 수식을 첨가한 ‘OC(Object Complex Modifying Structure)’의 5가지 유형별 20문장씩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말더듬 성인은 일반 성인에 비해 언어-말 처리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통사복잡성이 증가할 때 말더듬 성인과 일반 성인 모두 과제수행 시간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증가폭은 말더듬 성인이 더 컸다. 통사복잡성 증가 위치가 달라졌을 때 일반 성인은 수행 시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말더듬 성인은 증가 위치가 목적어부일 때 수행 시간이 증가하고 말더듬 발생 빈도도 높았다. 이를 통해 일반 성인과 말더듬 성인 모두 통사복잡성이 증가하면 처리에 어려움을 보이지만, 말더듬 성인이 더 큰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통계적 측면에서 봤을 때 말더듬 성인의 통사복잡성에 대한 상대적 취약성은 두드러지지 않았다.
위와 같은 결론을 얻기까지 본 연구는 통사처리, 의미 부호화의 발화전(前) 단계부터 발화 단계까지 과제수행에서 말더듬 성인의 언어-말 처리에 통사복잡성이 미치는 영향을 반응시작, 발화개시, 구어운동 및 각 단계의 합인 과제수행 전체 시간으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일반 성인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말더듬 성인의 통사복잡성 및 그 복잡성 증가 위치에 따른 발화 양상을 살펴본 최초의 시도라는 점이다. 반응시작, 발화개시, 구어운동 단계별로 나누어 언어-말 처리 각 단계에서 통사복잡성이 미치는 영향을 보다 세밀하고 복합적으로 알아보았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