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초록)
한·중 공간개념어 대조 연구
한국과 중국의 공간 개념어에 관한 연구들은 한국어 혹은 중국어만의 개별언어로서는 익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
(국문 초록)
한·중 공간개념어 대조 연구
한국과 중국의 공간 개념어에 관한 연구들은 한국어 혹은 중국어만의 개별언어로서는 익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한국어와 중국어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의 비교대조 연구들은 그다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현재 중국의 한·중 공간 개념어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언어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이나 통사론적 기능과 형태론적 특징으로만 접근하고 있으며, 한국어와 중국어를 품사에 따라 분류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이와 반대로 한국에서는 주로 언어의 의미적 비대칭 현상을 검토하는 연구들이 많았다. 본 논문은 과거의 연구들과 달리 대조언어학과 인지언어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중 공간 개념어의 관계를 살펴보고, 기본용법과 은유적인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 혹은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정확한 언어 사용과 어휘 습득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연구는 한·중 언어의 대조적 연구를 바탕으로 두 언어의 사전편찬과 교육 현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3장에서는 한국 ‘표준국어대사전’과 중국 ‘현대 한어 사전’을 참고하여 기본 의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대조분석 이론을 통해 공간 개념어의 기본 용법과 의미 체계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한·중 공간 개념어의 위치 관계를 정리하여 고유 표현에서 나타나는 한·중 언어 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중 공간 개념어의 파생의미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는 주로 공간 개념어의 은유적 의미 즉, 방위적 은유와 용기(容器)적 은유로 나누었다. 따라서 한·중 공간 개념어의 은유적 용법을 제시한 뒤 비교하여 공간 개념어의 특징, 공통점,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그동안 한국과 중국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나 공간 개념어에 대한 연구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또한, 한국에서는 공간 개념어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 또는 중국의 개별적인 공간 개념어 연구만을 진행하였던 기존의 연구 방법에서 탈피하여 대조분석과 인지언어학 관점으로 한·중 공간 개념어를 비교하였다는 점과 한국, 중국의 기본용법에 관한 내용을 확장하여 논의하였다는 점, 한국과 중국의 문화현상을 결합하여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공간 개념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게 된다면,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리라 사료되므로 이와 같은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점으로는 공간 개념어인 ‘위, 아래, 앞, 뒤, 안, 밖, 왼∼, 오른∼’ 등을 공간 개념어로 제시 된 명사와 형용사만을 기준으로 대조하였으며, 명사·형용사 이외의 품사들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과 사회심리, 문화로 인해 발생되는 공통점이나 차이점에 대한 원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도 꾸준히 한국과 중국의 공간 개념어를 대조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길 바란다.
<Abstract>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spatial concept words
Yue Hao Ra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Abstract>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spatial concept words
Yue Hao Ra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For a very long time, the study in spatial concept words of both Korean and Chinese language has been singly focused in only Korean or Chinese, respectively.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se two language has been quite inactive. Additionally, scholars of China restricted their studies mainly in the basic usage, the function of syntax theory and morphology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spatial concept words. To the contrary, Korean scholar did a lot of researches in the asymmetry of the meaning. This articles totally different from the researches before. It, using contras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as theory basis, makes a surve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spatial concept words, and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basic usages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ir metaphorical meaning. Through this article, we expect to offer some help to those scholars who are learning Korean or Chinese and wishing to use these languages and vocabularies more precisely. Moreover, this article is also expected to be helpful to compiling dictionaries or practical implement of education.
Chapter 3 gathered the basic conception of every spatial concept word, referring Pyojun-Gugeo-Daesajeon and Modern Chinese Dictionary, and analyzed the basic conception and meaning systems of the spatial concept words based on the Contrast analysis theory.
Chapter 4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rived meaning of Korean and Chinese spatial concept words. It debates about the research mainly in the metaphorical meaning, namely the orientation metaphor and the metaphor with ease. This chapter displayed and compared the metaphorical grammars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 Based on that, the chapter made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wo languages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voiding the separative research manner, basing on the function of syntax theory or morphology theory, and taking the cultural phenomenon as considerable factors, this article made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spatial concept words. It is expected to help the Chinese scholar who wants to learn Korean language having a 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spatial concept words.
In general, this article chooses noun and adjective as standards to compare those spatial concept words like “up, down, front, back, in, out, left and right.” However, it does not consider the society mentality and culture as influential factors. At last, we expect more and deeper research in the study of spatial concept language of Korean and Chinese.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