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hough there are many classes for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education field, communication activities of writing are hardly performed among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Despite the increasing need of writing, learners avoid ...
Although there are many classes for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education field, communication activities of writing are hardly performed among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Despite the increasing need of writing, learners avoid learning writing and find it more difficult to learn writing than other skil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thods for guided writing classes by using audio-visual materials as one of ways to improve students' writing skill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on improving learners' writing skill in actual writing classes and the effects on the affective domain.
In this study, we used audio-visual materials as an effective method in Korean writing classes that learners can easily approach around them. To achieve this goal,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guided writing that can use audio-visual materials among writing patterns and suggested methods for guided writing classes that used audio-visual materials by selecting audio-visual materials suitable for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after examining the natures of audio-visual materials.
For targets of this study, we targeted and studied 14 learners with intermediate level at S Korean education center located in Seoul.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examination first, we conducted a study with a total of three classes by dividing into a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e examined writing skill by dividing into vocabulary, grammar, contents and composition depending on audio-visual materials and analyzed them by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SPSS 20.0. Also, we divided the affective domain into interest, motivation, confidence and preference and analyzed them by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paired-sample t-est based on SPSS 20.0.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on guided Korean writing classes by using audio-visual materials are as follows.
First, it indicated that the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in guided writing classes brought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Korean writing skill for learners.
Second, it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of vocabulary, grammar, contents and composition in detailed writing skill and especially there was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of contents and composition.
Third, it indicated that there were positive effects in interest, motivation, preference and confidence domains of learners after writing classes that used audio-visual materials in the affective domain.
In conclusion, we found that guided Korean writing classes that used audio-visual materials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writing skill for learners and there was positive effects in the affective domain.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를 위한 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 중에서 쓰기를 통한 의사소통 활동은 거...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를 위한 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 중에서 쓰기를 통한 의사소통 활동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쓰기의 필요성이 점점 많아짐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은 다른 기능에 배해 쓰기를 어려워하고 기피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유도된 쓰기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 실제 쓰기 수업에서의 적용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 신장에 어떠한 효과가 있고 정의적인 영역에는 어떠한 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쓰기 수업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학습자들이 주의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시청각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쓰기 유형 중에서 유도 작문의 특징과 시청각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유도 작문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시청각 자료의 특성을 살펴본 후 중급 한국어 학습자에 적합한 시청각 자료를 선택하여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쓰기 수업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쓰기 수업 방안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유도된 쓰기 수업을 한 집단이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지 않은 유도된 쓰기 수업을 한 집단에 비해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유도된 쓰기 수업이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시청각 자료의 종류에 따라 어떠한 쓰기 능력(어휘, 문법, 내용, 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유도된 쓰기 수업이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영역(흥미, 동기, 자신감, 선호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S 한국어 교육 센터의 중급 수준의 학습자 14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먼저 사전 검사 실시 후 시청각 자료의 활용 유무에 따라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으로 나누어 총 3차시에 거쳐 실험을 하였다.
쓰기 능력은 시청각 자료에 따른 어휘, 문법, 내용, 구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분석 방법은 SPSS 20.0을 사용하여 독립 표본 t-검정 방법과 상관관계분석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정의적 영역은 흥미, 동기, 자신감, 선호도 영역으로 나누어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대응 표본 t-검정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유도된 쓰기 수업에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도된 쓰기 수업에서의 시청각 자료의 활용은 학습자의 한국어 쓰기 능력에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다.
둘째, 세부적인 쓰기 능력에서 어휘, 문법, 내용, 구성 점수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고 특히 내용과 구성 면에서의 유의미한 향상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의적인 영역에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쓰기 수업 후 학습자의 흥미, 동기, 선호도, 자신감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유도된 쓰기 수업은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를 나타냈으며 정의적인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