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교포 화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의 인사 화행 실현 비교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Greetings have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speech act to establish and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However, greeting expressions are mostly taught at a beginner level and have not been considered as an object of discussion al...

Greetings have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speech act to establish and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However, greeting expressions are mostly taught at a beginner level and have not been considered as an object of discussion although Korean greetings are highly dependent on various situations and social fact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greeting speech acts and attempt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strategies utilized by Native Koreans and Korean Americans. Strategies employed are decided based on the three factors of power, social distance and timing. Power refers to the perception of one’s place in rleation to another in hierarchies pertaining to age, social and work environments. Social distance refers to the speaker's perception of how close a social relationship he/she shares with the person being addressed. Finally timing refers to the perception of appropriate amount of time given for each greeting strategy. This study aim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Korean Americans to understand and use greeting strategies to better navigate social situations. This study explores greeting strategies in twelve scenarios produced by 20 Native Koreans and 20 Korean Americans. A Discourse Completion Test(DCT) was used to elicit data in relation to greetings and Fisher’s exact tes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pragmatic differences that distinguish the behavior of Native Koreans and Korean Americans. The data demonstrates that there are 9 major strategies in Korean greetings. Specifically, these strategies are classified as follows: alerters, ritualized greetings, acknowledging connection, information gathering questions, information offering, invitation, introduction, positive feedback reinforcement, avoidance. Both groups use ritualized greetings the most but Native Koreans and Korean Americans have different preferences for greeting strategies in twelve given situations. Native Koreans employ greeting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Korean Americans in most cases. When native Koreans have enough time to greet, information gathering questions are used more often. However, when there is not enough time to greet, they tend to employ the use of ritualized greetings. Native Koreans use various strategies to those and use invitation and introduction to unfamiliar hearers. Power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use of strategies by Native Koreans. Native Koreans employ formal greetings and keep emotional distance with people of higher status and use strategies that increase the level of closeness more often to people of lower stat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ower variable takes precedence over the social distance variable in Korean greetings. On the other hand, social distance and timing are the main factors to decide whether to greet or avoid and power barely has any influence on the use of strategies in Korean American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eaching plans using media, role play, reading materials were proposed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This study has pedagogical significance in that it focuses on greeting speech act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strategies employed by Native Koreans and Korean Americans. However, this findings should not be generalized due to the sample size and nonverbal factors. Furthermore, greeting responses we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of this study. Such findings can be useful in developing Korean textbooks and teaching Korean greetings and pragmatics in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classroom.

연구는 재미교포 화자한국모어 화자인사 화행실현 양상의 특징을 변인에 따라 분석하여 재미교포 화자들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인사 ...

연구는 재미교포 화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의 인사 화행실현 양상의 특징을 변인에 따라 분석하여 재미교포 화자들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인사 화행은 일상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고 원활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화행임에도 그동안 초급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가르쳐왔으며 논의 대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한국어 인사 화행은 상황을 구성하는 변인에 따라 다양한 표현으로 실현된다는 특징을 감안할 때 재미교포 화자가 인사 화행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교수 학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어 인사 화행 분석에 필요한 인사 화행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어 인사 화행의 상황을 구성하는 변인과 전략을 설정하였다. 변인은 시간적 여유의 유무, 친밀도, 상하거리감으로 설정하였으며 전략은 부르기, 의례적 인사하기, 만남 인식하기, 정보 얻기, 정보 주기, 초대하기, 소개하기, 긍정적 피드백 강화하기, 외면하기 총 아홉 가지로 설정하였다. 한국인 모어 화자 20명과 재미교포 화자 20명을 대상으로 상황에 따라 어떠한 인사 화행이 실현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DCT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인사 화행 전략은 의례적 인사하기였으며 상황에 따라 전략 사용 양상에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모어 화자의 인사 화행 사용 양상을 살펴보면 시간적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는 의례적 인사하기와 같은 정형적인 인사말을 사용하였으며 시간적 여유가 있는 상황에서는 정보 얻기를 높은 비율로 사용하였다. 친밀도가 높을수록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고 친밀도가 낮은 상대에게는 소개하기와 초대하기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한국인 모어 화자의 인사 화행에서는 상하거리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윗사람에게는 예의를 갖추며 거리를 두는 전략의 사용이 많았으며 아랫사람에게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반면 재미교포 화자의 인사 화행에서는 친밀도와 시간적 여유의 유무가 인사를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상하거리감의 영향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토대로 영상매체, 역할극, 읽기 자료를 이용하여 중급과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재미교포 화자의 화행에 주목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의 화행 실현과 비교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나 적은 표본의 수로부터 교포화자들의 특성을 일반화시킬 수 없다는 점, 비언어적 요소를 심도 있게 다루지 못한 점 등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재미교포 화자가 한국인 모어 화자와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중·고급 재미교포 화자를 위한 교재 개발이나 수업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