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경어법의 실제 사용을 관찰하면 경어법이 단지 경의를 나타내려는 뜻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화자의 모종의 의도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일부러 경어가 사용될...
한국어 경어법의 실제 사용을 관찰하면 경어법이 단지 경의를 나타내려는 뜻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화자의 모종의 의도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일부러 경어가 사용될 때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어에 있어서 경어법이 아주 특징적인 문법 범주이니만큼 지금까지 경어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고 할 수 있지만 그 대부분은 경어의 이러한 실제 사용을 바탕으로 해서 한국어 경어의 실제 사용을 정확히 기술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어 경어의 실제 사용을 바탕으로 경어의 화용론적인 성격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경의를 표시하지 않은 경어 사용을 ‘의도적인 경어’ 사용이라고 해서 주목을 하려고 한다. 본고에서 의도적이라고 하는 것은 경어의 본래의 규범적인 사용에서 ‘의도적’으로 일탈해서 사용되는 경우를 가리킨다.
본고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의도적 경어 사용의 실태를 조사하고 어떤 상황에서 화자의 어떤 의도가 표현되는 것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것과 동시에 이러한 경어법 사용이 어떻게 청자에 의해 제대로 이해되는지에 대해서 화용론적인 시각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 구체적인 의도적 경어 사용을 한국 드라마 자료에서 수집을 했다. 이를 연구자가 전사하고 상황이나 화자의 의도에 따라서 분석을 한 결과, 의도적인 경어 사용은 세 가지의 담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각 담화 기능은 감정 드러내기, 상대의 말에 반응하기, 다양한 담화 만들기로 정리할 수 있다. 감정 드러내기는 화자의 비꼬기나 불만과 같은 모종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경어가 의도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이다. 다음으로 상대에 말에 반응하기는 말 그대로 화자가 대화 상대자에 어떤 특정한 반응을 보여주기 위해서 경어가 사용되는 경우이며, 마지막으로 다양한 담화 만들기는 경어의 의도적인 사용이 대화 담화 자체를 다양하게 만드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고에서는 이러한 담화 기능을 가지는 경어 사용이 청자가 어떻게 올바르게 해석하는 것인가에 대해서 화용론 이론에 따라서 설명을 시도했다.
그리고 본고와 같이 한국어 경어의 실제 모습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한국어 경어 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간단하게 정리하고 본고의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