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초 록
朝鮮時代 言語學의 主流는 中國 聲韻學이였다. 訓民正音은 이 學問을 바탕으로 하여 國語音과 漢字音에 대한 考察을 통하여 創制되었다. 訓民正音은 文字體系이면서 동시...
국 문 초 록
朝鮮時代 言語學의 主流는 中國 聲韻學이였다. 訓民正音은 이 學問을 바탕으로 하여 國語音과 漢字音에 대한 考察을 통하여 創制되었다. 訓民正音은 文字體系이면서 동시에 音韻體系이다. 그러므로 訓民正音과 중국 聲韻學의 內在的 關係를 밝히려면 文字學 理論과 音韻學 理論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廣義적인 중국 聲韻學은 ‘文字學’과 ‘音韻學’이 포함되어 있다. 訓民正音에 適用되는 중국 聲韻學 理論은 具體的으로‘六書’와 ‘五音四聲’으로 나타난다. 또한 ‘五音四聲’이론은 聲母體系에 관한 硏究 成果이기 때문에 訓民正音과의 關聯性을 검토할 때 訓民正音 初聲體系에 대하여 集中的으로 略论해야 한다.
본고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訓民正音 23字母 初聲體系는 중국 上古音 聲母體系와 흡사하다. 중국 성운학은 ‘上古音’ ㆍ‘中古音’ㆍ‘近代音’ㆍ‘現代音’으로 구분할 수 있다. ‘上古音’ ㆍ‘中古音’ㆍ‘近代音’ㆍ‘現代音’은 중국의 音韻演變 過程을 나타낸다. 聲母체계 있어서 上古音은 脣音의 輕重을 구분하지 않고, 그리고 설두음과 설상음도 뚜렷한 구분이 없었다. 中古音은 설두음과 설상음의 구분이 나타나고, 그리고 설상음과 아음에 속하는 ‘來, 日’을 더 세분하여 반설음과 반치음으로 구분하였다. 近代音과 現代音에서 入聲이 소실이 되고 兒化現象이 나타난다. 訓民正音의 초성체계는 중국 上古音에서 구별되지 않는 脣重ㆍ脣輕, 舌頭ㆍ舌上, 齒頭ㆍ正齒音의 구별을 없애서 23자모 체계로 한 것이다.
둘째, 訓民正音의 제자원리는 ‘象形而字倣古篆’이다. 訓民正音 제자원리인 ‘象形說’은 중국 성운학 象形原理의 응용과 발전이다. 중국 성운학의 상형은 直觀적인 事物의 모양을 본뜨고 글자를 만드는 원리이다. 訓民正音의 象形은 發音器官 象形의 取象원리이다. 訓民正音은 抽象적인 發聲器官 모양과 動作形態를 모방해서 만들어진 글씨이다. 訓民正音해례본에 따르면 초성체계는 牙, 脣, 舌, 齒, 喉의 發音기관을 모방해서 만들어지며 중성체계는 ‘舌縮, 舌小縮, 舌不縮’ 및 ‘口蹙, 口張’의 發聲動作의 형태에 의해 만들어진다. 중성체계는 철학적인 의미로 添加하여 ‘天地人’이란 三才思想을 나타낸다. 訓民正音의 象形은 중국 聲韻學 象形을 바탕으로 하여 승화된 發音器官象形이다. 중국 篆書와 訓民正音 글씨의 형태를 비교하면 字形상 서로 닮았다고 할 수 없다. ‘字倣古篆’에 대한 접근은 篆書의 구성방법으로 분석해야 한다. 篆書構成방법을 소개하는 <起一成文圖>와<因文成象圖>를 분석하면 訓民正音 합용원리인 ‘加畵’과 ‘竝書’ㆍ‘連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象形’은 기본 글자를 만드는 원리를 이용되고 ‘字倣古篆’은 기본 글자이외의 글자를 만드는 합용원리를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象形’이니 ‘古篆’이니 하는 두 단어는 결국 같은 의미로 한자 제자원리 및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六書’는 ‘象形, 指事, 會意, 形聲, 轉注, 假借’로 든다. ‘訓民正音’ 제자 원리를 상형이라고 방법에서 기본자를 먼저 만들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나머지 글자를 만든 것이, 한자가 상형의 원리로 글자를 만들되 ‘文’를 먼저 만들고(指事와 象形의 글자) 그것을 이용하여 ‘字’를 만든 것(形聲과 會意글자)과 흡사하다.
셋째, 訓民正音 해례본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초성체계에는 ‘五音’, ‘淸濁’, ‘輕重’의 자질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들은 모두 중국 성운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 중국 성운학은 주로 聲母체계에 대한 이론이며 韻母에 대해 聲母처럼 잘 정비되어 있지 않다. ‘五音四聲’이론은 주로 牙ㆍ舌ㆍ脣ㆍ齒ㆍ喉로 구분되는 ‘五音 (혹은 七音)’, ‘全淸ㆍ次淸ㆍ全濁ㆍ不淸不濁’으로 구분되는 ‘四聲’, 그리고 聲母 發音을 표시하는 代表字母로 구성된다. ‘오음’은 말할 것 없이 訓民正音 창제에 응용되고, ‘청탁’은 ‘세기(厲)’의 정도의 차이와 ‘엉김(凝)’의 있고 없음으로 나타난다. ‘輕重’은 連書, 반설음과 반치음 구별하는 데 응용된다. 그러나 代表字母 선정에 있어서 중국 聲母체계 흔하게 쓰이는 代表字母와 전혀 다르다. 이러한 까닭은 초성의 23자모가 단순히 초성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중성과 종성을 설명하기 위한 배려 아래에서 선정된 것이다. 이 사실은 訓民正音 창제에 있어서 단순히 중국 聲母체계를 모방한 것이 아니고 訓民正音 창제자가 중국 聲韻이론을 정확하게 터득하여 더욱 높은 단계로 발전시켰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訓民正音 초성체계와 중국 聲母체계 사이에 어느 정도 일정한 對稱관계를 가지고 있다. 韓國 漢字音은 중국 上古音 기본 성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물론 현대 중국 북경음은 그 나름대로 변천을 거듭해 오면서 자신들의 고음과 많은 차이를 보이지만 초성체계와 聲母체계의 對稱과 非對稱類型을 정리해두면 중국어를 학습하는 한국 사람이나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 사람에게 상대 언어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 한편에는 訓民正音은 중국 上古音을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