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의 통제감, 통제양식,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 통제양식의 조절 및 매개효과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s an attitude for self and external environment, sense of control and modes of control can be variables which can maintain and help psychological stability.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nse of control, modes of control and ...

As an attitude for self and external environment, sense of control and modes of control can be variables which can maintain and help psychological stability.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nse of control, modes of contro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the elderly living in Korean society with serious conflict among the generations.
For the purpose, self-ing questionnaires, Shapiro Control Inventory(SCI),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Korea Emotional Experience Scale(KEES), Korean version of MMSE for Dementia Screening(MMSE-DS), were used for the measurement of 171 the elderly in 60s∼80s. In hypothesis 1, correlations among the sense of control, modes of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genders. As the result of analysis, as men's sense of control was higher, they used more positive assertive mode. As the sense of control was lower, they used more negative yielding mode. Also, as the sense of control was higher, satisfaction with life was more increased and positive emotion was higher. Same as men, as women's sense of control was increased, positive assertive mode, satisfaction with life and positive emotion were increased. As the sense of control was decreased, negative yielding was increased. In me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nse of control and negative emotion. But, in women,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ense of control and negative emotion, so as the sense of control was lower, negative emotion was increased. In hypothesis 2, the gender differences among the sense of control, modes of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confirmed.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positive yielding mode and negative assertive mode. The positive yielding mode was shown in female the elderly rather than male the elderly and the negative assertive mode used more modes of controls in male the elderly rather than female the elderly. In hypothesis 3, there were moderating or mediated effects of modes of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Moderating effects were not confirmed, but modes of contro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Mediated effects were confirmed in both males and females. As the result, male the elderly showed partially mediated effects of the positive assertive mode on the subjective well-being(positive emotion) and female the elderly showed partially mediated effects of the negative yielding mode on subjective well-being(satisfaction with life, negative emotion). Finally,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자기와 외부환경에 대한 태도로써 통제감과 통제양식은 심리적 안정감을 유지하고 적응을 돕는 심리적 변인들이다. 본 연구는 세대 간 갈등이 심각한 한국 사회를 살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

자기와 외부환경에 대한 태도로써 통제감과 통제양식은 심리적 안정감을 유지하고 적응을 돕는 심리적 변인들이다. 본 연구는 세대 간 갈등이 심각한 한국 사회를 살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통제감, 통제양식,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를 위해 60대∼80대 노인 17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인 통제감, 통제양식, 삶의 만족도, 정서 경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문제 1에서는 통제감, 통제양식, 주관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를 성차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은 통제감이 높을수록 긍정주장양식을 많이 사용하고 통제감이 낮을수록 부정수용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감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고 긍정적인 정서가 높아졌다. 여성 또한 남성과 동일하게 통제감이 증가할수록 긍정주장양식과 삶의 만족도, 긍정적인 정서가 증가하고 통제감이 감소할수록 부정수용양식이 증가하였다. 남성에서 통제감과 부정적 정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여성에서는 통제감과 부정적 정서가 부적상관을 보여 여성의 경우 통제감이 감소할수록 부정적 정서가 증가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통제감, 통제양식, 주관안녕감에서 성차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긍정수용양식과 부정주장양식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는데, 긍정수용양식은 남성노인보다 여성노인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부정주장양식은 여성노인보다 남성노인이 더 많이 사용하는 통제양식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문제 3에서는 통제감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통제양식의 조절 또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조절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통제양식은 통제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라 매개효과를 확인해 보았는데 남성노인의 경우, 긍정주장양식이 주관적 안녕감(긍정적 정서)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고 여성노인의 경우, 부정수용양식이 주관적 안녕감(삶의 만족도,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자기와 외부환경에 대한 태도로써 통제감과 통제양식은 심리적 안정감을 유지하고 적응을 돕는 심리적 변인들이다. 본 연구는 세대 간 갈등이 심각한 한국 사회를 살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통제감, 통제양식,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를 위해 60대∼80대 노인 17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인 통제감, 통제양식, 삶의 만족도, 정서 경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문제 1에서는 통제감, 통제양식, 주관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를 성차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은 통제감이 높을수록 긍정주장양식을 많이 사용하고 통제감이 낮을수록 부정수용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감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고 긍정적인 정서가 높아졌다. 여성 또한 남성과 동일하게 통제감이 증가할수록 긍정주장양식과 삶의 만족도, 긍정적인 정서가 증가하고 통제감이 감소할수록 부정수용양식이 증가하였다. 남성에서 통제감과 부정적 정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여성에서는 통제감과 부정적 정서가 부적상관을 보여 여성의 경우 통제감이 감소할수록 부정적 정서가 증가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통제감, 통제양식, 주관적 안녕감에서 성차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긍정수용양식과 부정주장양식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는데, 긍정수용양식은 남성노인보다 여성노인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부정주장양식은 여성노인보다 남성노인이 더 많이 사용하는 통제양식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문제 3에서는 통제감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통제양식의 조절 또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조절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통제양식은 통제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라 매개효과를 확인해 보았는데 남성노인의 경우, 긍정주장양식이 주관적 안녕감(긍정적 정서)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고 여성노인의 경우, 부정수용양식이 주관적 안녕감(삶의 만족도,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