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vide a learning styl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clarify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in learners. Out of it, it examined the preferred learning style focusing on Chine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vide a learning styl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clarify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in learners. Out of it, it examined the preferred learning style focusing on Chinese learners who possess the highest ratio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these days, and figured out which influence each of the learning styles has upo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In the meantime, the learning sty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mainly limited to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and academic background, and learning styles, in addition to division of a learning style based on learners' country of origin. Thus, this study pointed out problems about a method of classifying and surveying a style, which has been used in learning styl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meantime and arranged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For this, it first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examine a learning style of Chinese learners. Questionnaire was used by translating Willing(1988)'s ‘How do you learn best?’ in Chines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rogressed from October 7, 2013 to October 15 targeting 161 Chinese learners who learn Korean language 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 attached to university. The results of learners' Korean language achievement were set for mid-term and term-end examinations that were carried out at subjects' education institutio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arried out χ2 test and t-test by using SPSS for Window program.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calculated.
As a result, the learning style of being preferred the most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as concrete learning style. It was in order of communicative learning style, authority-oriented learning style, mixed type, and analytic learning styl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individual variables like gender, age, learning period, and rating and in all learning styles. And in consequence of having compared it with learners'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ccording to learning style, the Korean language achievement of learners, who preferred concrete learning style, was higher than the mean score in the whole and was indicated to be higher i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han learners who preferred other learning styles. Also, the learning style, which was preferred the most in the high rank and middle rank, was concrete learning style as a result of Korean language achievement. However, the low rank appeared to have no learning style that is preferred definitely. However, this outcome in learning style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was indicated to no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is analytical outcome, it suggested a teaching plan of having been appli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vocabulary, by grammar, and by four language skills according to each learning style, which is shown in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is study can have significance in a sense of having examined the learning styles of being preferred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of having statistically confirmed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s in learners, but has limitation as well that failed to perform actual instruction according to a teaching plan that was proposed by each of the learning styles. However, when a teacher understands a learning style of being preferred by learners and makes effort to apply it to class by reflecting this, it will develop learners' learning method and a learning strategy, thereby being expected to likely able to obtain positive learning outcome.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을 구분하고,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그 가운데 최근 한국어 학습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중국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을 구분하고,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그 가운데 최근 한국어 학습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선호하는 학습 양식을 살펴보고, 각각의 학습 양식이 학업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그동안 한국어교육에서 학습 양식은 주로 학습자의 출신 국가별 학습 양식 구분과 성별, 연령, 학력 등 개인 변인과 학습 양식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국한되어 있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에 사용된 양식 분류 및 조사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 관계를 정리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중국인 학습자의 학습 양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Willing(1988)의 ‘How do you learn best?’를 중국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 161명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7일부터 10월 15일까지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결과는 대상자의 교육 기관에서 실시한 중간, 기말 시험 성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에는 SPSS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2 검증과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학습 양식은 구체적 학습 양식이었으며, 의사소통적 학습 양식, 권위 지향적 학습 양식, 혼합형, 분석적 학습 양식 순이었다. 그리고 학습자의 성별, 연령, 학습 기간, 급수와 같은 학습자 개인 변인과 학습 양식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학습 양식에 따라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비교해 보았더니 구체적 학습 양식을 선호한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가 전체 평균 점수보다 높았고, 다른 학습 양식을 선호한 학습자들보다도 학업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업 성취도 결과 상위권과 중위권에서 가장 많이 선호한 학습 양식은 구체적 학습 양식이었으나, 하위권에서는 뚜렷하게 선호하는 학습 양식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의 이런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각 학습 양식에 따라 한국어교육에 적용시킨 교수 방안을 어휘, 문법, 네 가지 언어 기능별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선호하는 학습 양식을 알아보고,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확인했다는 의의를 둘 수 있지만, 각 학습 양식별로 제안한 교수 방안에 따라 실제 수업을 하지 못한 한계점도 있다. 그러나 앞으로 교사가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학습 양식을 이해하고 이를 반영하여 수업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있을 때, 학습자들의 학습 방법과 학습 전략을 발전시켜 긍정적인 학습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