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of recent empirical evidence supported that phonological form of a word is automatically assigned to a word and it mediates access of the meaning of a word. This topic has been traditionally the subject of intense debate in word recognition using... Most of recent empirical evidence supported that phonological form of a word is automatically assigned to a word and it mediates access of the meaning of a word. This topic has been traditionally the subject of intense debate in word recognition using various cognitive tasks. In Korean, many researchers have been tried to verify the role of phonology using the semantic categorization task and the masked priming paradigm, but could not find a significant effect.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phonological recoding hypothesis in Korean word recognition by using the non-word lexical decision task and the masked priming task. In Experiment 1, we tested the pseudo-homophone effect on the non-word lexical decision task. The result of experiment 1 showed that phonologically related non-words are processed more slowly as compared to the orthographically related non-words. In Experiment 2, the role of phonology on word recognition was tested in two SOA conditions (60ms, 150ms) in the priming task. The priming condition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phonological priming condition, orthographic priming condition and control condition. When the priming stimulus was presented 150ms, the phonologically related priming stimulus did not show significantly fast reaction time compared to the orthographically related priming condition. However, when the priming stimulus was presented 60ms, the phonological priming condition showed faster processing for the target than other conditions. This indicates that the phonological information mediates lexical access in the prelexical stage. This study found the experimental evidence for the early role of phonology in Korean word recognition proces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future directions for related stud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한국어 단어 재인처리 과정에서 주된 정보의 유형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학계에서 지지되고 있는 음운 정보 중심의 단어 재인 모델이 한글에도 일반화하여 적용할 수 ... 본 연구는 한국어 단어 재인처리 과정에서 주된 정보의 유형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학계에서 지지되고 있는 음운 정보 중심의 단어 재인 모델이 한글에도 일반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단어 재인 연구 초기 음운의 역할을 밝히기 위해 사용한 비단어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하여 한국어 처리과정에서 음운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영어권 결과와 유사하게 실제 단어와 음운적으로 유사한 비단어에 대한 판단시간이 형태적으로 유사한 비단어에 비해 느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과제의 경우에는 실제 단어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데 한계점이 있으므로 연구 2에서 점화 패러다임을 사용한 어휘판단 과제를 사용하여 어휘집 접근 이전에 음운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연구 2는 두 개의 점화 제시조건(60ms, 150ms)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2의 점화 조건은 목표자극에 대응되는 동음 비단어를 사용한 음운조건, 음운 조건과 소리를 다르지만 형태적으로 유사한 비단어를 사용한 표기조건, 음운과 형태와 유사하지 않은 비단어를 사용한 통제조건으로 구분했다. 참가자는 제시되는 목표자극에 대해 어휘판단과제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연구 2-1에서 점화 자극을 150ms로 제시한 조건에서 점화 자극의 특성에 따른 반응시간에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연구 2-2에서 점화 자극을 60ms로 제시한 조건에서는 점화 자극의 특성에 따라 반응 시간의 차이가 유의미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 단어 재인에 있어서 많은 언어권의 단어 재인 연구결과와 일관되게 음운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고, 후속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활용도 분석
View
Usage
Sha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