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어 조어법의 특성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佔據韓國語半數以上的漢字詞成為一般人理解韓國語詞彙體系的重要要素。本稿以一名漢語為母語學習并使用的中國留學生的觀點來瞭解在韓國被使用的漢字詞以及造詞法的特...

佔據韓國語半數以上的漢字詞成為一般人理解韓國語詞彙體系的重要要素。本稿以一名漢語為母語學習并使用的中國留學生的觀點來瞭解在韓國被使用的漢字詞以及造詞法的特性。 第一章提到研究對象,研究目的以及研究範圍和措施,又對先行研究進行了備查。 第二章主要察看了漢字詞的概念和特性。本稿中所說的漢字詞是以漢字作為材料創造的語言,在這個範圍里,他的起源除了中國或者其他國家流入的一些(漢字詞)以外,還包括韓國創造的一些(漢字詞)。這樣的漢字詞在韓國語體系內時間久遠,但是沒有被韓國語完全同化,還保持著中國的漢語屬性。複合語的形成當中保持著中國漢語的語順體系為其特征之一。其中語言切割現象是在日常生活中具有頗大的生產性。漢字詞用具有的現代國語意思的多樣性,通史的多樣性,意思的代表性等連同突出的造詞力,在現代國語中也生產了很多的新詞。 在第三章展開了漢字詞造詞法特性的研究。漢字詞首先分為單純詞和複合語,然後單純語又分為一字單純語和多字單純語。複合語分為派生詞,合成詞,重疊詞,縮略詞。漢字詞與固有詞不同,在漢字詞里能否設定派生接辭的問題是另一個重要的難題。因為構成漢字詞的各要素都是具有固有意味的詞幹,所以構成一個詞匯之後很難分辨出哪個是詞幹,韩语论文网站,哪個是接辭。 第四章對漢字詞的接辭設定基準展開研究。參考很多關於漢字詞接辭設定標準的研究,考察了在韓國語上漢字詞的實際功能。還有考察其用例和意味上的差距的基礎上導出了設定接辭的必要性的結論。而且通過對於和漢語里接辭體系的比較,確認了和韓國語的固有詞不同,和漢語的接辭也不同的韓國語漢字詞接辭的獨特體系。 還有《朝鮮語大辭典》,《我們的話大辭典》,《國語大辭典》,《新國語辭典》,四個辭典登載的漢字詞里用兩個以上的用法選出寫的東西,把漢字詞分為:1,接頭辭-名詞 2,接頭辭-慣型詞 3,接頭辭-慣型詞-名詞 4,慣型詞-名詞 5,韩语论文题目,接尾辭-名詞 6,慣型詞-接尾辭 7,接頭辭-接尾辭 8,接頭辭-接尾辭-名詞等八類,掌握漢字詞的特性。 第五章綜合歸納全文研究內容的基礎上再次確認本研究所具有的意義。

한국어 어휘의 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는 일반 언중들에게 있어 한국어의 어휘 체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고에서는 한어를 모어로 배우고 사용해 온 한 중국 유학생...

한국어 어휘의 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는 일반 언중들에게 있어 한국어의 어휘 체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고에서는 한어를 모어로 배우고 사용해 온 한 중국 유학생의 관점으로 한국에서 쓰이고 있는 한자어의 및 그 조어법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제1장에서는 연구 대상 및 목적을 쓰고 연구 범위, 방법에 대해 언급했으며 선행 연구에 대해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자어의 개념과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말하는 한자어는 한자를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언어이며, 그 범위에 있어, 그 기원이 중국이나 기타 나라로부터 유입된 것 외에 한국에서 만들어진 것도 포함하였다. 이러한 한자어는 한국어 체계 내에서 오랜 세월이 흘렀으나, 한국어로 완전 동화되지 못하고 중국의 한어적인 속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를 보인다. 복합어 형성에 있어 중국 한어의 어순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한 특징이며, 절단 현상 등으로 인쇄물의 지면에서 활발한 생산성을 보인다. 또한 한자어가 지닌 의미의 다양성, 통사적 다양성, 의미의 대표성 등으로 뛰어난 조어력을 지녀 현대 국어에서도 수많은 신조어를 생산해 내고 있다. 제3장에서는 한자어의 조어법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자어의 단어 형성을 우선 단일어와 복합어의 유형으로 나눈 다음 단일어를 다시 일자 단일어와 다자 단일어로 나누었고 또 복합어를 파생어, 합성어, 중첩어, 수략어로 하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고유어에서는 그 파생접사의 기준을 어디까지로 잡느냐의 문제를 논의의 대상으로 하나 한자어의 경우는 파생접사를 한자어에서 과연 설정할 수 있을 것인가의 문제에서 부딪히게 된다. 한자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각기 고유의 의미를 갖는 어근이므로 단어를 형성했을 때 어느 것이 어근이고 접사인지를 구별하는 일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제4장에서는 한자어의 접사 설정 기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자어에서의 접사 설정 기준에 대한 많은 연구 학자들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설정 기준에 대하여서 알아보면서 한국어 속에서 한자어의 실제 기능을 바탕으로 그 용례와 함께 의미적 차이도 함께 반영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 한어에서의 접사와의 체계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한국어의 고유어와도 다르고, 한어의 접사와도 다른 한국어 한자어의 접사만의 독특한 체계를 확인하였다. 또 『조선어 대사전』, 『우리말 큰사전』, 『국어 대사전』, 『새국어 사전』 등 네 사전에 등재된 한자어 가운데서 두 가지 이상의 용법으로 쓰이는 것들을 선정하고 그 한자어들을 1)접두사-명사, 2)접두사-관형사, 3)접두사-관형사-명사, 4)관형사-명사, 5)접미사-명사, 6)관형사-접미사, 7)접두사-접미사, 8)접두사-접미사-명사 등 여덟 가지로 분류하여 한자어 접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제5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내용을 종합하고 정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재확인하였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