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부정법의 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本論文通過對韓國否定法和中國否定法的整理,從中得出韓國否定法和中國否定法的相同點和不同點。韓國語屬于黏着語,而中國語屬于孤立語。韓國語和中國語不僅在形態上有很大的差異...

本論文通過對韓國否定法和中國否定法的整理,從中得出韓國否定法和中國否定法的相同點和不同點。韓國語屬于黏着語,而中國語屬于孤立語。韓國語和中國語不僅在形態上有很大的差異,在構成文章的措施上也存在很大差異。從否定法的方面来講,韓國語和中國語不僅在否定素形態的類型和否定文構成的方式上有很大差異,在否定表現的意味領域也有着很大的區別。本論文通過統辭的、語彙的、派生的實現措施參个方面對韓國語和中國語的否定法進行論述,幷且在意味論的方面也做出略论。
本論文硏究的內容如下所述。
第一,對韓國語的否定法進行論述。通過統辭的、語彙的、派生的實現措施来進行略论。統辭的方面包括‘안’否定法、‘못’否定法以及‘말다’否定法。并且對‘안’否定法和‘못’否定法做出比較略论。語彙的方面,對由‘아니다, 없다, 모르다’而形成的否定法進行略论。派生的方面,以韓國語的否定副詞‘無, 非, 不, 未, 沒’爲中心進行略论。
第二,對中國語的否定法進行論述。首先對中國語否定法的槪念進行略论。其次對中國語否定法從‘不’否定法、‘没(有)’否定法、‘別’否定法及‘是’的否定型四个方面進行略论。
第三,對韓國語否定法和中國語否定法進行對照硏究。首先,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對帶有未完結意思的韓國語‘안’否定法、‘못’否定法与中國語‘不’否定法進行對照硏究。其次,對帶有完結意思的韓國語‘안’否定法、‘못’否定法与中國語‘没(有)’否定法進行對照硏究。再次,對韓國語‘말다’否定法和中國語‘别’否定法進行對照硏究。
第四,韓國語中存在着大量的漢字語,古代漢語中的否定詞依然使用的能够表達否定意義的語彙也相應的大量存在,主要爲由接頭辭‘無, 非, 不, 未, 沒’形成的派生語彙。現代中國語中古代中國語虽然主要以語彙的形式出现,但是仍實現着統辭上的否定詞的語法功能。这是因爲孤立語通過具有實際意義的個體相互結合来表现意義。而在韓國語中‘無, 非, 不, 未, 沒’等接頭辭却表现了黏着語的性格。
因此,韓國語和中國語分別屬于黏着語和孤立語不同的系統中。在對韓國語和中國語的否定法各自的使用措施進行略论的基礎上,尋找出其共同點和不同點,这對于學習韓國語的中國人和學習中國語的韓國人来說,在更好地了解對方語言上能够提供一定的幇助。

본 논문은 한국어 부정법과 중국어 부정법을 대상으로 부정법의 표현방법을 정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한국어 부정법과 중국어 부정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 된다. 교...

본 논문은 한국어 부정법과 중국어 부정법을 대상으로 부정법의 표현방법을 정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한국어 부정법과 중국어 부정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 된다. 교착어에 속하는 한국어와 고립어에 속하는 중국어는 형태적으로 분명한 차이가 있지만 문장 구성의 방법에서도 아주 많은 차이가 있다. 부정법에 있어서도 한국어와 중국어는 부정소 형태의 유형과 부정문 구성의 방식이 다를 뿐만 아니라 부정 표현이 나타내는 의미 영역에도 많은 차이점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부정법의 통사적, 어휘적, 파생적인 실현방법을 통하여 논술하였으며 의미론의 방법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 논의하고 있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부정법에 대해 논하였다. 한국어 부정법은 통사적, 어휘적과 파생적 측면에서 분석한다. 어휘적 측면에서는 아니다, 없다, 모르다 등 어휘적 실현방법에 의한 부정법을 논한다. 파생적 측면에서는 한국어의 부정접두사 `無, 非, 不, 未, 沒'에 의한 부정법을 논한다. 통사적 측면에서는 한국어 부정법은 `안'부정법, `못'부정법과 `말다'부정법으로 구분하여 연구한다. 그리고 부정부사와 서술어의 제약현상에서 의미론의 방법론을 사용해서 `안'부정법과 `못'부정법을 비교한다.
둘째, 중국어 부정법에 대해 논한다. 중국어 부정법의 개념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중국어 `不'부정법과 `沒(有')부정법을 분석하고 비교한다. 그리고 중국어 `別'부정법, 중국어 부정 부사와 `是'의 부정형도 분석한다.
셋째, 한국어 부정법과 중국어 부정법을 대조한다. [-완결]의 의미가 있는 `안'부정법과 `못'부정법은 중국어의 `不'부정법에 대응되며 [/완결]의 의미를 가지는 `안'부정법과 `못'부정법은 중국어의 `沒(有')부정법에 대응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명령문과 청유문에 쓰이는 `말다'부정법과 `別'부정법을 대조한다.
넷째,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많이 차지하는 현실에 고대 중국어 부정소가 그대로 쓰이는 부정적 어휘들이 많다. 접두사 `無, 非, 不, 未, 沒'으로 인한 파생어 어휘를 만들어진다. 이 중에서 많은 어휘는 기존 의미를 상실하거나 한국어 조어법으로 개조한다. 현대 중국어에서 고대 중국어 부정소를 어휘의 형식으로 나타내지만 통사적인 부정소의 문법기능을 나타낸다. 고립어가 실제 의미가 있는 개체로 결합하여 의미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한국어에서 `無, 非, 不, 未, 沒'이란 접두사는 교착어의 성격을 잘 나타낸다.
따라서 한국어와 중국어는 각각 교착어와 고립어로서 서로 다른 계통에 속하는 언어이다. 한국어와 중국어 부정법에 대해 각각 사용방법을 살펴보고 검토한 바탕으로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들과 중국어를 학습하는 한국인들이 상대 언어를 더 잘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