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파생부사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Study on Derivate Adverbs in Korean Language Hong-Mei Ji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aims at morphologically categorizing Korean derivational adverb...

The Study on Derivate Adverbs in Korean Language

Hong-Mei Ji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aims at morphologically categorizing Korean derivational adverbs listed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1999)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The study investigates Korean derivational adverbs first dividing them into external and internal adverbs in terms of their morphological forms.
External derivational adverbs are categorized into prefix-, suffix- and zero- derivational adverbs, and among those, suffix-derivational adverbs are further subcategorized into category-preserving and category-changing ones. With respect to their etymological origins, derivational adverbs can also be classified into three subtypes: native Korean words, Sino-Korean words and mixed words.
Most internal derivational adverbs ar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hese words tend to be overlapping in their morphological categorization: they have been often dealt both in internal derivation and compounding in previous morphological studies.
In this study, however, internal derivational adverbs are extracted first by identifying minimal pairs of phonemic and semantic alternatives and then by analyzing their immediate constituents. The minimal pairs have vowel-alternating and consonant-alternating pairs in accordance with semantic changes. The base form of the vowel alternating pairs is set to be light vowels while that of the consonant-alternating pairs is set lax consonants.
This analyzes and identifie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rivational adverbs by characterizing derivational affixes of Korean derivational adverbs. Suffix-derivational adverbs, which are the most common form of derivational adverbs, have various types of adverbial suffixes. In addition to the ones listed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some postpositions and suffixes affix to a particular set of stems and form adverbs.
The most productive adverbial suffix is ?i(이). This adverbial suffix displays different combinatorial patterns according to the types of its stems. When it attaches to a free morpheme, it often describes a sense of ‘repetition’, and it generally comes after a stem ending in the consonant ‘s(ㅅ)’ in an onomatopoeic or mimetic word. As for with bound stems, -i(이) shows different distributions with respect to the etymological origins of stems. Unlike native Korean stems, most Sino-Korean words cannot be followed by the adverbial suffix. Meanwhile, -hada (하다) adjectives ending in s(ㅅ) combine with suffix ?i(이) after dropping ?ha(하). The etymological categorization of derivational adverbs allows more thorough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derivational adverbs.

Key words: derivational adverb, morphology, prefix, suffix, immediate constituent
analysis, onomatopoeia, mimetic word

한국파생부사 연구 김 홍 매 강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본 연구는 국립국어연구원에서 발간한『표준국어대사전』(1999)에 등재된 파생부사를 대상으로 형태론적으로 분류하여 ...

한국어 파생부사 연구
김 홍 매
강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본 연구는 국립국어연구원에서 발간한『표준국어대사전』(1999)에 등재된 파생부사를 대상으로 형태론적으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고는 파생부사를 형태론적 측면에서 외적 파생부사와 내적 파생부사로 나누어 다루었다.
외적 파생부사는 접두파생부사, 접미파생부사, 영접사파생부사로 나누고, 접미파생부사는 선행어기의 특성에 따라 어류유지 접미파생부사와 어류변화 접미파생부사로 나누었다. 외적 파생부사의 하위분류를 다시 어원에 따라 고유어, 한자어, 혼종어로 나누어 그 파생양상을 살펴보았다.
내적 파생부사는 대부분이 의성의태어이다. 의성의태어는 중첩의 양상을 띤 단어들이 많은데, 이러한 단어들을 단어형성을 논의하는 연구들에서는 내적파생법에 귀결시켜 다루는 동시에 합성법에서도 다루었다.
본고는 내적 파생부사에 대해 1차적으로 음운교체 양상, 의미적 유연성에 따라 대립쌍을 추출하고 다시 직접구성요소분석에 의해 파생부사에 속하는 단어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대립쌍들을 그 의미적 변화에 따라 모음교체에서는 양성모음이 쓰인 단어를 바탕어기로 하고 자음교체에서는 평음으로 쓰인 단어를 바탕어기로 정하였다.
본고는 파생부사를 이루는 접사의 특성에 따라 파생부사의 형태론적 특징을 분석 규명하였다. 파생부사의 주류를 이루는 접미파생부사는 다양한 유형의 접미사가 있다. 그리고 사전에 등재된 접미사 외에도 특수한 어기와 결합하여 접미사의 기능을 발휘하는 조사나 어미가 있다. 파생부사를 이루는 접미사 중 부사화 접미사 ‘-이’의 생산성이 가장 높다.
부사화 접미사 ‘-이’에 의한 파생부사는 선행어기에 따라 그 결합양상이 차이를 보인다. 선행어기가 자립형태소일 경우 중첩의 양상을 많이 나타내며 의성의태어와의 결합에서 선행어기의 어말자음이 ‘ㅅ’인 경우가 다수를 차지한다. 선행어기가 비자립 형태소인 경우 고유어와 한자어에 따라 그 결합양상이 차이를 보이는데, 한자어는 고유어와 달리 접미사 ‘-이’와의 직접적인 결합이 대체로 불가능하다. 또한 ‘-하다’형용사에서 고유어 어근의 어말자음이 ‘ㅅ’일 경우 ‘-하-’가 탈락되고 ‘-이’가 첨가된다. 파생부사를 어원적인 측면에서 고유어, 한자어, 혼종어로 나누어 비교 분석함으로써 파생부사의 형태론적 특징을 더욱 면밀히 규명할 수 있었다.

핵심어 : 파생부사, 형태론, 접두사, 접미사, 직접구성요소분석, 의성어, 의태어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