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aphor and metonymy expressed in the adjectives for the sense of sight, from the cognitive semantic point of view, which people perceive most basically and physically in their linguistic life. The study is to analyze sem...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aphor and metonymy expressed in the adjectives for the sense of sight, from the cognitive semantic point of view, which people perceive most basically and physically in their linguistic life. The study is to analyze semantic structure of polysemy words of the adjectives for the sense of sight. Based on this analysis, it intends to point out the inner relationship between semantic system of the adjectives for sight and the meaning of them. It attempts to look into several examples of conceptual metaphors and metonymy and reveals their characteristics. It is to explain the consciousness structure related to the language of the users of the modern Korean language, who have new experiences in daily life, to examine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adjectives for the sense of sight and the appearance of extend meaning. In addition, it considers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each pair of adjectives for the sense of sight whenever the meanings of them are extended. People metaphorically understand some abstract concepts as some objects existing in physical world or immovable events as moving objects in space. Such metaphorical understanding is reflected in language.
The contents discuss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2, various theories on the metaphors, metonymy, and image schemas are reviewed. These concepts are the main topic of cognitive semantic theor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Chapter 3 analyzes the semantic meaning of 13 pairs of adjectives for the sense of sight. It also examines thoroughly how the meanings of the adjectives of the senses in Korean language is extended by metaphors and metonymy, and then considers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each pair of adjectives for the sense of sight.
In Chapter 4, the characteristics of metaphors and metonymy from the adjectives for the sense of sight analyzed in chapter 3, are comprehensively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metaphors and metonym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s of adjectives for the sense of sight are extended by the OBJECT metaphor, the COLOR(WHITE - BLACK) metaphor, the CONTAIR metaphor, the BRIGHTSS metaphor, and the LINK metaphor are prevalent among IMAGE-SCHEMA metaphors. Second, there are many vertical and horizontal metaphors in Korean: [UP-DOWN] MORE IS UP, LESS IS DOWN; HAVING FORCE IS UP, BEING SUBJECT TO FORCE IS DOWN; GOOD IS UP, BAD IS DOWN, [CLOSE-DISTANT] GOOD IS CLOSE, BAD IS DISTANT; SAME IS CLOSE, DIFFERENT IS DISTANT; FRIENDLY IS CLOSE, UNFRIENDLY IS DISTANT etc. That is, abstract concepts are metaphorically understood in terms of concrete concepts. Third, if the meanings of the adjectives for the sense of sight are extended by metaphors, the opposite relation between them tends to keep up, but if those of them are extended by cognitive mechanism associated with metonymy, the opposite relation between each pair of them tends to break up.
본 연구는 현대 국어 사용자들의 언어와 관련된 의식 구조를 밝히기 위해서 감각형용사 중에서 시각형용사를 대상으로 삼아 시각형용사가 한국어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어떤 인지...
본 연구는 현대 국어 사용자들의 언어와 관련된 의식 구조를 밝히기 위해서 감각형용사 중에서 시각형용사를 대상으로 삼아 시각형용사가 한국어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어떤 인지 과정을 거쳐 의미를 확장해 가는지를 인지의미론적 관점에서 살피고 그 특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시각형용사 반의어 쌍을 중심으로 현대 국어 사용자들이 낱말을 인지하는 과정과 다양한 의미 확장을 인지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여기에 나타나는 인지 작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인지언어학을 이해하기 위해서 인지언어학의 기본적인 원리와 주요 개념 및 연구 방법들을 검토하였다. 인지언어학의 기본 전제인 체험주의(experientialism)적 견해를 비롯하여 원형이론, 영상도식, 은유와 환유 등 시각형용사의 인지 과정과 의미 확장의 원리 및 기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13개의 시각형용사 반의어 쌍을 명암형용사(‘맑다/흐리다’, ‘밝다/어둡다’, ‘짙다/옅다’), 색채형용사(‘희다/검다’, ‘하얗다/까맣다’), 크기형용사(‘길다/짧다’, ‘깊다/얕다’, ‘가깜다/멀다’, ‘높다/낮다’, ‘넓다/좁다’, ‘굵다/가늘다’, ‘두껍다/얇다’, ‘크다/작다’)로 나누어 의미를 분석하였다. 사전 의미와 실제 말뭉치 용례, 인터넷 검색을 통해 각 어휘가 원형 의미에서 어떻게 의미가 확장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각 어휘의 다의적 성격을 파악하고 기본적 지각 단계를 거쳐 확장되는 추상 영역의 의미를 원형 의미를 기준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은유와 환유를 중심으로 하는 비유적 원리에 의해 파생된 확장 의미를 인지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살펴본 시각형용사 반의어 쌍의 확장 양상을 정리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의미가 확장을 할 때 대립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대립 양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은유와 환유에 의한 의미 확장 양상을 살펴보면, 대체로 존재론적 은유와 지향적 은유에 의한 의미 확장이 활발하였다. 존재론적 은유에 의한 확장 양상을 크게 [사물 은유], [색채 은유], [그릇도식 은유], [명암 은유], [연결도식 은유]로 살펴보았다. [사물 은유]는 [시간은 사물], [마음은 사물], [생각은 사물], [범위는 사물], [감정/태도는 사물], [소리는 사물], [맛은 사물], [관계는 사물], [지식/능력은 사물] 등 9개의 하위 은유로, [색채 은유]는 [감정은 색채], [시간은 색채], [선악(善惡)은 색채], [아름다움과 아름답지 않음은 색채] 등 4개 하위 은유로 살펴보았다. [그릇도식 은유]는 [몸은 그릇], [마음은 그릇], [감정/태도/성격은 몸(그릇) 속의 내용물] 3개의 하위 은유로, [명암 은유]는 [소리는 명암], [시간은 명암], [감정은 명암] 3개의 하위 은유로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경험을 통해 비가시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화하여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지향적 은유에 의한 확장은 [위-아래 도식 은유], [거리 도식 은유]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각형용사의 환유적 양상은 크게 [부분이 전체를 대신한다], [신체의 생리적 반응으로 감정을 대신한다]로 나타났으며, [부분이 전체를 대신한다] 환유는 [신체의 일부분이 사람을 대신한다]는 것과 [소유물이 소유자의 사회적 지위를 대신한다]의 나누어 살펴보았다.
시각형용사 반의어 쌍들의 의미 대립 양상에서는 의미 확장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어휘가 모두 일치를 이루며 의미를 확장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시각형용사 반의어 쌍 대부분이 구체적인 대상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낼 때는 객관성 또는 척도성을 가진 원형 의미에서 대립 관계를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각형용사 중 명암형용사와 크기형용사 반의어 쌍은 공감각적 은유, 특히 청각적 감각과 미각적 감각으로 의미가 확장이 될 경우 대립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의미 분석을 통해 시각형용사 반의어 쌍 사이의 유사한 의미 확장의 원리와 기제가 적용되어 의미가 확장되는 경우 원형 의미에서 성립된 대립 관계가 계속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환유에 의해서만 의미가 확장될 때’, ‘환유에 의해 의미가 전이된 후 다른 은유 또는 환유에 의해 의미가 확장될 때’, ‘은유에 의해 다른 개념 영역으로 의미가 전이된 후 환유에 의해 지칭 기능을 할 때’는 대립성이 유지되지 않았다. 이를 ‘맑다/흐리다’, ‘희다/검다’, ‘하얗다/까맣다’, ‘넓다/좁다’, ‘두껍다/얇다’ 등을 통해 알 수 있었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