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 습득 패턴을 살펴보기 위하여 1년간의 종단 연구(longitudinal study)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 습...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 습득 패턴을 살펴보기 위하여 1년간의 종단 연구(longitudinal study)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 습득 패턴이 학습 초기에 빠르게 습득되고 그 이후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지, 아니면 점진적으로 경험에 비례해서 습득이 향상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외국어 소리 습득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 있게 수용되고 있는 지각동화모델(Perceptual Assimilation Model)과 음성학습모델(Speech Learning Model)을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습득 패턴을 통해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 연구 대상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모음 체계 및 외국어 습득 모델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3장은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험의 피험자, 실험 자료, 실험 방법, 분석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모음을 대조하는 음향음성학적 산출 실험 결과를 제시하고, 한국어와 중국어 모음의 실제 발화에 나타나는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5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가 2~3개월 간격으로 1년 동안 산출한 한국어 모음 /i, e, ɨ, ʌ, a, u, o/의 습득 패턴에 대한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의 습득 패턴을 지각동화모델과 음성학습모델의 대응 관계에 따라 분류한 후 각 모델을 검증하였다. 7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을 제시하고 논문의 의의 및 문제점 등을 짚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학습자가 산출한 한국어 모음 /i, e, ɨ, ʌ, a, u, o/에 대한 습득 패턴은 혀의 최고점의 높낮이(F1)와 혀의 최고점의 앞뒤 위치(F2)에서 대부분 6개월이나 9개월 시점까지 향상을 보이다가 더 이상 향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험에 비례해서 분절음의 정확도가 높아진다는 원형저장모델(exemplar model)보다는 학습 초기인 6~9개월 동안 가장 큰 폭의 향상이 일어난다는 Flege(1987b), Munro & Derwing(2008)의 주장을 더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지각동화모델과 음성학습모델을 검증한 결과 두 모델이 대부분 유사한 예측을 하고 있었지만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모국어와 목표 언어의 소리가 유사하여 습득의 어려움을 예측하는 경우였다. 지각동화모델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모음 /u/를 한국어 모음 /o/로 혼동하여 산출의 어려움을 겪는다는 구체적인 설명이 가능하였다. 반면, 음성학습모델에서는 한국어 /u/와 중국어 /u/, 한국어 /o/와 중국어 /u/를 대응시켜 각 모음의 습득 유무에 대해서는 설명할 수 있었지만 한국어 모음 /u/를 잘 습득할 수 없는 이유는 설명할 수 없었다. 따라서 학습자의 모국어와 목표 언어와의 대응 관계에 따른 습득 예측에서는 지각동화모델이 조금 더 설명력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 습득에 대한 구체적인 변화 양상을 관찰한 실증적인 종단 연구라는 점에 가장 큰 의의가 있다.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1년간의 한국어 모음 습득 패턴을 밝혔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외국어습득모델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of the Korean vowels. Specifically I examine whether Korean monophthongs are acquired rapidly in early stages of learning or if they develop rather gradually in prop...
This study provides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of the Korean vowels. Specifically I examine whether Korean monophthongs are acquired rapidly in early stages of learning or if they develop rather gradually in proportion to the learners’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further tests empirically 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henceforth PAM) and Speech Learning Model (henceforth SLM),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ost influential models to account for the acquisition of second/foreign language sound system.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pres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reviews previous research, and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 for foreign phoneme acquisition. The second chapter introduces the methodology of the experiments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such as participants, stimuli, procedure,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third chapter compares the Korean and Chinese monophthongs in terms of acoustic measurements. The forth chapter provides the results of Korean vowel acquisition patterns. The acoustic measurements were done every two to three months for a year based on the recording of the vowels /i, e, ɨ, ʌ, a, u, o/ produced by of Chinese speakers. The fifth chapter verifies PAM and SLM based on the Korean vowel acquisition patterns of Chinese learners according to the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L1 and L2 sounds as proposed by PAM and SLM. Chapter six concludes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findings of Flege(1987b), Flege et al,(1992), and Munro & Derwing(2008) in that the biggest improvement in L2 vowel acquisition occurs during the initial six to nine months of learning. Most of L2 vowels are rapidly improved during the first six or nine months of Korean learning before reaching the constant stage. This result does not support the exemplar model which suggests that the more experience learners have with the sound segment, the more accurate their production becomes.
Furthermore, most of the present results are shown to be similarly explained by the 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and Speech Learning Model, and the only discrepancy between these two models is found in the "similar" category of sounds between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Specifically, the acquisition pattern of /u/ and /o/ in Korean is well accounted for in the model of the PAM, but not in the SLM. The SLM did not explain why the Chinese learners had difficulty in acquiring the Korean vowel /u/, because according to the SLM, the vowel /u/ in Chinese (the native language) is matched either to the vowel /u/ or the vowel /o/ in Korean (the target language). Namely, there is only one-to-one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ve 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In contrast, the Chinese learners' difficulty for the Korean vowel /u/ is well accounted for in the PAM in that the Chinese vowel /u/ is matched to the vowel pair /o, u/ in Korean, not the single vowel, /o/ or /u/.
This study hold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s an empirical longitudinal study on Korean vowel acquisition of Chinese learners. Howev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nsider the learner’s acquisition patterns beyond the first year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detailed acquisition pattern of the L2 sound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