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국제 결혼 이주 여성의 일본어 발음 습득 종단 분석 : 자연 발화를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Most internationally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difficulty with systematic and proper language acquisition due to constraints in time and everyday life. Immigrant women who marry Japanese and settled in Japan often use Japanese in their everyday li...

Most internationally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difficulty with systematic and proper language acquisition due to constraints in time and everyday life. Immigrant women who marry Japanese and settled in Japan often use Japanese in their everyday lives, but they are often in a difficult environment to study systematically. For this reason, although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speech studies for learners who have studied at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it is difficult to find out how the Korean migrant women learn how to pronounce Japanese. However, according to the trend of globalization, Korea - Japan relations will become more active in the future and migrant women are expected to increas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grasp the pronunc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rough the research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pronunciation system and problems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longitudinal investigation. In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examin all items found in the Japanese pronunciation of internationally married Korean migrant women and analyz the actual conditions through longitudinal analysis. We extracted items that differed from the standard pronunciation from the spontaneous speech of a subject living in the Akita Prefecture and created an analytical database. Based on standard language, 32 items of phonologically different pronunciation were found and a frequency of 566 cases were observed of misuse. Of these, 114 were affected by Akita dialects, and 452 cases were analyzed as misleading (including cases of misuse as Akita dialects) as a standard language. Through longitudinal analysis based on such pronunciation items and frequencies, we synthetically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learning pro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The following 7 pronunciation items were shown to have been affected by Akita dialect: the voiced of unvoiced (79 cases), the transition from single-kana sounds to contracted sounds (9 cases), ablaut (15 cases), insertion of long vowels (1 cases), shortening of long vowel (7 cases), insertion of syllabic nasal (2 cases), the transition of a diphthong to a single sound (1 case). Due to this, the subject’s pronunciation affected by Akita dialect was observed. The pronunciation misuse items that the subject had difficulty with in the misuse of standard language were observed as: the unvoiced of voiced (77 cases), spirantization of affricate (74 cases), the transition from single-kana sounds to contracted sounds (51 cases), ablaut (35 cases), long vowel shortening (29 cases), insertion of long vowels (28 cases), dropped consonant (18 cases), the transition from contracted sounds to single-kana sounds (15cases), deletion of ‘wa’ line consonants (14 cases), insertion of double consonants (13 cases), and these 10 items took up approximately 78% with a total of 354 cases. It was confirmed through longitudinal analysis that internationally married Korean immigrant women did not naturally acquire standard Japanese language and Akita dialect as their duration of stay in Japan elapsed. The most common misuse of the Korean learner was in the pronunciation misuse category, but it was observed that the typical pronunciation of the subject, ablaut, spirantization of affricate, and dropped consonant were observed. Although it was mentioned in the previou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part that the pronunciation of fossilization is taking place due to the influence of Korean as a mother tongue and the naturally acquired dialect of Japanese.

대부분의 국제 결혼 이주 여성은 시간과 일상적 제약으로 인해 체계적이고 올바른 발음 습득이 어렵다. 일본인과 결혼하여 일본에 정착한 이주 여성들은 일본어를 일상 생활 속에서 많이 사...

대부분의 국제 결혼 이주 여성은 시간과 일상적 제약으로 인해 체계적이고 올바른 발음 습득이 어렵다. 일본인과 결혼하여 일본에 정착한 이주 여성들은 일본어를 일상 생활 속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체계적으로 공부하기는 어려운 환경에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학교 등 교육 기관에서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음성 연구는 현재까지 많이 찾아볼 수 있으나 한국인 결혼 이주여성이 일본어를 어떻게 습득하고 있는지 어떤 식으로 발음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세계화의 흐름에 따라 향후 한일관계는 더 활발해질 것이며 이에 따라 이주여성은 증가할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결혼 이주 여성의 발음 체계 및 문제점에 관한 고찰과 종단적 조사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피험자의 발음 특징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이주여성의 자연 발화에 나타난 표준어와 다른 일본어 발음 항목 전체를 조사하여 그 실태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아키타현에 살고 있는 피험자의 자연발화에서, 표준어 발음과 다른 것을 추출하여 발음분석용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였다. 표준어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음운적으로 상이한 발음이 31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오용 건수로는 총 566건이었다. 이 중 아키타 방언의 영향을 받은 114건은 제외하고 표준어로서 오용으로(동시에 아키타 방언으로서도 오용인 경우를 포함) 452건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발음 항목과 빈도수를 토대로 종단 분석을 실시하여 그 습득 과정의 실태를 종합적으로 살펴 보았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아키타 방언으로서의 정용은 총 7항목이다. 무성음의 유성음화(79건), 요음의 직음화(9건), 모음의 교체(15건), 장음의 삽입(1건), 장음의 탈락(7건), 발음의 삽입(2건), 연모음의 단음화(1건)이 관찰되었으며 피험자의 아키타 방언의 사용 실태를 알 수 있었다. 표준어로서의 오용에서 피험자가 어려움을 겪는 발음 오용 항목은 유성음의 무성음화(77건), 파찰음의 마찰음화(74), 직음의 요음화(51건), 모음 교체(35건), 장음의 탈락(29건), 장음의 삽입(28건), 자음 탈락(18건), 요음의 직음화(15건), ワ행음의 탈락(14건), 촉음 삽입(13건) 이 관찰되었으며 이 10항목이 354건으로 전체의 약78%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일본 체류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표준어와 아키타방언이 자연적으로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종단 분석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발음 오용항목에서 한국인 학습자의 일반적인 주요 오용 항목도 나타났지만 피험자의 전형적인 발음으로 보이는 모음 교체, 파찰음에 마찰음화,자음 탈락이 관찰되었다. 선행 연구에서도 언급되었지만 이러한 부분을 통하여 모국어인 한국어의 영향과 일본 현지에서 자연 습득한 방언의 영향으로 발음의 화석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