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
고 정 옥
지도교수: 고은
...
국문초록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
고 정 옥
지도교수: 고은
보건경영대학원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G 광역시에 위치한 병원 중 재활의학과 병동을 운영중인 10개 병원의 재활의학과 병동에서 근무중인 간호사 중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로 동의하한 24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김매자와 구미옥(1984)의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Arthur (1995)의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측정도구(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 instrument; PSCNI), Dawis와 Lofquist (1984)가 개발한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를 박아이린(2005)이 한국어로 번역하여 타당도를 확인한 K-MSQ를 사용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α= .98, .87, .91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3.34±0.61점이었고 교육정도(K=7.13, p=.028), 총 임상경력(F=3.62, p=.02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2.68±0.32점이었고 연령(F=4.70, p=.003), 결혼상태(t=-4.87, p<.001), 종교(t=4.33, p<.001), 직위(t=-3.84, p<.001), 근무형태(F=8.87, p=.01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는 3.17±0.39점이었으며 연령(F=2.93, p=.035), 종교(t=3.26, p=.001), 총 임상경력(F=3.19, p=.04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나 매우 낮은 음의 상관관계가(r=-0.13, p=.042), 직무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은 중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46, p<.001). 직무스트레스와 전문직 자아개념, 현 근무병동에서의 경력과 근무병원의 규모는 직무만족도를 약 25.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7.52, p<.001).
결론 : 본 연구결과 재활병동 간호사의 긍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은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재활병동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정립을 위한 교육 및 간호실무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임상간호행정의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직무스트레스,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도, 재활, 간호사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