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문법식 교수법 한계를 인정하고 인지적 접근을 통한 교육 방법의 필요성에 의해 시도되었다. 인지적 접근을 통한 교수법으로 직관화가 쉬운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조사 ...
본 논문의 목적은 문법식 교수법 한계를 인정하고 인지적 접근을 통한 교육 방법의 필요성에 의해 시도되었다. 인지적 접근을 통한 교수법으로 직관화가 쉬운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조사 ‘에’와 ‘에서’를 제시하였다. 조사 ‘에’와 ‘에서’는 공간적 범위를 나타내는 내적 공간 ‘에’와 ‘에서’, 외적 공간 도착, 목표, 지향점을 나타내는 의미의 착점 ‘에’와 출발을 나타내는 ‘에서’로 구분하였다.
제2장에서 멀티미디어(동영상)를 이용한 조사 ‘에’와 ‘에서’ 기본의미를 살펴보고 이미지화 하였다. 내적 공간 ‘에’는 공간 안에 ‘있다/없다’로 표현하였고, 내적 공간 ‘에서’는 공간 안에 움직임을 나타내었다. 외적 공간 ‘에’는 밖에서 안으로 들어오는 표현이고, 외적 공간 출발 ‘에서’는 안에서 밖으로 나가는 모양을 이미지화하였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실험대상자를 선정, 사전검사를 시행하여 세 집단으로 나누었다. 세 집단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A, B 집단, 문법적으로 접근한 C 집단이다. A 집단은 내적 공간 ‘에’와 ‘에서’를 먼저 제시하고, B 집단은 외적 공간 ‘에’ 와 ‘에서’를 먼저 제시하였다. 그 실험을 분석한 결과 A 집단 25.5%, B 집단 18%, C 집단 16% 증가율을 보였다. 이로써 “학습자에게 ‘에’와 ‘에서’를 제시할 때 내적 공간 ‘에’와 ‘에서’를 제시하고 외적 공간 ‘에’와 ‘에서’를 제시하는 것이 좋다”는 가설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 ‘에’와 ‘에서’의 기본 이미지를 제시하고 인지적 접근을 하였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모국어 화자처럼 직관화 시키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라고 하였다. 멀티미디어를 많이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지만, 기본의미를 이미지화한 조사 ‘에’와 ‘에서’의 제시는 초급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cknowledge the limit of grammatical teaching method, and tried upon the necessity of education method through cognitive approach.
Postposition ‘에’ and ‘에서’ is divided as internal space ‘에’ and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cknowledge the limit of grammatical teaching method, and tried upon the necessity of education method through cognitive approach.
Postposition ‘에’ and ‘에서’ is divided as internal space ‘에’ and ‘에서’ as spatial extent and as external space describing arriving, target and directing point ‘에’ and starting ‘에서’.
In chapter 2, I reviewed basic meaning of postposition ‘에’ and ‘에서’ using multimedia(video), and made it to image. ‘에’ as internal space is described as a ‘is/is not’ in space, and ‘에서’ as internal space is described as a movement in space. ‘에’ as external space is described as its coming in from outside, and ‘에서’ as external space starting is described as an image going out from inside.
In chapter 3 and 4, a preliminary inspection is performed for selected test subject divided three groups. A, B group is to use multimedia, and C is for grammatical approach. Group A is presented with internal space ‘에’ and ‘에서’ first, and group B is presented with external space ‘에’ and ‘에서’. As a result, group A showed 25.5% increase, group B 18% and group C 16%.
For this, I proved the hypothesis that presenting ‘에’ and ‘에서’ as internal space to learners first and ‘에’ and ‘에서’ as external space later is better when ‘에’ and ‘에서’ is presented to learners. This research showed basic image of postposition ‘에’ and ‘에서’, and did cognitive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o be intuitive as much as native language. Though there was limit to show many multimedia, I expect that to make basic meaning of postposition ‘에’ and ‘에서’ into image could contribute to help beginners to understand and make learning efficiency higher.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