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어휘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한국어 어휘들을 교재들에서 살펴보고 그에 따라 어휘 ... 본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어휘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한국어 어휘들을 교재들에서 살펴보고 그에 따라 어휘 범주와 배치를 통해서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특수한 한국어 어휘들을 선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서 세 가지 연구 내용을 구성하였다. 첫째,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재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서 그들을 위한 한국어 교재들이 어떤 것들이 있고 그 교재들은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학습자들을 위한 요구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둘째,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어휘 범주들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한국어 어휘를 제안하였다. 셋째, 정리한 한국어 어휘들을 토대로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을 살펴보고 또한 어휘 교수 요목을 제시하였다. 외국인 노동자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에 관한 3가지 주제의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첫째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 관한 연구, 둘째 외국인 노동자 학습자 요구에 관한 연구 그리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교육을 다룬 연구들이었다. 이는 외국인 노동자라는 특수한 학습자에 초점을 맞춘 연구여서 선행연구의 필요성이 인정된다. 그리고 본 연구의 취지에 맞는 예비조사가 될 수 있도록 어휘 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으며 그 중에서도 최근 5년간 나온 학위 논문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어휘 범주 및 배치의 방법론적인 검토를 위해서 외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교육 틀이나 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교육 틀 그리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교육 틀을 종합하여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맞는 어휘 목록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4종을 분석하면서 의사소통 영역별로 한국어 교재의 어휘 범주를 나누었다. 크게 9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인사, 직장생활, 일상생활, 색깔/모양/상태, 신체, 자연, 취미/여가/쇼핑, 교통/통신/방향, 공공시설로 살펴보았다. 이렇게 어휘 범주를 나눈 뒤에는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를 배치하였다. 연구방법은 방법론적 검토를 통해 의사소통 영역별로 어휘 범주를 나눈 뒤에 4종의 교재들에서 다루고 있는 공통어휘와 비공통어휘를 나누었다. 그 후에 국립국어원에서 편찬한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를 토대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꼭 알아야 할 어휘들과 함께 살펴보고 나서 외국인 노동자용 한국어 교육 어휘 요목을 설계했다. 연구 결과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은 학습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생과는 다르게 직장과 관련된 어휘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주제어를 살펴보면 면접하기, 작업설명하기, 지시하기, 설명이해하기와 같은 주제어가 들어가서 그와 관련된 어휘 교육이 꼭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select and analyze vocabulary in Korean textbook for foreign workers. Most of the textbooks are for academic students there are not many textbook for foreign workers. Noticed on foreign workers, they need also Korea textbook. This s... This study aims to select and analyze vocabulary in Korean textbook for foreign workers. Most of the textbooks are for academic students there are not many textbook for foreign workers. Noticed on foreign workers, they need also Korea textbook. This study is focused on Vocabulary education in Korean textbook for foreign workers. The study first surveys previous research for foreign factory workers on Korean textbook. Next, based on this research survey vocabulary categories were constructed and specific vocabulary selected for factory workers. Third, an appropriate language curriculum and the basis for a syllabus are offered. A methodical survey and synthesis of syllabi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Provides a basis for suggestion vocabulary categories and their arrangement. Vocabulary was divided by range of usage and distinguished between common and uncommon as they appeared in Korean textbooks. This synthesis of Korean textbooks and the vocabulary suggested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 Language . Suggests a vocabulary list for foreign workers and, more important, a rationale for their selection and organization that better assist the learners. Vocabulary for foreign workers can be divided into nine field based on communication need: Greeting, Workplace, Daily life, Color·Shape·State, Body, Nature, Leisure life, Transport·Communication, Public institution. Each of field has functional part: salute·introduce, interview·explain·order·understand, get a information·ask·discuss·make a plan, order a food·express my opinion·give a opinion·explain a situation, explain a reason·explain a symptom, build a plan, to shopping·tell a experience·suggest·count, compare·take a transportation·get a direction, get a information·use a public service·business. This study is limited by the lack experiential data, ie. the recommended vocabulary and categories have not been used in the class room and no foreign workers were consulted. This study is focused on Korean learners working in Korean factories. The list of fundamental vocabulary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ir corresponding categories are a reference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xt book development.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