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전설고모음화 현상의 발생과 전개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이 현상의 지역적 분포, 이로 인한 어간 재구조화 양상을 살피는 것이다. 전설고모음화 현상은 선행자음... 본 논문의 목적은 전설고모음화 현상의 발생과 전개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이 현상의 지역적 분포, 이로 인한 어간 재구조화 양상을 살피는 것이다. 전설고모음화 현상은 선행자음이 ‘ㅅ, ㅆ, ㅈ, ㅊ’일 때, 후설모음 ‘으’가 전설모음 ‘이’로 변화하는 것으로 이 현상의 본질, 즉 변화의 성격은 2장에서 다루어진다. 본고는 전설고모음화를 일종의 동화현상으로 보고, 선행자음의 [구개성]에 의해 ‘으’가 ‘이’로 변화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3장에서는 각 지역을 대방언권으로 나누고, 각 방언권에서 간행된 문헌을 중심으로 전설고모음화의 발생과 전개 양상을 다룬다. 문헌상의 자료에 따르면 전설고모음화 현상은 19세기 초에 서남 방언과 동남 방언에서 발생하였으며 중부 방언에서는 19세기 말에 처음 나타난다. 서남 방언에서의 전설고모음화 현상은 환경에 관계없이 빠르게 확산되었으나, 동남 방언에서는 19세기 말엽에 가서야 확산되기 시작한다. 현대한국어시기의 전설고모음화 현상은 4장에서 다루어진다. 서남방언과 동남방언은 형태소 내부에서는 활발하게 실현되지만, 형태소 경계에서는 활용의 경우에 한정된다. 한편 서남 방언에서는 ‘ㄹ, ㄷ, ㄴ’ 뒤에서도 ‘으’가 ‘이’로 변화한다. ‘전설고모음화’라는 음운 변화로 인해 어간이 재구조화를 겪기도 한다. 형태소 경계와 인접하지 않은 경우 기저형의 변화만 일어나고, 형태소 경계와 인접한 경우 교체 양상의 변화도 일어난다. 5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