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국어 의성의태어의 형태와 음운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is to consider the morphological and phonological characteristic of onomatopoeia in modern Korean. Numerous studies have been made on onomatopoeia and discussed this subject in two perspectives; repetition and replacement. In...

The purpose of this is to consider the morphological and phonological characteristic of onomatopoeia in modern Korean. Numerous studies have been made on onomatopoeia and discussed this subject in two perspectives; repetition and replacement. In this , however, I classified the subject into three categories, 'repetition, 'insertion', and 'replacement', and discussed the phonological structures of these words concerning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changing mechanisms.
In chapter 2, I examined existing definitions of onomatopoeia and determined the definition and categories of onomatopoeia in this . The onomatopoeia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repetition type' which is formed by repeating same element, 'insertion type' which is formed by inserting additional element, and 'replacement type' which has no change of syllable numbers but has change of internal alteration. Furthermore, I examined these aspects in other languages to show the universality and specialty of Korean onomatopoeia.
The repetition type can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in three ways and each group has been examined in chapter 3. Firstly, on the basis of size of the repeating element, we have whole repetition type and partial repetition type. Secondly, on the basis of sound sameness, we have complete repetition type and similar repetition type. Thirdly, on the basis of grammatical function, we have form repetition type and sound repetition type. It was observed in this chapter that the repetition type of Korean onomatopoeia can be divided into morphological repetition and phonological repetition type and the result agrees with Inkelas(2005). Most whole repetition type is caused by morphological repetition and most partial repetition type is caused by phonological repetition.
In chapter 4, the insertion type is classified into morphological element insertion and phonological element insertion. The phonological element insertion type looks similar to the partial repetition type, but a close look at of these two type reveals the difference in phonological condition. Partial repetition occurs when the base morpheme has syllable structure (CV).CVC and the initial consonant of last syllable is coronal consonant. Phonological insertion occurs when the base morpheme has syllable structure CV.CVC and initial grave consonant. When the syllable structure is CVC.CVC, a syllable has to be inserted regardless of articulation place of initial consonant.
Chapter 5 discusses phoneme replacement conditions in onomatopoeia. Particularly in this chapter, I focussed on simple type or complete repetition type and similar repetition type, and compared the two types. The replacement aspect in complete repetition type shows the nuance differentiation and it is restricted to semantic component. On the other hand, the replacement aspect in alternative repetition type causes the sound image difference, typically in shape of Ø:C. In this case, the rear constituent takes more marked structure than the front one.

연구현대국어 의성의태어의 형태·음운론적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의성의태어의 형태·음운론적 특징과 관련된 대부분의 논의에서는 의성의태어의 형태 변화 과정을 '반복'...

연구현대국어 의성의태어의 형태·음운론적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의성의태어의 형태·음운론적 특징과 관련된 대부분의 논의에서는 의성의태어의 형태 변화 과정을 '반복'과 '교체'로 구분하였으나, 의성의태어의 형태 변화 과정, 특히 형태가 확장되는 과정을 '반복'이라는 영역에서 모두 다루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대국어 의성의태어에서 일어나는 형태 변화 과정을 '반복', '첨가', '교체'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 형태 변화 양상 및 변화의 기제를 의성의태어의 음운론적 구조와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의성의태어에 대한 기존의 개념 정의를 검토하고 본고의 연구 대상이 되는 의성의태어의 개념 및 범주에 대해 언급하였다. 그리고 의성의태어의 유형을 형태론적 내부 구조 혹은 형태론적 변화 양상에 따라 분류하였다. 즉 기존 형식과 같은 요소를 되풀이한 형식은 '반복형'으로, 기존 형식과 다른 별도의 요소를 덧붙인 형식은 '첨가형'으로, 그리고 기존 형식에서 크기의 변화 없이 자모음 교체를 통한 내적 변화만 일어난 형식을 '교체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예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의성의태어에서 확인되는 '반복', '첨가', '교체' 등의 형태 변화 양상이 다른 언어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의성의태어의 언어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의성의태어의 음운론적 구조를 음절수, 음절 구조, 음절 위치별 음소 빈도 등을 중심으로 하여 계량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의성의태어의 형태 변화 과정, 특히 '부분반복'과 '첨가' 등의 부분적 형태 확장 과정이 의성의태어의 음운론적 구조와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2음절에서 확장된 3음절 의성의태어에서 3음절의 초성 자음은 'ㄷ, ㄹ, ㅅ, ㅈ' 등이 전형적이며, 이들의 대부분은 2음절의 초성 자음을 반복한 것이거나('부분 반복') 2음절 초성 자음과는 다르지만 무표적 자음인 'ㄷ'과 'ㄹ' 중 하나를 선택한 것('음운론적 첨가')임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반복형 의성의태어의 유형을 세분화하였다. 먼저 반복 요소의 크기에 따라 전체 반복형과 부분 반복형으로 구분하고, 반복 요소와 반복 대상의 음성적 동일성 여부에 따라 완전 반복형과 불완전 반복형(유사 반복형)으로 구분하였으며, 반복어 구성 요소의 의미 기능이나 문법적 자격 등에 따라 동형 반복과 동음 반복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형태·의미론적 차원의 반복'과 '음운론적 차원의 반복'을 구분한 Inkelas(2005)의 논의를 검토하고 이러한 분류 방식이 한국어 반복형 의성의태어의 유형 분류 및 형성 과정 분석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대국어의 반복형 의성의태어도 형태론적 반복에 의한 것과 음운론적 반복에 의한 것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체 반복형과 부분 반복형이 각각 형태론적 반복과 음운론적 반복에 의한 것임을 보였다. 즉 대부분의 전체 반복형 의성의태어는 형태·의미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를 결합하는 '형태 중복'에 의한 것이고, 대부분의 부분 반복형 의성의태어는 기존 형식과 음운론적으로 같거나 유사한 요소를 덧붙이는 '음운론적 반복'에 의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기존에 부분 반복형 의성의태어로 분류되었던 어휘 중에는 기존 형태의 반복이 아닌 새로운 형태를 첨가하여 형성된 어휘가 있으며, 이들 어휘는 반복형이 아닌 첨가형으로 분류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첨가의 유형을 형태론적 요소 첨가와 음운론적 요소 첨가로 구분하고, 이 중 음운론적 요소 첨가 과정이 앞에서 살펴보았던 부분 반복 과정과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음운론적 첨가형과 부분 반복형의 음절 구조와 마지막 음절의 형태가 유사하지만, 첨가와 반복이 일어나는 음운론적 조건, 다시 말해 원 형태의 음절 구조와 마지막 음절 초성에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 즉, 원 형태의 음절 구조가 (CV).CVC이면서 마지막 음절의 초성 자음이 설정음일 때에는 부분 반복이 일어나고, 원 형태의 음절 구조가 CV.CVC이면서 마지막 음절의 초성 자음이 주변음일 때에는 음운론적 첨가 일어나며, 원 형태의 음절 구조가 CVC.CVC일 때에는 마지막 음절의 초성 자음의 조음 위치와 상관없이 음절 삽입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음운론적 첨가의 과정에서 첨가되는 음절의 초성 자음은 'ㄷ' 또는 'ㄹ'인데 이 중 어떤 것을 음절 두음으로 선택하는지는 원 형태의 2음절 초성 자음에 따라 결정됨을 확인하였다. 즉 음절 삽입의 결과 2음절 초성과 3음절 초성 자음은 조음 위치 또는 조음 방법에서 차이를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5장에서는 의성의태어에서 일어나는 음운 교체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이 장에서는 단순 형식 또는 완전 반복 형식에서 일어나는 자·모음 교체의 양상과 유사 반복 형식에 나타난 자음 교체, 모음 교체, 음절 교체의 양상을 구분하여 살펴보고, 두 경우의 교체 양상 및 교체의 효과가 서로 상이함을 논의하였다. 특히 단순 형식 또는 완전 반복 형식에서 일어나는 자음 교체를 초성 위치의 자음 교체와 종성 위치의 자음 교체로 나누고, 이중 초성 위치의 자음 교체는 '평음-경음-격음'의 대립을 보이는 경우와 '마찰음-파찰음-파열음'의 대립을 보이는 경우로 다시 구분하였다. 그리고 자음 교체와 모음 교체가 일어나는 음절의 위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어감 분화와 관련된 음운 교체의 위치는 '의미부'에 한정됨을 언급하였다. 한편 유사 반복어에서 일어나는 자모음 교체는 반복어의 구성 요소 간의 음상 차이를 유발하기 위한 것이며, 전형적인 대립 유형은 Ø:C이다. 유사 반복어에서 일어나는 모음 교체 역시 구성 요소 간의 음상 차이를 유발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선행 요소보다는 후행 요소가 더 유표적인 구조를 취한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