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연어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n this study, the confrontation aspects of collocation of Korean verbs in Chinese were examined through the methodology of contrastive linguistics. And the correspondence principles of Korean collocation in Chinese were also analyzed. The structure ...

In this study, the confrontation aspects of collocation of Korean verbs in Chinese were examined through the methodology of contrastive linguistics. And the correspondence principles of Korean collocation in Chinese were also analyzed. The structur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one, the previous studies, the motivation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nd the scope and method were discussed.
In chapter two, firstly, the concep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llocation were examined and then the definition and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of collocation were presented.
In chapter three, the theories to compare Korean collocation with Chinese were presented. When Korean collocation are corresponded to Chinese, the syntactic structur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argument structure is identical. So using the argument theory to examine the correspondence rules of Korean collocation in Chinese is possible. As for there is a kind of collocation that is composed of predicative noun and support verb, the correspondence rules of Korean collocation in Chinese were examined using the theories about predicative noun and support verb. And in many cases, some Korean collocations are corresponded to passive expression in Chinese, so the theories of passive expression of Korean and Chinese were introduces and analyzed.
In chapter four, correspondence in syntactic context were examined. In this case, there are two kinds of correspondence appearances when Korean collocation is corresponded to Chinese. One is that all of the components of Korean collocation have equivalents in Chinese. The other is that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Korean collocation has no equivalent in Chinese. In this chapter, the case of the former was analyzed. In this case there are two kinds of types. One is that the syntactic structure is identical and the other is the complete opposite. When the syntactic structure is identical, the argument structure is identical too, so there is no unique correspondence appearances. When the syntactic structure is different, the correspondence appearances are complicated, so these correspondence appearances were analyzed specifically.
In chapter five, the case corresponded in sense was analyzed. Semantic correspondence means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Korean collocation has no equivalent in Chinese. Regarding this case, two kinds of types exist. One is that all overall meanings of Korean collocation is paraphrased into Chinese. And the other is that the predicate of Korean collocation has no equivalent in Chinese. In the former, there is no correspondence rule, because this correspondence appearance is caused by the difference of express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the latter is the type of “predicative noun / support verb”. In this case I used the theories about predicative noun and support verb to define the correspondence principle.
Chapter six is a summary of the .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presented.
For a phenomena of language, not only the intrinsic analysis but also the external panoramic observation is necessary. We can analyze the phenomena of a language deeply and objectively by comparing the language with another. So,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correspondence appearance of Korean collocation in Chinese, and I hope that it can be useful for the study of Korean collocation.

Key words : collocation, verb, contrastive study, Chinese, collocation’s argument structure, predicative nouns, support verb, syntactic correspondence, semantic correspondence.

연구는 대조 언어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연어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을 동사 중심으로 분석하여 한국연어중국어에서 대응 원리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

연구는 대조 언어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어 연어의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을 동사 중심으로 분석하여 한국어 연어의 중국어에서 대응 원리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연어를 주제로 한 연구들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기존에 연어에 관한 이론들, 특히 연어에 관한 정의, 유형과 특징 등에 대하여 정리한 후 본 논문에서 연어에 대한 정의와 분류 기준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 연어의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근거로 할 수 있는 논항 이론, 술어명사와 기능동사에 관한 이론과 피동 표현 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4장에서는 통사적으로 한국어 연어와 대응하는 경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어 연어가 중국어로 대응할 때 크게 두 가지 대응 양상이 나타났다. 하나는 한국어 연어의 구성 요소가 중국어에서 모두 대응어가 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어 연어의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중국어에서 대응어가 없는 것이다. 4장에서는 먼저 연어에서의 구성 요소가 모두 대응어가 있는 경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런 경우는 또 두 언어에서 통사 구조가 일치하는 것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눠서 진행하였다. 두 언어에서 통사 구조가 일치하는 경우는 논항 구조까지 일치하여 두 언어에서 공통된 특성이다. 통사 구조가 다른 경우는 보다 복잡한데 일반적으로 심층의 논항구조가 서로 일치한다는 사실을 논항 이론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제5장에서는 의미적으로 한국어 연어와 대응하는 경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의미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은 한국어 연어의 구성 요소에서 적어도 하나가 중국어에서 대응어가 없어서 연어의 전체적인 뜻을 파악하여 대응 양상을 분석해야 된다는 뜻이다. 이런 경우에는 또 두 가지 대응 양상이 있다. 하나는 한국어 연어의 전체적인 의미가 중국어로 의역되는 경우, 하나는 한국어 연어에서 서술어가 중국어에서 대응어가 없는 경우이다. 첫 번째 경우는 두 언어에서 표현상의 차이로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대응 원리가 찾을 수가 없다. 두 번째 경우는 한국어 연어가 주로 “술어명사/기능동사”형인 경우이다. 이런 경우에 대하여 주로 술어명사와 기능동사에 관한 이론을 통하여 그 대응 원리를 밝혔다.
6장에서는 본 논문의 논의를 간단하게 정리하고 앞으로 연구에서 해결되어야 할 부분을 밝혔다.
한 언어현상에 대하여 언어 내부적인 분석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객관적인 위치에서의 관찰도 필요하다. 한 언어현상에 대한 두 언어에서의 대조분석을 통하여 내부적인 분석을 통하여 발견할 수 없는 언어현상의 객관적인 분석을 더 깊이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연어가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 연어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핵심어: 연어, 동사, 대조 연구, 중국어, 연어의 논항구조, 술어명사, 기능동사, 통사적 대응, 의미적 대응.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