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요구 분석을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요구’의 내포된 의미 가운데 ‘결핍’, ‘기대’, ‘필요조건’... 본 연구의 목적은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요구 분석을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요구’의 내포된 의미 가운데 ‘결핍’, ‘기대’, ‘필요조건’으로서의 요구를 중심으로 자료 수집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의 하위개념으로 분류되는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은 큰 수요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문 목적과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에 비하여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 앞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하여 요구 분석을 통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 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의 특성을 검토한 결과 선교 목적의 한국어 교육 현장은 전세계적으로 범위가 넓으며 학습 대상자는 매우 다양하다. 그리고 교사 역할을 수행하는 선교사들은 한국어 전문 지식에는 개별적 차이가 있지만 사명감과 봉사정신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교 목적 한국어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특정 선교 현장의 ‘결핍’과 ‘기대’사항을 반영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필요조건’의 관점으로 선교 한국어 어휘가 무엇인지 선정하고 교수요목 설계 시 주제·내용 중심 교수요목 및 어휘 교수요목이 적합하다고 파악되었다. 앞에서 언급한 ‘결핍’, ‘기대’, ‘필요조건’으로서의 요구를 밝히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핍’으로서의 요구를 밝히기 위하여 현재 실행 중인 에티오피아 한별학교의 한국어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현재의 문제점 및 결핍사항을 알아보았다. 프로그램 분석은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교수-학습 상황’, ‘교수-학습 내용’, ‘교수-학습 평가’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둘째, ‘기대’로서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사와 학습자로 대상을 나누어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별학교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고 110명의 청소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필요조건’으로서의 요구를 밝히기 위하여 선교 목적 한국어 프로그램에서 학습자가 알아야 하는 선교 한국어 어휘를 선정하였다. 어휘 선정을 위하여 말뭉치를 이용한 빈도 조사와 전문가의 어휘 중요도 판정을 실시하는 절충적 방법을 취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한국어 프로그램 분석을 통하여 현재 한별학교에서는 교실 당 학생 수가 다른 문제, 체계적인 교재의 부재, 교육 기자재의 결핍, 선교 목적를 위한 한국어 프로그램의 부재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 면접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선교하는 동시에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도 배양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대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들이 교실언어인 현지어 사용 능력 향상과 교사 1인당 학생수가 균형을 바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학생 설문 조사 결과 학생들은‘선생님의 수업’이 학습에 도움이 되며 ‘둘이서 짝지어 연습하는’ 교실 활동을 좋아하며 ‘말하기’와 ‘듣기’ 언어 기능 향상을 바라고 기독교 내용을 배운다면 ‘성경 말씀’을 통해 수업하는 것을 바란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어휘 선정 절차에 따라 <1차 목록>으로 선교 한국어 어휘를 507개로 정리하였고, 507개의 어휘를 대상으로 빈도 통계조사와 전문가 판정을 거친 결과 <청소년을 위한 선교 한국어 어휘> 목록으로 108개의 명사가 선정되었다. 이러한 요구 분석 결과를 반영한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에티오피아 한별학교의 환경과 상황을 중심으로 한 교수요목을 설계하였으며 기독교 주제와 선교 한국어 어휘가 포함된 11주의 특별 코스를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요구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은 그 특수한 목적에 맞도록 기독교 내용을 포함하면서 의사소통 배양의 목적도 고려하여 개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선교에 대한 목적의식의 주체는 교사(선교사)이기 때문에 교사들의 의견 수렴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특정한 현장 상황에 맞는 내용 선정을 위하여 기관, 교사, 교육과정 개발자의 협력이 요구된다. 셋째,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을 실시 할 때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어 교육용 선교 한국어 어휘가 선정되고 교수요목 설계에도 반영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선교 목적에 맞는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한국어 교육을 통한 선교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