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청소년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암환부모를 대상으로 스트레스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여 스트레스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적합한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

본 연구는 암환부모를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여 스트레스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적합한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2011년 11월 1일에서 2012년 4월30일 사이에 서울특별시 소재의 C 대학병원, 소아혈액종양 및 조혈모세포이식 병동에 재원중인 소아암 환아를 돌보는 만 18세 이상의 부모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총 175부를 회수하였다.
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송인숙(1998)의 역할 스트레스 도구와 삶의 질 측정을 위해 M. A. Weitzner 등(1999)이 개발하여 윤영호 등(2005) 이 한국어판으로 번역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korean version of the Caregiver Quality of Life Index-Cancer (CQOLC-K)를 사용하였으며 각 도구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s α=.86, Cronbach's α=.90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총 175부로 PASW Statistics 18.0으로 기술통계,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와 Scheffe, LSD test, Pearson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어머니 87.4%, 30대 이하가 59.4%, 대학교 이상이 65.6%,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77.7%로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소득은 300~400만원 미만 32.8%, 월평균 의료비 지출은 100만원 이상이 38.3%, 환아의 의료비 지출에 대한 경제적 부담은 44.6%에서 약간의 곤란을 겪으며 90.8%에서 완치가 될것으로 기대하였다.
2. 질병관련 특성은 백혈병이 88.5%, 최초 진단 후 경과기간은 6개월 미만, 1년~2년 미만이 각 28%, 치료기간은 6개월 미만 32.8%이며 항암화학요법만을 받은 경우는 75.3%, 항암화학요법과 조혈모세포이식을 병행한 경우는 10.9% 였고 , 치료에 대한 결정권자는 44.6%에서 응답자 본인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한 전체 평균점수는 56.16, 각 문항별 스트레스 평균은 2.34인 것으로 나타났다.전체 삶의 질 점수 평균은 69.58, 각 문항별 삶의 질 평균은1.99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는 가구소득(F=3.835, p=.005), 의료비 부담(F=7.971, p=.000), 경제적 부담(F=9.307, p=.000)의 변인들이, 삶의 질은 가구소득(F=2.770, p=.000), 의료비 부담(F=10.655, p=.000), 경제적 부담(F=9.403, p=.000)의 변인들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질병 특성에 따른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으며, 삶의 질은 치료요법 중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경우가 삶의 질 점수가 낮았다.
6.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r=-0.676(p=0.000)인 것으로 나타나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를 줄여 삶의 질을 높이는 간호중재의 개발 및 소아암 환아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의료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암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을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of the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the parents who has pediatric cancer. This analysis give the information data to relieve the stress and improve quality of life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h...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of the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the parents who has pediatric cancer. This analysis give the information data to relieve the stress and improve quality of life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his survey conducted from November 1, 2011 to April 30, 2012.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in PASW 18.0 to get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Scheffe analysis.
Result are as follow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175;87.4% women, 65.5 percent graduated university, 34.9 percent has not religeon, and 77.7 percent has not economic activity. Household income of family members 32.8% 3~4 million won, 38.3% average monthly medical costs over 1 million won, financial burden for medical care of patients with a 63.5 percent.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re leukemia 88.5%,period less than 6 months after first diagnosis 28.0%. Then 44.6% respondents was determine on the chemotherapy and various tests.
A stress of the parents has a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usehold income (F=3.276, p=.008), medical cost (F=7.971, p=.000), economic burden (F=9.307, p=.000).
Quality of life of the parents has a difference in household income (F=2.770, p=.000), medical cost (F=10.655, p=.000), economic burden (F=9.403, p=.000).
Quality of life of the parents to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has a difference in stem cell transplantation (F=2.839, p=.005).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s follow;
Quality of life was founded to be negative correlated with stress (r=-.676, p=.000).
Based on this results, quality of life of the parents who has pediatric cancer may be decreased in more stress. Therefore, an effort to alleviate the stress,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rents should be continually made.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