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실어증 환자의 문장 이해 : 처리 결함 관점의 접근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실어환자들은 뇌손상으로 인해 언어의 이해 및 산출에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실어환자들이 보이는 언어 영역의 손상이 어떤 특징을 갖는지, 왜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지는 오랜 연구...

실어증 환자들은 뇌손상으로 인해 언어의 이해 및 산출에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실어증 환자들이 보이는 언어 영역의 손상이 어떤 특징을 갖는지, 왜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지는 오랜 연구의 관심사였다. 그 중에서도 문장 이해 과정에서 나타나는 결함은 주어지는 자극이나 실험 방식의 조작에 따라 언어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연구들을 통해 밝혀진 문제의 원인을 설명하고자 한 일부 가설들은 특정 손상 유형이나 통사 구조에 기반을 둠으로써 개인차 및 언어차를 포괄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었다. 최근 연구 기법의 발달에 힘입어 실어증 환자들의 문장 이해 기능이 완전히 상실된 것이 아니며, 정상인과 유사하지만 그 속도나 효율성 측면에서 손상 또는 왜곡된 경향을 보이는 증거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흐름에서 빈번히 활용된 것이 능동문과 피동문에서 나타나는 수행의 차이였으며, 주로 국외에서 진행된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통사 및 처리의 복잡성이 높은 피동문에서 낮은 정확도와 길어진 반응시간이 관찰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의 특성을 반영한 실험 자극으로 구성된 문장-그림 짝짓기 과제를 사용하였으며, 정반응수와 반응시간을 측정한 실험 결과를 근거로 통사 기반 가설의 한계를 언급하고 처리 기반 가설의 타당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에서 태와 어순 요인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험 1을 실시하였고, 실험 1의 조건과 비교하여 자극제시를 지연시킴으로써 처리 부담이 가중된 실험 2의 조건에서 실제로 이해의 어려움이 증가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실험 3에서는 문장 성분 및 어순은 동일하되 서술어의 의미로 피동이 형성되는 의미적 능ㆍ피동문을 사용하여, 형태적 능ㆍ피동문을 사용하였던 실험 1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피동 표현 자체가 지닌 처리 부담이 이해의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음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든 실험 결과에서 실어증 집단이 정상 집단에 비해 정반응수가 적고 반응시간이 길어 상대적인 문장 이해의 어려움이 확인되었으나, 두 집단의 반응 패턴이 유사하고 실어증 환자들도 우연 수준 이상의 수행을 보임에 따라 문장 이해 능력이 완전히 손상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1과 2의 결과를 통해 실어증 집단과 정상 집단 모두 정반응수 및 반응시간에서 어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행위자가 먼저 등장하는 조건의 이해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실어증 집단도 언어적 단서를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한편, 실험 2의 처리 부담이 가중된 조건에서 두 집단 모두 반응시간이 길어졌으나 실어증 집단의 증가폭이 더 컸으며, 상대적으로 높았던 능동문의 정반응수가 피동문 수준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어증 환자들이 겪는 문장 이해의 어려움이 처리 부담에 취약하기 때문일 수 있음을 짐작케 하였다. 실험 3에서 두 집단 모두 서술어의 의미 외에 조사 및 접사의 영향이 배제된 의미적 피동문에서도 능동문에 비해 낮은 반응정확도와 증가된 반응시간이 관찰되었으며, 이 같은 양상은 피동문의 통사적 구조 때문이라기보다는 피동 의미 자체가 지닌 처리의 어려움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어증 환자들이 처리 부담에 민감하며, 피동 의미 자체가 지니고 있는 처리의 부담이 존재하기 때문에 특정 통사 구조에 국한된 연구 가설들이 한계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한국어의 특성이 반영된 자극을 사용하여 한국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처리 관점의 실제적 연구 사례를 확보함으로써 관련 변인을 탐색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everal models of comprehension deficits in agrammatic aphasia rely on structural impairments in syntactic representations. However, there are cross-linguistic differences in their word order and syntactic structure that are closely related with sente...

Several models of comprehension deficits in agrammatic aphasia rely on structural impairments in syntactic representations. However, there are cross-linguistic differences in their word order and syntactic structure that are closely related with sentence comprehension. Recent studies have investigated online sentence processing in aphasia and found that divergences exist in aphasics' sentence-processing routines depending on the reason for the processing defici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vidence for a particular processing approach based on the language-specific characteristics of Korean. First, Korean permits relatively free "scrambling" of the verb's arguments, so that both the agent-theme and the theme-agent pattern are perfectly acceptable. Second, Korean has two different types of passive voice. One is the "morphological passive" (in experiment 1 and 2) where a suffix is used, while the other is the "semantic passive" (in experiment 3), which is derived solely from a verb that has the properties of a passive meaning (ex: "danghada" means "undergo something").
To compare individuals' sentence-comprehension abilities, this study measured the accuracy and reaction times (RT) of 16 aphasic patients (AP) and 16 normal controls (NC) during a sentence-picture matching task; this consisted of a pair of color pictures with opposite thematic relations for each stimulus sentence. In experiments 1 and 2, four versions of a sentence were constructed with the two types of voice (active/passive) and two types of word order (agent-first/patient-first). These two experiments used basically the same sentence, except that the procedure was different. To examine the effects of increased processing demand, experiment 2 was designed for comparison with experiment 1. In experiment 2, picture stimuli were manipulated in such a way that they appeared immediately after the sentence was presented. Meanwhile, for comparison with the "morphological passive" (in experiment 1), the test items in experiment 3 consist of sentences containing the "semantic passive" with the basic agent-first order.
As expected, the AP group showed higher error rates and longer RT for all conditions than the NC group, which were almost at the ceiling in all conditions. Furthermore, Korean speakers with aphasia performed above a chance level in sentence comprehension, even with passive sentences, which contrasts with the results supporting the trace-based hypothesis, formulated from research on aphasic adults using English. In experiment 1, there were significant major effects of voice and word order when it came to accuracy and RT: Aphasics understood sentences more quickly and accurately when they were given in the active voice and with agent-first order. The patterns of the NC group were similar. These results confirm that Korean adults with aphasia do not completely lose their knowledge of sentence comprehension. In experiment 2, the processing demand was increased by delaying the picture stimulus onset;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f experiment 1. However,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voice and group, as well as word order and group for RT measure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increased processing demands on reaction times was more pronounced in the AP than in the NC group.
In experiment 3, both groups showed higher error rates and longer RT in the passive condition, irrespective of sentence type (morphological/semantic). This result indicates that more capacity is needed to understand passive expressions, and frequency of usage was considered one of the possible factors affecting this result.
These findings fit well with the idea that the computational system for interpreting sentences is intact in aphasics, but its ability is compromised when processing demands increas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hasic impairment of sentence comprehension can be explained by the processing deficit rather than the grammar-oriented hypothesis.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