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문장 종결 표현에 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현대한국어의 종결어미와 현대 중국어(한어)의 문말 어기사가 문장 종결 표현임을 알고, 두 언어의 문장 종결과 관련되는 내용을 대조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

본 논문은 현대한국어의 종결어미와 현대 중국어(한어)의 문말 어기사가 문장 종결 표현임을 알고, 두 언어의 문장 종결과 관련되는 내용을 대조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의 종결어미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중국어 어기사를 문장 종결 표현의 시각으로 연구한 업적은 거의 없었다. 그리고 한ㆍ중 양국어에서 문장 종결 표현을 대조적으로 연구한 선행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제Ⅱ장에서는 한국어 종결어미를 분류한 중요한 선행 연구 업적을 소개하고, 본고에서 생각하는 종결어미의 분류 체계를 세웠다. 종결어미는 문장 종결법에 의하여 각각 평서형 종결어미, 의문형 종결어미, 명령형 종결어미, 청유형 종결어미, 감탄형 종결어미로 나누었고, 상대높임법에 따라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하십시오체(이상 격식체)와 해체, 해요체(이상 비격식체)로 나누었다. 제Ⅲ장에서 중국어 어기사의 관한 연구들을 총괄하고 본고의 방식대로 문말 어기사 분류 체계를 세웠다. 문말 어기사는 어기에 의해 진술 어기사, 의문 어기사, 기사 어기사와 감탄 어기사로 나눴다. 또한 어기사의 혼동, 연용, 합음의 문제도 다루어 그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제Ⅳ장에서는 위와 같은 각각의 연구에 따라 한·중 문장 종결 표현을 대비하였다. 먼저, 한·중 문종결 표현의 대비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를 고찰하고, 종결어미와 문말 어기사의 문법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에 따라서 한·중 문종결 표현이 제Ⅳ장의 <그림-1>처럼 대비 관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한국어의 일반 종결어미는 평서형 종결어미, 의문형 종결어미, 명령형 종결어미, 감탄형 종결어미로 나뉘며 이들은 각각 중국어에서 진술 어기사, 의문 어기사, 기사 어기사와 감탄 어기사과 대비 관계가 되며, 한국어의 청유형 종결어미는 중국어의 기사 어기사의 하위분류인 재촉 어기사와 대비 관계임을 논의하였다. 체계적인 대비를 하고 종결어미와 문말 어기사의 공통점과 차이점도 각각 대조하여 제시했다. 그러나 본고는 한·중 문장 종결 표현과 관련되는 억양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못하였음을 덧붙여 둔다.

This study aims at the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sentence final endings on condition that Korean sentence final endings and Chinese sentence final particles or mood markers (語氣詞) are functionally same. Though not a few discussio...

This study aims at the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sentence final endings on condition that Korean sentence final endings and Chinese sentence final particles or mood markers (語氣詞) are functionally same. Though not a few discussions on Korean sentence final endings have been made so far, a new effort on the viewpoint of Chinese sentence final mood markers has never been tried. Furthermore, the contras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sentence final endings has never been made previously. In chapter 2, we have introduced the previous works related to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sentence final endings, and established the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those endings. They have been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such as indicative, interrogative, imperative, suggestive, and exclamative endings according to sentence final endings in one part, and into 6 categories such as haera, hage, hao, hasipsio (formal style), hae, and haeyo (informal style) according to honorific systems for listener in the other part. In chapter 3, we have introduced the previous works related to the Chinese sentence final particles, and established the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those particles. They have been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such as indicative, interrogative, requesting suggestive, and exclamative particles according to mood. We have also dealt with confusion, linking usage, and liason of particles for its solution. In chapter 4, we have contrasted the sentence final endings or particles of Korean and Chinese based upon the above discussions. In the first place, we have reviewed what the reasonable correspondence of Korean and Chinese sentence final endings should be, and ascertained that it should be as <Figure 1> according to grammatical and semantic traits of the two. In this system Korean indicative, interrogative, imperative, exclamative endings correspond to Chinese indicative, requesting suggestive, exclamative particles. Korean suggestive endings correspond to Chinese impelling suggestive particles of sub-division of requesting suggestive particles.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common and different features of the two have been presented. It is pity that we did not mention the intonation contour related to sentence final endings and particle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