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들의 영어 시제와 상 습득에 관한 연구 : 과거, 현재완료, 과거완료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and acquisition order of English tenses(e.g. past, present perfect, and past perfect) and aspects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learning English in EFL circumstances. Furthermor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and acquisition order of English tenses(e.g. past, present perfect, and past perfect) and aspects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learning English in EFL circumstances. Furthermore, it will check whether this result supports the‘Aspect Hypothesis’by Andersen and Shirai(1996).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76 students(36 boys and 40 girls) who were in the first year in high school. They were instructed to complete 72 sentences by changing the forms of verbs with proper tenses within 45 minutes. The cloze-test included four categorized verbs proposed by Vendler in 1967: statives, activities, accomplishments, and achievements. The results of the test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and three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only analyzing in terms of using tenses, every group divided by gender or levels received high scores in past tense; however, they could not complete sentences correctly using present perfect and past perfect. The reason students easily understand and use past tense is because Korean and English both have past forms of verbs.
Second, when analyzing the result of the study focusing on‘lexical aspect’, every group received high scores in accomplishments and activities.
Third, the result of the study did not support‘Aspect Hypothesis’, which states the order of verb acquisition as“accomplishments·achievements > activities > statives”. Students showed better acquisition with activities than achievements, and there can be three reasons for this. According to Oh Duk-hee(2007), some English statives can be translated into statives and activities in Korean and that is why Korean students tend to translate statives into activities. Second, Kim Eun-ju(2003) insists activities are acquired earlier because of students’first language input. Most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ypically introduce progressive before perfect, and progressive is related with duration and dynamicity which are main characters of activities. Lastly, according to‘Morpheme Order Studies’by Brown(1973, p. 274) and Krashen(1988, p. 59), L1 and L2 learners acquired progressive among other English morphemes, and it can be a possible reason why students acquired activities first.
Also, statistic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program to check if the result of the study is meaningful statistically.
The result of T-tests showed tha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ys’and girls’acquisition order of verbs. However, the result of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high-level, intermediate-level, and low-level in thei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rough the study, we can infe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xpect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using perfect forms of English. Therefore, English teachers need to put their efforts in developing a grammar teaching model that can help students enhanc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fluency and accuracy.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사의 시제(과거, 현재완료, 과거완료) 사용 능력을 평가하는 빈 칸 채우기 형식의 질문지를 완성하게 함으로써 EFL 상황에서 영어를 배...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사의 시제(과거, 현재완료, 과거완료) 사용 능력을 평가하는 빈 칸 채우기 형식의 질문지를 완성하게 함으로써 EFL 상황에서 영어를 배우고 있는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의 시제와 상 이해 정도 및 습득 순서를 알아보고, 이 결과가 Andersen과 Shirai(1996)의‘상 가설(Aspect Hypothesis)’에서 제시한 동사습득 순서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Vendler(1967)의‘어휘적 상(lexical aspect)’분류에 따른 상태동사(statives), 행위동사(activities), 도달동사(accomplishments), 성취동사(achievements)로 구성된 72문항의 질문지를 제작한 후 76명(남학생 36명, 여학생 40명)의 학생들에게 45분의 제한 시간 내에 빈 칸 옆에 주어진 동사를 시제에 맞게 변형하여 써 넣도록 지시한 후, 그 결과를 성별·수준별(상, 중, 하) 집단으로 분류하여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제 사용 능력 측면에서만 분석해보았을 때, 성별·수준별로 분류한 모든 집단에서 과거시제의 정답률이 높게 나온 반면, 현재완료 시제와 과거완료 시제 정답률은 현저히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어와 영어 둘 다 과거형이 있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과거시제의 이해 및 활용을 쉽게 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동사의 내재적 의미인‘상’의 개념에 중점을 두어 Vendler(1967)의‘어휘적 상’에만 초점을 맞춰 연구 결과를 분석해본 결과 남·녀 집단과 상·중·하 수준별 집단 모두 성취동사와 행위동사의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 결과가‘상 가설’에서 제시한 동사 습득 순서인‘성취동사 ․ 도달동사 > 행위동사 > 상태동사’와 일치하는지 살펴보았더니, 행위동사의 정답률이 도달동사보다 높게 나타나는 결과가 나오며‘상 가설’의 동사 습득 순서와 일치하지 않았다. 이처럼 행위동사가 먼저 습득된 원인으로 세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첫째, 오덕희(2007)는 상태동사를 한국어로 옮길 때 상태동사와 행위동사로 모두 해석이 가능한 경우가 많아 학습자들이 상태동사를 동작성이 있는 행위동사로 해석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이 행위동사가 먼저 습득된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둘째, 김은주(2003)는 학습자들의 초기 언어 입력 도구인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완료형보다 진행형이 먼저 소개되는데, 진행형이 행위동사의 대표적 성격인 상황의 지속성이나 역동성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는데, 이 또한 학습자들이 행위동사를 먼저 습득하게 된 원인 중 하나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Brown(1973, p. 274)과 Krashen(1988, p. 59)의‘형태소 순서 연구(Morpheme Order Studies)’에 따르면 L1과 L2 학습자들이 영어의 여러 형태소 중 진행형을 가장 먼저 습득하였는데, 이것이 영어 학습자들로 하여금 진행형과 성격이 비슷한 행위동사를 먼저 습득하게 한 원인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또한, 본 논문의 연구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살펴보기 위하여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을 T 검증(T-test)한 결과 두 집단의 동사 습득 순서에 큰 차이는 없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상, 중, 하 수준별 집단을 일원변량분석(ANOVA)한 결과 시제별, 어휘적 상 별로 살펴 본 집단별 평균 정답수 대부분이‘p<0.05’라는 결과가 나와 집단 간 평균 정답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고등학생들이 완료형의 기능과 의미를 파악하고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현장의 영어 교사들은 학생들이 유창성과 정확성을 모두 갖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문법 수업 모형의 개발을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