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조용언 교육에 있어서 개념문법(conceptual grammar)의 효용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개념문법을 적용한 보조용언 교육은 유의미한 교육 효과의 향상을 보일 것...
본 연구는 보조용언 교육에 있어서 개념문법(conceptual grammar)의 효용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개념문법을 적용한 보조용언 교육은 유의미한 교육 효과의 향상을 보일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보조용언은 한국어의 다양한 담화적 의미를 나타내는 문법 항목이다. 따라서 정교한 표현을 구사하고자 하는 고급 수준의 학습자들은 보조용언 숙달도의 향상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고급 학습자도 단순한 몇 가지의 보조용언만을 사용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이는 고난이도 보조용언의 교육에 있어서 대안적인 방법론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형태와 의미, 사용을 통합하여 학습자의 실제적인 숙달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통합적 관점의 교육 방법론으로서 개념문법에 주목하였다. 개념문법은 코퍼스 언어학과 담화 분석, 인지 언어학의 세 이론을 축으로 문법을 해석하고 학습자 친화적인 교육 자료를 구성하는 대안적 접근 방법론이다.
개념문법의 교육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미국인 학습자 25명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눈 후, 실험 집단은 개념문법을 통해 보조용언을 학습하게 하고 통제 집단은 일반적인 방식의 교육을 받도록 하였다.
실험을 실시한 결과,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숙달도의 향상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이 채택되어, 개념문법을 통한 보조용언 교육이 유의미한 교육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한국어 보조용언 교육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 결과를 제공했다는 점과, 대안적인 보조용언 교육방법으로서 개념문법의 효용성을 증명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인지언어학을 기반으로 한 보조용언 해석의 넓은 설명력을 보여주었고, 그러한 해석이 제2언어 학습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근거도 제시하였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표본 집단이 영어 모국어 화자에 한정되어 있어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주의가 필요하며, 문법 평가와 설문 평가 결과에 일부 상충되는 부분이 존재했다는 점이다. 이는 설문 평가가 보조용언의 복잡성을 충분히 측정해 낼 수 없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정교한 설문 평가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Learning Korean auxiliary verb is not easy even for advanced learners because of its abstract meaning and sensitive usage.
This maintains that teaching by Conceptual Grammar can help learners to acquire native-like concept of the target item....
Learning Korean auxiliary verb is not easy even for advanced learners because of its abstract meaning and sensitive usage.
This maintains that teaching by Conceptual Grammar can help learners to acquire native-like concept of the target item. Moreover, this study used image schema to let learners construct imagery concept of Korean auxiliary verb.
Conceptual Grammar i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analysis and teaching of grammar. It combines three theoretical-methodological paradigms: corpus linguistics, discourse analysis, and cognitive linguistics.
By corpus based approach, the elements and structural patterns of the target item were identified. These results were investigated by discourse analytic perspective, and specifically, the paradigm of cognitive linguistics gave holistic view of grammatical patterns of Korean auxiliary verb.
Through Conceptual Grammar approach, the core meaning of the target item was elicited. Specifically, image schema was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treatment as an alternative teaching methodology.
Twenty-five advanced-level students,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One group was taught by using Conceptual Grammar and image schema, while the other was treated by general learning style.
The assessment was done before the class and after the class to identify the effect of teaching methods. Additionally, each student’s self-confidence of their learning was measured by survey questionnaire.
Significant difference for grammar proficiency was found. The findings support usability and practicality of teaching grammar by Conceptual Grammar methodology. Despite some inconsistency between the assessment and the survey, this study has meaningful significance for its experimental work, challenges, and plausibility of Korean auxiliary verb.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