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여성의 발화속도와 쉼의 음향적 특성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Korea has traditionally kept its identity as one-race nation for a long time. Recently, however, the situation has changed due to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following marriages between the Koreans and foreigners. Notably, ...

Korea has traditionally kept its identity as one-race nation for a long time. Recently, however, the situation has changed due to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following marriages between the Koreans and foreigners. Notably, Korean men who can't find brides in the native place for geographical reasons or for reasons of jobs tend to get married mostly to foreign women. As a consequence, multi-cultural families have gradually taken a new form of family in the Korean society, drawing much interest in and concern for it.
Since the foreign women who have married Korean men have faced great hardship due to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with and adaptation to Korean counterparts, it may be extremely important for them to become proficient in the Korean language, which then enables them to express themselves better and exercises fundamental influence upon development of linguistic ability on the part of their juniors.
In line with this situation,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comparing characteristics of speech rate and pause between migrant women and Korean native women by means of reading tests with a view to analyze and understand migrant women's features of speech rate and pause and, by thu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for migrant women.
For this aim, tests were carried out to 6 women from Vietnam, 6 from the Philippines and 6 Korean women to find how they differ characteristically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the overall speaking rate, articulation rate, and frequency and length of pauses. Speech tests included reading of 8 sentences from "A Tiger Story' which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peat 3 times and from which 567 syllables recited by each subject were recorded. COOLEDITPRO 2.0 was used for recording and the recorded speech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eech analysis program Wavesurfer 1.8.5. One-way ANOVA and Tukey’s Multiple Comparison post-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ata statistically by means of SPS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speech rate, the Vietnamese women showed the longest length of the test paragraph with 79.78 seconds in average, followed by the Philippine women with 68.23 seconds and the Korean women with 37.53 seconds. The mean of overall speaking rate of the Vietnamese women were found to be the slowest with 2.49 SPS (syllables per second)next to the Philippine women with 2.87 SPS and the Korean women with 5.07 SPS. The mean of articulation rate of the Vietnamese women turned out to be the slowest with 3.87 SPS next to the Philippine women with 4.26 SPS and the Korean women with 6.51 SP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ngth and frequency of pauses in a sentence among the women of the three countries. The Vietnamese women featured the longest pause with 26.69 seconds in average, followed by the Philippines with 18.97 seconds and the Koreans with 8.33 seconds. The Vietnamese women were also the first to make frequent pauses with 59.67 times, followed by the Philippines with 43.48 and the Koreans with 22.28 in average.
Thir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number of syllables of a sentence and the length of the test paragraph revealed mild to strong correlations in the Vietnamese (r=0.74), the Philippines (r=0.77), and the Koreans (r=0.95) whil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peech rate (overall speaking rate and articulation rate) and the number of syllables of a sentence in any of the three groups.
Fourt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number of syllables of a sentence and the length of pauses in a sentence showed little correlation in the Koreans (r=0.27) and the Vietnamese (r=0.47), but a mild correlation in the Philippines (r=0.60). The frequency of pauses, too, showed a mild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syllables of a sentence in the Koreans (r=0.51), the Vietnamese (r=0.69) and the Philippines (r= 0.70).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peech rate and pause between the Korean women and the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I am sure, as meaningful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s for the migrant women.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단일민족 국가로서 많은 세월을 거쳐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우리나라 사람들의 외국인들과의 결혼으로 다문화가정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지역적인 이유와 ...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단일민족 국가로서 많은 세월을 거쳐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우리나라 사람들의 외국인들과의 결혼으로 다문화가정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지역적인 이유와 직장 때문에 결혼을 못하는 한국남성들이 외국여성과 국제결혼을 많이 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다문화가정은 한국 사회의 새로운 가족 형태로 모습을 갖추게 되었고, 이러한 다문화가정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국남성과 결혼한 외국여성은 의사소통과 사회적인 적응 문제로 많이 힘들어 하고 있고, 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은 개인의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자녀의 언어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읽기과제를 통하여 이주여성과 한국여성의 발화 속도와 쉼의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이주여성의 발화 속도와 쉼의 특성을 이해하며, 이를 통하여 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피험자는 베트남 이주여성 6명과 필리핀 이주여성 6명, 한국여성 6명이며, 말속도, 조음속도, 쉼 빈도, 쉼 시간 등에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화과제는 8문장으로 구성된 읽기과제 ‘호랑이 이야기’를 3회 반복하게 하여 피험자 당 총 567음절을 녹음하였다. 녹음은 COOLEDITPRO 2.0을 이용하였고, 음성분석은 웨이브서퍼(Waversurfer. 1.8.5) 음성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과 Tukey’s Multiple Comparison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화속도(speech rate)의 차이를 보면, 전체발화길이는 베트남여성이 평균79.78초, 필리핀여성이 평균 68.23초, 한국여성이 평균 37.53초로 베트남여성이 가장 길고 필리핀여성이 그 다음이며 한국여성이 가장 짧게 나타났다. 말속도(overall speaking rate)는 베트남여성이 평균 2.49음절수/초, 필리핀여성이 평균 2.87음절수/초, 한국여성이 평균 5.07음절수/초로 베트남여성이 가장 느리고, 필리핀여성, 한국여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음속도(articulation rate) 역시 베트남여성이 평균 3.87음절수/초, 필리핀여성이 평균 4.26음절수/초, 한국여성이 평균 6.51음절수/초로 베트남여성이 가장 느리고 필리핀여성, 한국여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장 내 쉼 시간과 문장 내 쉼 빈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쉼 시간은 베트남여성이 평균 26.69초, 필리핀여성이 평균 18.97초, 한국여성이 평균 8.33초로 베트남여성이 가장 길고, 필리핀여성, 한국여성 순으로 나타났고, 쉼 빈도는 베트남여성이 평균 59.67회, 필리핀여성이 평균 43.48회, 한국여성이 평균 22.28회로 베트남여성이 가장 높고 필리핀여성, 한국여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장 음절수와 발화속도 간 상관분석 결과, 발화길이는 베트남여성(r=0.74), 필리핀여성(r=0.77), 한국여성(r=0.95) 모두 문장 음절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말속도와 조음속도는 세 집단 모두 음절수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문장 음절수와 쉼 시간, 쉼 빈도 간 상관분석 결과, 한국여성(r=0.27)과 베트남여성(r=0.47)은 음절수와 쉼 시간 간 상관관계가 미약하지만 필리핀여성(r=0.60)은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쉼 빈도는 한국여성(r=0.51), 베트남여성(r=0.69), 필리핀여성(r=0.70)이 모두 음절수의 증가와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의 발화속도와 쉼의 음향적 특성이 한국여성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다문화가정 여성 발화의 초분절적 특성과 관련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에 의미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