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choice of speech level and its shift in conversations with an unacquainted party made by Japanese KFL Learners (henceforth, JKL). It is widely known that both Korean and Japanese are replete with sente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choice of speech level and its shift in conversations with an unacquainted party made by Japanese KFL Learners (henceforth, JKL). It is widely known that both Korean and Japanese are replete with sentence-final expressions that determine speech level. While speech level indicates the speaker's attitude toward the listener, it may shift in the course of a conversation. Until now, research on speech level in KFL has focused on that of individual sentences uttered by KFL learners. In this study, however, voluntary dialogues have been collected for data to be analyzed. Although the main target of this study is the choice of speech level in the Korean language spoken by JKL, dialogue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KNS) and those between Japanese Native Speakers (JNS) ar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for comparison. This thesis consists of 5 chapters, and the outline of each chapter is as follows. In Chapter I,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its magnitude are articulated.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I will present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answered in this thesis. There are 2 research questions. Firstly, does the choice of speech level and its shift in conversations with unacquainted party show difference in dialogues between KNS and those between JKL (=JNS), and those between JKL and KNS? Secondly, if there is a difference, what are the reasons for? Chapter II outlines the intriguing systems of speech level in Korean and Japanese. Since the current research targets young JKL (=JNS) and KNS as subjects of study, three different speech levels, among all, are identified. In Chapter III, the research methods, including how to collect conversational data and how to transcribe and analyze them, will be explained. In Chapter IV,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study will be presented. In dialogues between KNS, polite forms are most frequently used, and their frequency is twice as high as that of non-polite forms. In dialogues between JKL (=JNS), on the other hand, polite forms appear only slightly higher in frequency than non-polite forms. It is noteworthy that three JKL have used non-polite forms more frequently than polite forms. In dialogues between KNS and JKL, polite forms are most frequently used, and their frequency is notably higher than in dialogues between KNS and those between JKL. Indeed, KNS try to speak to JKL more politely than they speak to their comrades. The follow-up interviews with KNS reveal that since they believe that JKL, or Japanese in general, are very polite, they try to avoid being impolite. Simultaneously, JKL also tend to talk to KNS more politely than they talk to their compatriots. There are three reasons. Firstly, JKL believe that they should speak more politely when they speak in Korean. Secondly, they are not sure when and how they can use non-polite forms without being offensive to the listener. Thirdly, they simply avoid non-polite forms when they do not know the age of the listener. This means that JKL know that the party's 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choice of the appropriate speech level in Korean. Finally, Chapter V summarizes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nducted in this thesis. Interestingly, speech level may shift even in a single series of discourse. There have been cases where three different speech levels are employed by one speaker as the conversation proceeds. Thi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analyzing not just individual sentences but dialogues to investigate the real nature of language use. This study has also revealed that language use is bound by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speaker; people's way of thinking affects their language use.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한 문장 층위로 논의되어 온 화계의 사용에 관한 연구와 달리 가능한 한 실제 담화에 가까운 상황에서 수집한 대화를 연구 자료로 하여 일본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한 문장 층위로 논의되어 온 화계의 사용에 관한 연구와 달리 가능한 한 실제 담화에 가까운 상황에서 수집한 대화를 연구 자료로 하여 일본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첫 대면 대화에 나타나는 한국어 화계의 사용 비율과 화계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대상은 일본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이며 비교 대상으로 한국어 모어화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대화도 수집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첫 대면 대화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화계가 경어 체계 안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언어의 경어 체계를 제시하며 비교하였다. 본 논문의 대상이 대학원생이므로 그들의 언어 사용에 맞는 화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국어학과 한국어교육학에서 제시된 화계를 개관한 후 본 논문에 맞는 화계 분류 기준을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논문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 참여자와 대화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그리고 수집한 대화 자료를 문자화하는 방법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상술하였다. Ⅳ장에서는 대화 수집을 통해 얻은 대화 자료를 각 발화마다 정중체, 생략된 발화, 비정중체로 코딩한 후 각 집단의 대화에 나타난 화계의 사용 비율과 화계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모어화자 간의 대화에 나타난 화계는 정중체가 가장 많았으며 그 비율은 비정중체의 두 배 이상이었다. 또한 한국어 모어화자 6명 모두가 정중체를 가장 높게 사용하였다. 한편 일본어 모어화자 간의 대화에 나타난 화계는 역시 정중체가 가장 많았으나 비정중체의 비율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일본어 모어화자 8명 중 비정중체를 가장 높게 사용한 화자가 3명이나 있었다는 점이 한국어 모어화자의 대화와 다른 점이다.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대화에서는 모든 화자가 정중체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그 비율은 모어인 일본어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로는 첫째 학습자가 일본어와 한국어의 화계의 사용에 관한 차이점을 알고 있기 때문이었다. 둘째 한국어가 외국어이므로 상대방에게 무례하지 않은 비정중체의 사용에 대해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학습자와 대화를 한 한국어 모어화자의 대화에서도 모든 화자가 정중체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그 비율은 한국어 모어화자 간의 대화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로 한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언어 습관과 더불어 일본인은 예의바르다는 인상을 가지고 있는 것과 외국인이기 때문에 잘 대해 줘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였는데 각 집단의 대화에서 나타난 화계와 화계 변화, 그리고 그 이유를 기술하였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지금까지 한 문장 층위로 논의되어 온 화계의 사용에 관한 연구와 달리 담화를 그 연구 자료로 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대화 상대방과의 동일한 대화 안에서 여러 화계가 나타나는 현상과 화계가 동적으로 움직이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그와 더불어 화계의 사용에 숨겨져 있는 화자의 심리를 가능한 한 자세히 밝히려고 한 점에서 언어 사용과 인간의 심리를 연결시켰다고 할 수 있다. 언어의 사용에 반영되어 있는 문화는 눈으로 볼 수 없으므로 한국어 능력이 고급인 학습자도 그 사용을 어려워하고 있다. 그런데 언어를 배우는 궁극적인 목적 중의 하나가 언어 사용을 통해 서로 이해하며 좋은 관계를 구축해 가는 것이라면 언어 사용에 반영되어 있는 문화를 밝히고 그것을 전달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인과 좋은 관계를 구축해 가기 위해 본 논문의 자료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