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아동의 자발화에 나타난 보조사 사용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언어발달을 이루어가는 아동들은 문법형태소를 습득하면서 다양한 한국어의 특성들을 습득하게 된다. 문법형태소 중...
이 연구는 아동의 자발화에 나타난 보조사 사용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언어발달을 이루어가는 아동들은 문법형태소를 습득하면서 다양한 한국어의 특성들을 습득하게 된다. 문법형태소 중 조사의 발달로 인해 점차 어휘적 체계의 다양한 어휘를 습득하게 되어 다양한 의미 관계를 이루게 된다. 조사가 발달함에 따라 아동이 산출하는 발화길이가 길어지고 다양한 의미의 표현들을 산출해 낼 수 있다. 여러 조사 중 보조사는 문장 안에서 고유의 의미를 담당하기 때문에 언어발달이 이루어지는 적절한 시기에 보조사를 습득하는 것은 상대방의 의도를 적절히 이해하고 자신의 의도를 정확하게 전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조사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그림지시법, 구어 자료, 종단․횡단적 연구들이 이루졌으며 그 중 아동의 일상생활의 대표성을 가질만한 구어자료를 통한 연구는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세부터 5세 아동의 구어자료를 대상으로 보조사의 사용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2세에서 5세까지 연령별․성별 보조사의 출현빈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2) 보조사와 선행요소들과의 결합양상을 연령별, 보조사별로 비교하였으며, (3) ‘은/는’의 기능적 사용과 이형태 산출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나사렛말뭉치(KCLD)에서 구축한 자료의 대상자 중 서울, 경기 및 충청 지역에 거주하는 2세부터 5세까지 아동을 연령별로 10명씩 총 40명을 1:1 성비를 맞추어 선정하였다. 구어자료는 일주일정도의 기간 동안 10시간 정도 녹음된 자료이며, 구어자료에서 보조사 ‘은/는, 도, 만’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보조사 자료는 대상자 정보, 보조사, 발화내용, 결합양상을 정리한 2차 태깅을 거쳐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첫째, 연령별 보조사의 총 출현빈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성별 간 두 집단의 보조사 사용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령과 성별간의상호작용효과를분석하기위해이원분산분석을실시하였고,TukeyHDS(HonestlySignificant Differences) 사후 검정으로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령에 증가할수록 전반적인 보조사의 출현빈도는 높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동일하게 증가하는 모습은 나타나지 않았다. 2세와 3세 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3세 이후 5세까지 점차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체 보조사의 사용빈도를 보면, ‘은/는 > 도 >만’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세의 경우, ‘도 > 은/는 > 만’순으로 나타났고, 3세에서 5세 아동은 ‘은/는 > 도 > 만’ 순으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성별 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전체 보조사의 출현빈도는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조사와 결합하는 선행요소는 '명사구 > 격조사구 > 부사구 > 어미 > 보조사'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인 결합양상은 증가하였지만 연령에 비례하여 증가하지는 않았다.
넷째, 보조사별로 선행요소와의 결합양상을 살펴보면, ‘은/는’은 명사구 > 격조사구 > 부사구 > 어미 > 보조사 순으로 나타났고 ‘도’는 명사구 > 격조사구 > 어미 > 부사구 > 보조사 순으로 나타났다. ‘만’의 경우, 명사구 > 부사구 > 보조사 > 어미 > 격조사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조사 ‘은/는’은 전 연령대에서 대조의 기능보다 주제화 기능의 사용이 많았으며, ‘는 > 은 > -ㄴ’ 순의 이형태 산출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보조사 사용양상에 다양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연령과 보조사의 사용양상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성별간의 차이는 없음을 보여주었고, 또한 연령과 성별 간에도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선행요소와의 결합양상도 연령과 보조사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