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음독 오류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iscue pattens in oral reading and reading process of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 according to reading ability and text type. According to the psycholinguistic model of reading, the reader strategically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iscue pattens in oral reading and reading process of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 according to reading ability and text type. According to the psycholinguistic model of reading, the reader strategically picks up as few as possible graphophonic, syntactic , semantic cues from the text while they actively try to reconstruct its meaning based on the three type of cues. In these natural processes of reading the reader is likely to produce miscue as by products, and these reflect significantly the covert processes of reading comprehens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as follows:
1. Do the pattens of miscues of the korean learners' with their reading ability?
2. Do the pattens of miscues of the korean learners' with text type?
3.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miscue and reading cue syst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good readers make more miscues but tend to make more self correction and fewer meaning changes than the poor readers. Also good readers use more semantic cue and form syntactic patterns than the poor readers. On the other hand Nonsense error is more frequent in the poor readers. The use of graphophonic information is significant in both reader group. The graphophonic approximation is very high. According to syntactic and semantic acceptability, totally acceptable miscue is the frequent in the good reader group. According to Whole miscues ratio by the text type is similar but readers make a difficulty in expository than narrative. And they didn't use effectively graphophonic, syntactic, semantic cues from the text by reading cue system ratio of the two groups. Above all things they concentrated oral reading more than text comprehension.
Whether it is phoneme emphasis or meaning emphasis, the important thing is that how it is carried out between phonic emphasis and meaning emphasis. Reading has always aims and should be meaning oriented. And during reading process everyone makes miscues. Therefore the teacher should guide students enough reading cue system using strategy and context information to find the meaning of the new word.

본 연구는 최근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 강조되고 있는 외국어 교육에서 음성 언어의 보조적인 수단으로서의 읽기가 아닌 의사소통적이고 체계적인 읽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에 따...

본 연구는 최근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 강조되고 있는 외국어 교육에서 음성 언어의 보조적인 수단으로서의 읽기가 아닌 의사소통적이고 체계적인 읽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 효과적인 읽기 지도를 위해 한국학습자의 읽기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읽기 능력과 텍스트 유형에 따른 한국학습자의 음독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읽기 능력에 따라 한국어 학습자들의 음독 오류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며, 두 번째 연구 문제는 텍스트의 유형에 따라서도 한국어 학습자들의 음독 오류 양상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연구 문제는 학습자의 음독 오류 중에서 대치 오류를 중심으로 살펴보아 학습자들의 언어 단서 사용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 가설의 검증을 위해 음독 오류의 분류 기준을 세우고, 텍스트를 선정하여 음독 오류 검사를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읽기 이해 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내용 이해 시험지를 제작하였다. 연구를 위해 초급 한국어 학습자 20명을 선정하여 능숙 집단과 미숙 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을 진행하여 음독 오류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능력에 따른 음독 오류 양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양적으로는 능숙 집단이 미숙 집단보다 더 많은 오류 사례를 내었고, 집단 내에서의 일반 오류 비율 순서는 같게 나타나 모국어의 화자의 음독 오류와는 상반된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질적으로 능숙 집단은 미숙 집단에 비해 자기 수정과 의미 대치가 많이 나타났으며, 미숙 집단은 능숙 집단에 비해 삽입, 생략, 무의미 대치가 많이 나타나 모국어 화자의 음독 오류 특징과 일치하였다.
둘째,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음독 오류 양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텍스트 유형별로 각 집단의 일반 음독의 양상과 언어 단서 사용 양상을 비교한 결과 이야기체 텍스트와 설명적 텍스트 간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능숙한 독자의 경우 이야기체 텍스트에서 의미 대치 오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학습자들이 의미 대치 오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설명적 텍스트에서는 무의미 대치 비율이 이야기체 텍스트에서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미숙한 독자는 이야기체 텍스트와 설명적 텍스트 모두 무의미 대치 오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치 오류의 단서별 사용은 음철적 단서의 사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의미적 단서와 통사적 단서 순으로 나타났다. 읽기 능력에 따라서 능숙한 독자는 설명적 텍스트에서 이야기체 텍스트 보다 음철적 단서를 더 많이 사용하였지만 의미적 단서 사용의 비율이 줄고, 통사적 단서 사용의 비율이 늘어난 양상을 보였다. 반면 미숙한 독자는 설명적 텍스트에서 의미적 단서뿐만 아니라 통사적 단서의 사용도 줄어들고 음철적 단서에만 치중한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음독 오류 분석법을 다룬 첫 번째 연구라는 점, 그리고 연구 결과에 나타난 음독 오류 양상과 읽기 과정은 비슷한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고 무엇보다 실제 읽기 과정 양상을 관찰하고 그것을 여러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