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는 학습 현장에서 학생과 교사를 구체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매개물이면서 교육기관의 교육 이념을 궁극적으로 실현하는 수단이자 도구이다. 따라서 교재는 학생과 교사와 더불어 학습 ...
교재는 학습 현장에서 학생과 교사를 구체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매개물이면서 교육기관의 교육 이념을 궁극적으로 실현하는 수단이자 도구이다. 따라서 교재는 학생과 교사와 더불어 학습 현장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교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데서 출발하며 현재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재의 구성 체계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을 중심으로 개선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재 체제는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되었다. 한국어 교재가 기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개발되어, 한국어의 언어 교육적 측면의 이론 체계나 수준 등급 구분 등에 대한 객관적 근거가 결여되는 문제점이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선정, 분석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을 중심으로 개선안을 제시해본다.
먼저 2장에서는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선정을 위해서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이론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재를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과정의 위계화를 위하여 한국어 능력시험 기준을 분석하고, 어휘와 문법 및 문형에 대한 빈도수와 교재 중복도와 관련된 중요도를 근거로 주요 학습 내용을 배열한다.
3장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한국어 의사소통 기능 영역과 한국어 지식 영역, 문화 영역으로 체계화 하여 교수요목을 제안하였다. 의사소통기능, 한국어 지식, 문화의 요소를 기초로 하여 교육과정 전체를 10등급으로 단선화 하고 각 등급별 내용 조직에 의사소통적 기능, 어휘, 문형(문법) 등을 단계적으로 등급화 하여 제시하였다. 한편, 한국어 능력시험에 응시에 대비할 수 있도록 1-4급은 한국어 능력시험의 초급, 5-8급은 중급, 9,10급은 고급의 입문 단계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하였다. 교수요목은 큰 윤곽으로 보면 교육과정 범주 안에 속하는 것으로, 교육과정의 내용에 좀 더 구체화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가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4권에 한정하여 살펴보아 다양한 교재의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검증하지 못한 것이 이 연구의 부족한 부분이다. 또한 교육과정 선정의 위계화 과정에서 기준으로 삼은 것이 한국어 능력시험이라는 것에 한정하여 제시한 것이 미흡한 점으로 꼽을 수 있다.
교육과정이란 학습 목표에 따라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계획한 것이다. 학습 목표를 포괄하고 있으면서 그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 교육과정은 학습 목표에 따라 교재 편성이 달라진다. 이 연구에서 살펴 본 한국어 교재들이 초급, 중급, 고급으로 수준별 학습을 지향하고 있으나, 그 기준점이 학습 목표에 정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아 교재의 내용 구성이 체계적이지 않음을 지적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등급별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 짓는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