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중급 교재 개발 방안 제시를 목표로 연구를 하였다. 일본 대학교에서 제2외국어 또는 교양과목으로 실시되는 한국어 수업에서 사용하는 교재를 ...
이 연구에서는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중급 교재 개발 방안 제시를 목표로 연구를 하였다. 일본 대학교에서 제2외국어 또는 교양과목으로 실시되는 한국어 수업에서 사용하는 교재를 대상으로 삼고 현재 문법 중심으로 실시되어 있는 수업에서 벗어나고 좀 더 실제 의사소통 학습에 비중을 두고 학습자가 스스로 적극적으로 학습하게 될 자료를 가진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일본에서 출판된 교재 중에 일본 대학교의 중급 한국어 수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다섯 권 선정하며 교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서 기존 교재들의 장점과 당점을 정리하며, 장점을 살리고 당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는 초급 수준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중급, 고급으로 학습이 깊어갈수록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교재의 종류는 적다. 또 중급에서 다루어야 하는 학습 항목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없어서 교재마다 다루고 있는 내용은 다르다.
3장에서는 일본에서 출판된 기존 교재를 분석하였다. 분석 사항은 교수・학습 상황 분석, 교재의 외적 분석, 교재의 내적 분석으로 나눠서 분석을 하였다. 교수・학습 상황 분석은 교사, 학습자, 학습 시간으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교재의 외적 구성은 발행처, 출판 연도, 관련 구성물의 우무, 가격 등으로 살펴봤고, 교재의 외적 분석은 전체 구성, 단원 구성, 학습 내용, 학습 활동으로 나눠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재의 장점으로는 일본인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문법 항목에 대한 자세한 해설이 있는 점, 또 교재가 하나의 스토리처럼 구성되어 있어 주제도 비교적 학습자들에게 익숙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점이었다. 반대로 당점으로는 전체적으로 교재의 삽화나 사진이 없어 지루하다는 점, 문법 제시가 많아 말하기 활동이 적다는 점, 교재마다 다루고 있는 학습 항목의 수준이 다르다는 점, 수업 시간에서 교재 내용을 다 소화 못 할 정도 내용이 많은 점, 교사에 의한 설명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는 교사 중심 수업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었다.
정리한 교재의 장점과 당점을 바탕으로 4장에서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교재 개발 원리와 교재 개발을 위한 관점에 대해 살펴본 후 본고에서 제시하는 교재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 째 삽화나 그림이 없는 기존 교재보다 학습자들의 학습 의욕을 유발시킬 수 있게 본문 회화문을 중심으로 그림을 이용한다. 둘 째, 문법 항목 제시가 많은 기존 교재보다 좀 더 의사소통 학습을 이용한 말하기 활동에 비중을 둔다. 셋 째, 기존 교재는 교재마다 다루고 있는 어휘 및 문법 항목이 다르므로, 본고에서 다루는 어휘 및 문법 항목을 제시하였다. 넷 째, 기존 교재에서는 교재에서 다루는 내용이 많아 수업 시간 내에서 다 소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업 시간을 교려하여 과의 수량을 설정하며, 교재의 전체 구성의 예와 교재에서 다루는 주제의 예도 제시하였다. 문화 교육에도 비중을 둘 수 있게 문화 요소도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또 수업 구성의 예와 교재 단원 구성의 예도 제시하였다.
제시한 교재 방안을 이용하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지에 대해 5장에서 논의하였다.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의 말하기 활동으로 발음 연습, 문장 단위로 듣고 따라하기, 질문을 듣고 대답하기, 시작 자료를 활용한 말하기, 정보차 활동을 제시하였다. 또 현재 일본 대학교의 한국어 수업은 교사의 발화가 많은 경향이 있는데 학습자가 더 적극적으로 수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학습 포트폴리오를 사용한 수업을 제시하였다.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과정을 학습 성과물을 통해서 스스로 뒤돌아보고, 또 자신의 학습 숙달도를 평가하면서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 점과 이해를 못 하거나 지식이 부족한 점이 어떤 점인지를 생각할 기회를 마려해 줄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재 개발 방안은 기존 교재의 문법 중심 요소에 의사소통 요소도 포함시키고, 또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과정을 만들어가는 작업을 위한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급 이상 한국어 학습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