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인 암하라어의 격 체계와 격 표지가 실현되는 양상은 매우 다르다. 이 논문은 한국어와 암하라어의 격(格) 관계를 비교하여 두 언어 간에 나타나는 차이점을 ...
한국어와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인 암하라어의 격 체계와 격 표지가 실현되는 양상은 매우 다르다. 이 논문은 한국어와 암하라어의 격(格) 관계를 비교하여 두 언어 간에 나타나는 차이점을 밝히고 어떤 오류가 발생하는지 알아보는데에 중점을 둔다. 그러기 위해서 한국어 문장 성분의 관계를 표시하는 격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고찰하고 한국어와 암하라어의 격 체계와 격 표시가 실현되는 양상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한국어와 암하라어의 격 실현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양국 언어의 기본 문법 비교로 시작하여 그것이 격 표시에서 반영되는 양상을 살펴본다.
유형학적 분류상으로 굴절어인 암하라어는 교착어 또는 첨가어인 한국어와 몇 가지 통사론적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수식어가 피수식어에 선행하는 점과 기본적 어순이 주어-목적어-서술어 순서를 가진다는 점이 한국어와 비슷하다. 동사가 문장 끝에 위치하고 모든 수식부가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온다. 반면에 두 언어의 가장 큰 차이가 전치사와 조사의 사용이라고 본다. 일반적으로 전치사와 조사의 기능이 비슷한 것처럼 보이지만 언어의 종류와 어순 때문에 전치사와 조사의 명사구에 관한 위치도 다르며 기능에서도 차이가 난다.
한국어는 특히 조사와 어미가 매우 발달 되어 있다. 반면 암하라어는 조사가 없으며 대신 전치사나 접사를 사용한다. 암하라어의 전치사와 접사는 명사나 대명사 앞에 또는 끝에 붙고, 소유사와 규정사는 끝에 붙는다. 한국어에서 명사절에 격 표시가 되는 현상은 암하라어에서도 나타나는데 암하라어에는 한국어와 달리 격표시가 명사에 붙이지 않고 명사 앞에 가장 먼저 나오는 수식어에 붙는 특징을 가진다. 암하라어 격체계에서는 한정하는 목적어(definite object)의 격표시를 제외한 다른 전형적인 명사의 격표시(nominal case marking)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어근과 어간의 내부적 다양한 음운변화가 일어나 발생되는 인칭, 수(數)와 성(性)을 주어 및 목적어와 일치시키는 동사적인 접사들을 통해서 암하라어 격체계를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격 실현이 두 언어의 문법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주격, 보격, 목적격, 관형격, 부사격와 호격에 나타나는 현상을 비교한다. 또한 암하라어권 에티오피아 학습자들이 실질적으로 일으킬 수 있는 한국어 격조사 오해와 오류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오류의 원인을 분석한다. 그러나 이 연구는 교육 방법을 찾는 것보다 한국어와 암하라아어의 격 실현에 대한 차이와 그 차이를 바탕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함에 중심을 두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mpa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ase marking realization patterns of Korean and Amharic languages. The two languages show differences in their basic features since they are of different language fami...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mpa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ase marking realization patterns of Korean and Amharic languages. The two languages show differences in their basic features since they are of different language family and hence, they use different grammatical functions for expressing abstract ideas.
Amharic is one of the Semitic languages inside the family of Afro-Asiatic languages. And it has a complex inflectional morphology, while at times it’s also partially agglutinative. On the other hand,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in its morphology. But the typical word order or the syntax of both languages is Subject - Object - Verb (SOV). Moreover, in both languages all modifiers precede the nouns they modify.
One of the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would be the use of either prepositions or particles in their case marking system. Korean language has a well developed usage of particles as case markers to figure out the functions and relations of words inside a sentence. Korean particles are words that lack their own grammatical functions, usually forming other parts of speech. In contrary, Amharic uses prepositions and postpositions as well as case suffixes to mark relations in a sentence.
Amharic as well exhibits a nominative-accusative case system. It does not have typical nominal case marking except in objects which are definite. The pronominal and determiner (specifically the definite article) system maintains the entire case system. In addition, verbal affixes which show agreement in person, number and gender with subjects and objects help in giving an idea of what the case systems in the Amharic look like.
This discusses and compares the various forms of representing nominative, accusative, locative, genitive or possessive, vocative case markers in the two languages based on their grammatical elements. In addition, it enquires into the reasons for misunderstandings and misuses of Korean particles by Amharic 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s. It is limited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differences in the realization of case marking patterns in the two language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