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explores how one can apply effective methods to the teaching of Korean grammar on the basis of selected lists which teach Chinese learners through patterns of the acquisition of topic-prominent features of Korean. It includes analysis of th...
This explores how one can apply effective methods to the teaching of Korean grammar on the basis of selected lists which teach Chinese learners through patterns of the acquisition of topic-prominent features of Korean. It includes analysis of the grammatical functions: subject ellipsis, topic markers 'un/nun', double-nominative constructions and error patterns. This approach was selected in order to teach grammatical items which are necessary for learners. By presenting two form-focused instructions: output enhancement and input processing, in a pre-selected list of grammar items, this study also looked at the effect of education.
First, for analogizing subject ellipsis, topic markers 'un/nun', double-nominative constructions and error pattern, 10 L1 Chinese learners per level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and 10 L1 Korean native speakers watched a silent film and then wrote the stor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wo groups of data, we detected two kinds of errors: omission and replacement of topic markers' 'un/nun' and subject markers 'i/ga'. Therefore, this data obtained from the learners the necessary goal of grammar teaching design.
Second,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the output intensification and input processing technique as the plan of education of the target grammatical form, 27 beginner Chinese L1 learners were divided into 3 groups: the control group, the output enhancement group and the input processing group. In the control group, we used the PPP (Presentation-Practice-Production) approach to grammar teaching. We proceeded with the activities three times and included translation, reading and reconstruction, as well as a story creation activity in the output enhancement group. The input processing group, the aim was to select the correct sentences under the target grammatical forms, to link the forms and meanings, and to put pictures and sentences in order. The average of the three groups was altogether improved in the receptive and productive evaluation, bu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receptive evaluation after looking into the before-and-after treatment results by pre-test and post-test evaluation questions. In the understanding field of the target grammatical form, this is the result of showing that the output intensification and input processing technique have an effect and is the result of the traditional grammar class of the PPP models showing that there is an effect as well. The average grade high showed up i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effect on a group after a disposition as the input processing group, the control group, and of the output enhancement group but the meaningful difference did not show up.
This research had to be done within short time-frame and was limited by the fact that we delivered unfamiliar subjects to learners without pre-training, but there was meaning in that we discovered the necessary grammar item based on language using data of learners and educated them efficient methods. In addition, we discovered (and verified) the educational treatment in which it is easy to study the Korean learning style.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주제 중심어적 특성의 습득 양상을 통해 학습자에게 교육이 필요한 문법 항목을 선정하여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주제 중심어적 특성의 습득 양상을 통해 학습자에게 교육이 필요한 문법 항목을 선정하여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주제 중심 언어의 특성을 지닌 한국어의 특징 중, 주어 생략, 주제 표지 ‘은/는’, 이중 주어 구문의 사용 및 오류 양상을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교육이 필요한 문법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문법 항목의 교육 방안으로 두 가지 형태 집중 교육 기법(출력강화, 입력처리기법)을 제시하여, 교육 효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주어 생략, 주제 표지 ‘은/는’, 이중 주어 구문의 사용 및 오류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L1이 중국어인 초․중․고급 학습자 각 10명과 원어민 화자 10명에게 무성 영화를 보여주고 줄거리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습자의 작문 자료를 원어민 화자의 자료와 비교해 본 결과 주어 생략, 주제 표지 ‘은/는’, 이중 주어 구문의 사용에서 주제 조사 ‘은/는’과 주격 조사 ‘이/가’의 누락과 대치 오류가 나타났다. 이에 주제 조사 ‘은/는’과 주격 조사 ‘이/가’를 학습자에게 교육이 필요한 목표 문법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목표 문법 항목의 교육 방안으로 제시된 출력강화와 입력처리기법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L1이 중국어인 초급 학습자 27명을 통제집단, 출력강화집단, 입력처리집단으로 나누어 통제집단에는 PPP모형(제시-연습-발화)의 문법 수업을, 출력강화집단에는 번역, 읽고 재구성하기, 그림 보고 이야기 만들기 활동을, 입력처리집단에는 목표 문법의 사용이 올바른 문장 고르기, 목표 문법의 형태와 의미 연결하기, 그림과 문단 순서 맞추기 활동을 3차시에 거쳐 진행하였다. 사전․사후 시험을 수용적 평가와 생산적 평가 문항으로 나누어 처치 전․후의 향상도를 살펴본 결과 세 집단의 평균 점수가 수용적․생산적 평가에서 모두 향상되었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수용적 평가 영역에서만 나타났다. 이는 목표 문법의 이해 영역에서 출력강화와 입력처리기법이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며 PPP 모형의 전통적인 문법 수업 역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처치 후의 집단 간 효과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평균 점수가 입력처리집단, 통제집단, 출력강화집단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처치 기간이 짧았다는 점, 학습자에게 익숙지 않은 매 차시의 과제가 예비 연습 없이 이루어졌다는 점의 한계를 지니지만 학습자의 언어 사용 자료를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교육이 필요한 문법 항목을 발견하여 교수하고자 하였다는 점, 한국어 학습을 용이하게 하는 교육적 처치를 마련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