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both whether the accentual phrase is the unit which listeners segment into and how the pitch information, the important factor to mark the accentual phrase is used for speech comprehension.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both whether the accentual phrase is the unit which listeners segment into and how the pitch information, the important factor to mark the accentual phrase is used for speech comprehension.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two types of monitoring task with participants who use Korean as their first language. <Experiment 1> using word monitoring task tested the effect of local lexical ambiguities which occurred on the accentual phrase boundary or on the phonological word boundary.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local lexical ambiguities was less when they occurred on the accentual phrase boundary. Also without the pitch information, overall reaction time to target words increased. But it failed to observe how the pitch information has influence on segmentation and/or representation of the accentual phrase unit. In order to observe this failed effect, <Experiment 2> was conducted using different task, syllable monitoring task.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were slowed down when a target syllable was on the phonological word boundary than on the accentual phrase boundary. But it also failed to show the pitch information effect on segmentation and/or representation of the accentual phrase. These two experiments suggest that to segment continuous speech into the accentual phrase boundary is relatively easy and fast process. Also the pitch information enhanced efficiency on initial process of speech comprehension.
우리말에서 중요한 운율 단위인 강세구가 연속 음성의 분절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또 강세구의 설정 요인인 음높이 정보가 말소리 이해에 어떤 도움을 주는 지 알아보았다. 한... 우리말에서 중요한 운율 단위인 강세구가 연속 음성의 분절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또 강세구의 설정 요인인 음높이 정보가 말소리 이해에 어떤 도움을 주는 지 알아보았다.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말소리 처리 과정을 연구하는 기법 중 하나인 찾기과제(monitoring task)를 사용하여 두 개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단어찾기과제를 실시한 <실험 1>에서는 국지적 어휘 중의성 효과를 통해 강세구 간 경계와 강세구 내 음운단어 경계가 분절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강세구 간의 경계에서 국지적 어휘 중의성이 발생했을 때가 하나의 강세구 내 음운단어 간의 경계에서 국지적 어휘 중의성이 발생했을 때에 비해 중의성 효과가 약했다. 또한 음높이 정보가 없는 조건에서 모든 반응시간이 전반적으로 느려졌다. 그러나 음높이 정보가 강세구 단위의 분절 및 표상에 미치는 영향은 발견하지 못했다. 음높이 정보가 강세구 단위의 분절 및 표상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하기 위해 음절찾기과제를 사용하여 <실험 2>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강세구 경계에 목표음절이 있을 경우가 강세구 내 음운단어 경계에 목표음절이 있을 경우에 비해 반응 시간이 빨랐다. 그러나 <실험 2>에서도 음높이 정보와 강세구 단위의 분절 및 표상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실패했다. 이 두 실험 결과는 강세구가 연속 음성에서 실시간으로 빠르고 쉽게 분절되어 우리말 소리의 이해 과정을 돕는 다는 것과 음높이 정보 또한 말소리의 효율적인 초기 처리 과정에 기여함을 밝혔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