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아동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 아동의 대처반응 간의 관계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아동사회조망수용능력, 아동대처반응 간의 관계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태안군에 소재한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아동의 사회조망수용능력, 아동의 대처반응 간의 관계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태안군에 소재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4, 5, 6세 아동 9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 측정도구는 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 Expressiveness Scale의 한국어 버전(PACES; Sarrni, 1989)이고, 아동의 대처반응은 The Children's Coping Strategies Checklist의 한국어 버전(Eisenberg, 1993)이였으며 이 두 설문지는 각 아동의 어머니가 체크하였다. 또한 아동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은 Hudson 등(1982)에 의해 개발된 사회적 조망수용능력 측정도구로 평가되었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아동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아동의 대처반응 간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회귀분석에서는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아동의 공격적반응, 무반응, 지원반응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아동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아동의 대처반응 간의 상관분석 결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에서 아동의 사고조망이 아동의 감정발산반응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이 결과들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아동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 간의 유의한 관련성을 밝히지 못했지만,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아동의 대처반응, 아동의 사회적 조망수용눙력과 아동의 대처반응 간의 유의한 관련성을 밝힘으로 아동의 대처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시 설명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children's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children's coping strateg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0 preschool chi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children's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children's coping strateg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0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living in Choongcheong province Taean.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kinds of questionnaires such as PACES(Parent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Saarni, 1989), The Children's Coping Strategies Checklist(Eisenberg et al, 1993). In addition, Children's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y scale was evaluated by Hudson et al(1982).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y. Second,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coping strategies. Third, Children's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result above, this study was influenced by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y on children's coping strategies.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