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동사어절 산출에서 어간과 선어말어미의 정보처리 특성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한국어 동사산출에서 동사 과거활용형의 어간과 선어말어미의 심성 어휘집 내 표상 방식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실험1에서는 산출단어와 점화단어의 형태소 관련성을 조정...

본 연구는 한국어 동사의 산출에서 동사 과거활용형의 어간과 선어말어미의 심성 어휘집 내 표상 방식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실험1에서는 산출단어와 점화단어의 형태소 관련성을 조정하여 점화 산출과제(priming production task)를 시행하였고, 이를 통해서 동사 활용형의 어간과 선어말어미가 따로 표상되어 있는지 하나의 형태로 표상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실험1에서는 조건 간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따라서 실험2와 실험3에서는 ‘어간빈도’, ‘어간/선어말빈도’, ‘어절빈도’를 조정하여 단서 산출과제(cued production task)를 시행했다. 실험2는 ‘어절빈도’를 저빈도로 통제하고, 나머지 ‘어간빈도’와 ‘어간/선어말빈도’를 고빈도와 저빈도로 조정하여 산출과제를 시행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화면에 제시된 기본형의 동사를 보고, 그 동사의 과거형 또는 미래형으로 바꿔서 말하도록 지시받았다. 이 때 과거형의 동사만을 실험 대상으로 삼았고 미래형 동사는 삽입자극으로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어절빈도’와 ‘어간/선어말빈도’가 저빈도로 통제된 ‘어간빈도효과’ 조건에서, 어간 고빈도가 어간 저빈도보다 유의미하게 빨랐다. 또한 ‘어절빈도’가 저빈도로 통제되고, ‘어간빈도’가 고빈도로 통제된 ‘어간/선어말 빈도효과’ 조건에서는 어간/선어말 고빈도인 조건이 어간/선어말 저빈도보다 유의미하게 느렸다. 실험2의 결과를 통해서 동사 산출에서 어간과 선어말어미의 표상은 ‘어간/선어말빈도’가 저빈도일 때는 ‘어간’과 ‘선어말어미’가 분리 표상되어 있지만, ‘어간/선어말빈도’가 고빈도일 때는 ‘어간’과 ‘선어말어미’가 하나의 형태로 표상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험2는 전체 어절의 빈도가 모두 저빈도로 통제되어 있기 때문에, 이 실험 결과가 전체 어절빈도의 영향을 받는지 아닌지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따라서 실험3에서는 ‘어간빈도’와 ‘어간/선어말빈도’를 고빈도로 통제하고, 전체어절의 빈도를 고빈도와 저빈도로 조정하여 실험2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전체 어절의 빈도가 고빈도가 저빈도보다 유의미하게 빨랐다. 그러나 실험3의 자극을 살펴보면, 전체 어절의 고빈도 자극의 어말어미는 ‘-다’로 끝났지만, 전체 어절의 저빈도 자극은 어말어미가 ‘-다’보다 빈도가 낮은 어미로 끝났다. 따라서 어말어미의 빈도를 두 조건의 공변량 변수로 지정하여, 공변량 분석을 한 결과 어절의 빈도효과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실험3의 결과는 단순히 어말어미의 빈도에 의한 결과였으며, 전체 어절의 빈도에 의한 결과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동사의 산출 모형에 어간과 선어말어미가 전체 어절 단위로 표상되어 있지 않으며, 실험2의 결과가 어절빈도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임을 알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verbs' stem and pre-final ending in the mental lexicon when human speak words. In experiment 1, we used a priming-production task and there were 4 types of prime conditions : stem 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verbs' stem and pre-final ending in the mental lexicon when human speak words. In experiment 1, we used a priming-production task and there were 4 types of prime conditions : stem repetition condition, pre-final ending related condition, semantic priming condition, and a control condition. There were not significant priming effects across the all conditions. This result implies that Korean verbs' stem and pre-final ending might not be stored in the mental lexicon as a decomposed form. However, it does not demonstrate whether Korean verbs are stored in the mental lexicon as a whole form. We conducted a cued-production task as experiment 2, to exam how the stems and pre-final endings of Korean verbs are stored in mental lexicon. We modified the frequency of stems and stem/pre-final endings(from stems to pre-final endings) and controled the frequency of Eojoels which were low.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change base verbs according to cues which indicated a past or future form. The result showed that participants were faster in the high frequency stems than the low frequency stems in the condition which used low frequency Eojoels and pre-final endings. Also participants were slower in high frequency than in the low frequency pre-final endings in the condition used the high frequency Eojoels. It suggests that if the frequency of stem/pre-final endings are high, the stems and pre-final endings may be stored as whole forms, whereas if the frequency of stem/pre-final endings are low, they may be represented decomposable forms in the mental lexicon.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requency of an whole Eojoel might influence the result of experiment 2, because we used only the low frequency of whole Eojoels. Therefore, we carried out experiment 3 which contained both high and low frequency of whole Eojoels and used stem/pre-final endings of which the frequency were high. The task of experiment 3 was the same as experiment 2. The result of experiment 3 was that the high frequency of verbs were significantly faster than the low frequency. However, the final endings of all high frequency verbs were '-다(-da)' and most final endings of the low frequency verbs were not. Also, the result of experiment 3 might be attributed to the frequency effect of verb's final ending. To test it we performed co-variance analysis and the result was not significant. It suggests that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2 was not influenced by the frequency effect of whole Eojoels. Therefore, current study supports the model of stem and pre-final endings in the production of Korean verbs.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