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이 중요시되고 있다.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언어에 대한 지식 중심이 아니라 언어의 직접적인 사... 최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이 중요시되고 있다.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언어에 대한 지식 중심이 아니라 언어의 직접적인 사용 중심으로 언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모든 영역이 연계된 통합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읽기는 비교적 수동적인 이해의 측면으로 간주되어서 다른 언어 기능에 비해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다. 하지만 읽기는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통해 정보와 문화를 수용하는 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능이며,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도 체계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 오늘날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읽기는 단순한 독해가 아니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비판적으로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과정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주의 관점에서 읽기를 본다면 읽기 교육에서 학습자인 독자가 스스로 텍스트의 의미를 구축할 수 있도록 읽기 전략을 교수하고,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낼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보다 의사소통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읽기 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상호작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학습 형태로 협동학습을 제안하였고, 실험을 통해 협동학습을 통한 읽기 교육이 어떤 효과가 있는지 살펴본 후 보다 효과적인 읽기 학습 방안을 모색하였다. Ⅱ장에서는 협동학습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협동학습을 통한 읽기 교육이 필요한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재 수업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협동학습 모형을 살펴보고 특히 언어 교육에 적합한 협동학습 모형을 토대로 장∙단점을 분석하여 한국어 읽기 교육에 적합한 협동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Ⅲ장에서는 실험 내용과 절차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고, Ⅱ장에서 설계한 협동학습 모형을 읽기 수업에 실제로 적용하여, 협동학습을 통한 읽기 수업이 교사 중심 읽기 수업보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 향상과 학습자의 읽기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 등의 정의적인 부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협동학습을 할 때 나타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모습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을 통한 읽기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교사 중심의 읽기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 모두 읽기 이해능력에 향상을 보였는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큰 평균 점수 향상을 보였다. 하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실험을 1차 집단과 2차 집단으로 나누어 두 번 실시하였는데, 이 중 2차 집단의 실험에서 협동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교사 중심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세부적 이해를 묻는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매 실험이 끝난 후 실시한 형성평가에 있어서도 세부적 내용 이해를 묻는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읽기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에 대한 평가에서 평균 점수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없었다. 그렇지만 협동학습에 대해 묻는 설문 조사와 일대일 면담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통해 학습자들이 협동학습을 통한 읽기 수업에 매우 흥미가 있고, 읽기에 대한 자신감도 높아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협동학습을 할 때 나타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 개념적 진술이 자신의 생각이나 다른 사람의 생각을 평가하고 조절하고 수정해야 하는 메타인지적 진술이나 질문∙질의 진술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이것은 보다 고차원적인 의미 협상을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협동학습을 통한 읽기 학습이 한국어 읽기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읽기 텍스트를 이해하는 과정에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텍스트를 이해하고 학습하는 활동이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텍스트의 상호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협동학습은 보다 의사소통적이고 활발한 읽기 수업을 가능하게 한다. 학습자들이 주어진 읽기 과제를 수행하는 가운데 다른 학습자와 활발한 상호작용을 하게 되고, 또 이를 통해 읽기 학습에 대한 부담이 줄고 덜 지루하기 때문에 수업에도 좀 더 적극적으로 임하게 된다. 셋째, 협동학습을 통해 읽기와 다른 언어 영역과의 연계가 이루어진다. 과제 수행을 위해 끊임없이 의견을 말하고 듣고 조정하는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 구체적인 실험을 하지 않았지만, 협동학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말하기와 듣기, 쓰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