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had brought the erosion of traditional values and cultural unity, various changes appeared in the whole society. Under this condition, while the erosion of the family function is being accelerated, this thesi...
As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had brought the erosion of traditional values and cultural unity, various changes appeared in the whole society. Under this condition, while the erosion of the family function is being accelerated,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parents in the marriage-based immigrant household.
At the time that parent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a supportive and protective system for the children's nursing, this thesis tries to analyse the following questions on the basis of the parents' roles in the marriage-based immigrant household.
First, how is the demographic and social background in the immigrant household?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fathers and mothers‘ perception in the marriage-based immigrant household?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of natives and foreigners‘ perception regarding the role of the parents in the immigrant household?
Through this study, I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on 50 marriage-based couple,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 started the following survey on 450 persons in the marriage-based immigrant household within Incheon Metropolitan City district. The questionnaire is comprised of two kinds of questionnaires include 53 questions in total, one of which contains 17 questions concerning the demographic and social background, and the other of them has 39 questions about roles of both the stimulus for development and the bring-up of children which was developed by Hyeon Misuk. Each questionnaire was made in Korean, Chinese, Vietnamese, English, and Japanese to improve accuracy. The return rate of the questionnaires was 74%, that is, 304 questionnaires except 29 omitted questionnaires.
This thesis was practiced by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T-test on the basis of the SPSS statistics program.
This the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Immigrant mothers and foreigners showed more interest in the role of the stimulus for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than immigrant fathers and natives.
2) Immigrant fathers and natives showed more knowledge about the role of flexibility than immigrant mothers and foreigners.
3) The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were less capable at various fields such as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in Korean language than immigrant fathe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data.
As a result of this following survey, I want to make the effective suggestions on the parents' roles in the marriage-based immigrant household as follows.
First, the steady national aids are needed for the quick adjustment and settlement of the marriage-based immigrants.
Second, the formation for the comfortable life condition is needed for marriage-based immigrant parents and children.
Third, different types of approaches divided by patterns are needed for marriage-based immigrant parents and children.
Finally, the rearrangement of social understanding of marriage - based immigrant family is needed.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발전은 물질적 풍요와 함께 전통적 가치관과 문화적 결속의 해체를 가져오면서 사회 곳곳에 여러 가지 변화를 가져왔다. 전통적 가족기능의 해체 속에 나타난 여러 ...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발전은 물질적 풍요와 함께 전통적 가치관과 문화적 결속의 해체를 가져오면서 사회 곳곳에 여러 가지 변화를 가져왔다. 전통적 가족기능의 해체 속에 나타난 여러 가지 사회 현상 중 본 연구에서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결혼이민자 가정의 부모역할 인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혼이민자 가정의 증가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부모 밑에서 태어난 자녀들의 증가를 의미하며, 현재 발생하고 있는 이들 가정의 여러 가지 문제점은 향후 지속적으로 다양화지고 증가할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동안 결혼이민자가정에 대한 연구는 한국사회의 국제결혼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과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실태와 사례, 가족 중심의 부부의 생활이 문화 충돌에서 오는 여성문제에 대한 연구들이었다. 물론 2005년을 전후하여 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연구주제가 한국사회에서의 여러 가지 차별과 폭력, 농촌국제결혼가족의 생활실태 및 부부의 적응 수준, 부부갈등의 요인 및 갈등대처방안, 이주여성의 차별과 가정폭력, 결혼 이민자의 욕구 및 다른 문화적 가치관과 배경에서 오는 자녀양육의 스트레스와 자녀들의 부적응문제 등이 대부분으로 실제 결혼이민자 가정의 부모역할에 대한 관련 연구는 극히 미약한 실정이다.
결혼이민자가정의 자녀들은 분명히 한국사회의 일원으로서 향후 한국사회를 이끌어갈 인적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의 편견과 차별 속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부모역할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 없이 양육스트레스나 자녀의 부적응문제를 논하고 문제점에 대한 방안을 고민한다는 것은 정확한 수순이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는 자녀양육의 대표적인 지지 체계이자 보호체계로서 매우 그 역할이 중요하며, 부모가 정확하게 자녀에 대한 부모역할을 인식하고 부모역할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 속에 자녀에 대한 여러 가지 양육 및 교육에 대해 이해하고 수용한다면 현재 결혼이민자가정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자녀들의 사회부적응문제는 예방적 차원으로 접근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가정의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을 부모역할 관련 척도를 이용하여 부와 모의 인식 차이점을 알아보고, 내국인과 외국인의 인식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결혼이민자 가정을 위한 여러 가지 정책과 지원을 논의할 때 그들을 위한 근거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결혼 이민자 가정의 인구 사회학적 배경은 어떠한가?
둘째, 결혼 이민자 가정의 부모역할에 대한 부와 모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결혼 이민자 가정의 부모역할에 대한 내국인과 외국인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관내 결혼이민자 가정 부부 50명에 대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결혼이민자 가정 부부 45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결혼이민자가정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의 설문지를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였고, 결혼이민자 가정의 부모역할에 대한 부와 모의 인식 및, 내국인과 외국인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현미숙(2004)이 개발한 부모역할척도 중 발달자극역할과 양육역할 요인을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배경은 17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발달자극역할 요인은 공감, 격려, 증진, 합리적 권위의 4개 하위 요인으로 신뢰도계수는 .84이며, 총 2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양육역할 요인은 융통성, 거부, 수용의 3개 하위 요인으로 신뢰도계수는 .73이며, 총 1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모두 5점 척도다. 따라서 총 문항은 53개로 구성되었으며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설문지를 한국어, 중국어, 베트남어, 영어, 일본어로 제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333부로 회수율이 74%였고 누락분 29부를 제외하고 304부가 본 연구에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교차분석(카이검증),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논의는 다음과 같다.
1) 발달자극 역할에서 결혼이민자 가정의 모와 외국인이 부와 내국인보다 증진 역할에 대해 더 많은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모가 대부분 결혼이민자 가정의 여성이자 외국인이라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결혼이민자 가정의 모와 외국인 여성이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부모역할은 발달자극역할에서는 증진역할이라는 점을 밝힘으로 향후 결혼이민자 가정의 교육 및 관련 프로그램 지원 및 계획에 있어 이들의 이러한 특성을 많이 반영하여 보다 바람직하고 성공적인 부모역할을 할 수 있는 근거를 밝혔다는 점에서 많은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2) 양육 역할에서 결혼이민자 가정의 부와 내국인이 모와 외국인보다 융통성 역할에 대해 더 많은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부가 대부분 결혼이민자 가정의 남성이자 내국인이라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결혼이민자 가정의 부와 내국인 남성이 공통적으로 인식하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