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한국 사회는 다문화시대로 급격히 진행되면서 약 15만 1천명(2014년 11월 통계청 자료)에 가까운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사회 구성원으로 정착하고 살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여성 결혼...
오늘날 한국 사회는 다문화시대로 급격히 진행되면서 약 15만 1천명(2014년 11월 통계청 자료)에 가까운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사회 구성원으로 정착하고 살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이 없이 빠른 시간 안에 사회 구성원으로 들어와 정착해야 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어의 정확성과 유창성은 매우 절실하다.
본 연구는 원활한 의사소통의 전략적인 요소로 사용되는 담화표지가 여성 결혼이민자들에게 어떠한 기능으로 실현되는지 관찰하고, 담화 유형별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명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실제 구어 발화 자료를 대상으로 연구된 담화표지가 미흡함을 살펴보고 필요성을 제시했으며, 그동안의 연구들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반이 되는 담화표지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국내에서 논의된 연구들을 중심으로 담화표지의 개념과 특징, 유형과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고 기존의 연구들을 정리하고, 담화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수집된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발화 자료를 토대로 전체적인 담화표지 사용 빈도를 분석하고, 담화표지의 기능을 담화와 담화를 결속하는 기능과 화자와 청자를 결속하는 기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담화표지 결속의 기능이 담화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 화자의 여성 결혼이민자는 모어 화자와 유사하게 담화표지를 사용하여 다양한 담화 전략을 구사한다. 이는 담화표지가 자신의 발화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담화와 담화를 결속시키며, 자신의 심리적 태도를 청자에게 전달하여 화자와 청자를 결속시키는 기능으로 담화표지를 사용한다.
셋째,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담화표지는 담화를 지속시키고, 화자와 청자를 결속시키는 장치로 새롭고 다양한 의미 기능을 가지며, 담화의 유형에 따라 담화표지의 실현 형식이 같더라도 내재된 화용적 의미가 다르게 나타난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를 정리하고, 한국어 교육에서 담화표지의 기능 연구가 더욱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담화표지의 교육을 제언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