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中國 延邊 龍井 地域語의 조사와 어미들에 대한 형태론적, 음운론적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지역어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제보자에 대한 현지조사를 바탕으...
이 논문은 中國 延邊 龍井 地域語의 조사와 어미들에 대한 형태론적, 음운론적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지역어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제보자에 대한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이 지역어에서 보이는 조사와 어미의 목록과 체계를 밝히고 이들 조사와 어미가 어간과 통합될 때 나타나는 음운현상을 기술하였다.
이 논문은 곡용에 참여하는 조사와 보조사, 활용에 참여하는 연결 어미, 종결 어미, 선어말 어미, 전성 어미 등의 목록을 확인하고 다양한 통합관계의 규명, 제약 조건의 명시, 문법적 역할의 구체화를 중심으로 조사와 어미의 체계를 수립하였다.
2장에서는 조사를 격조사와 보조사로 나누어 이들의 용법과 목록을 확인하였다. 이 지역어에서 확인된 격조사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주격 조사 ‘-이’, 대격 조사 ‘-으/르/ㄹ’, 속격 조사 ‘-에’, ‘-으’, 처소격 조사 ‘-에’, ‘-에서/서’, ‘-에다(가)/다(가)’, 여격 조사 ‘-ㄴ데/인데’, ‘-에게(다)/이게(다)’, ‘-보구’, 구격 조사 ‘을르/ㄹ르/ㄹ’, 공동격 조사 ‘-가/까’, ‘-이라메/라메’, 비교격 조사 ‘-보다’, ‘-마이’, ‘-마’, ‘-처리’, 인용격 조사 ‘-이라구/라구’, 호격 조사 ‘-아/야’, ‘-이’, ‘-에’, 원인격 조사 ‘-을래(서)’ 등이 확인되었다. 보조사는 문법적 의미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조의 의미를 나타내는 ‘-으느/느’, 한정을 나타내는 ‘-마’, ‘-댈르’, 포함을 나타내는 ‘-두’, ‘-아부라’, ‘-꺼지’, 시작을 나타내는 ‘-부터’, 도달을 나타내는 ‘-꺼지’, 선택을 나타내는 ‘-이나/나’, 양보를 나타내는 ‘-두’, 강조를 나타내는 ‘-이사/사’, 균일을 나타내는 ‘-마다’, 부정을 나타내는 ‘-크녕’ 등의 용법을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이 지역어의 종결 어미, 연결 어미, 선어말 어미, 전성 어미의 목록과 용법을 확인하였다. 종결 어미는 먼저 문체법에 따라 ‘평서, 의문, 청유, 명령’으로 나누고 다시 대우법에 따라 ‘존대, 평대, 하대’ 3가지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이 지역어에서 확인된 평서형 종결 어미에는 ‘-읍구마/습구마’, ‘-음니다/슴니다’, ‘-읍더구마/습더구마’, ‘-우/소’, ‘-읍데/습데’, 의문형 종결 어미에는 ‘-음두/슴두’, ‘-음까/슴까’, ‘-읍덤두/습덤두’, ‘-음다/슴다’, ‘-우/소’, ‘-읍데/습데’, ‘-으라우/라우’, ‘-나’, ‘-니’, ‘-데’, ‘-아(어)래’, ‘-으까’, 청유형 종결 어미에는 ‘-깁소’, ‘-기쇼’, ‘-으꿰/스꿰’, ‘-기우’, ‘-기요’, ‘-자’, 명령형 종결 어미에는 ‘-읍소’, ‘-으쇼’, ‘-우/소’, ‘-아(어)라/라’, ‘-나라’, ‘-아(어)래라/래라’ 등이다. 연결 어미는 의미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나열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에는 ‘-구’, ‘-으메/메’, ‘-으멘서/멘서’, 대조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에는 ‘-은데/는데’, ‘-디(지)마느’, ‘-으나/나’, 선택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에는 ‘-거나’, ‘-등지’, ‘-등가’, 배경의 의미를 나타내는 ‘-는데’, ‘-으이’, 원인을 나타내는 ‘-어/아서’, ‘-으이까’, ‘-느라구’, 조건을 나타내는 ‘-으무/무’, ‘-거덩’, ‘-자무’, ‘-드라무’, 결과를 나타내는 ‘-게’, 양보를 나타내는 ‘-아(어)두’, 선행을 나타나내는 ‘-구’, ‘-구서’, ‘-자마자’, ‘-다(가)’, 상황을 나타내는 ‘-다나이’, ‘-덩게’, ‘-데이’, 목적을 나타내는 ‘-자구’, ‘-자무’, ‘-을라/ㄹ라’ 등이 있었다. 선어말 어미는 ‘-갰-’, ‘-았/었-’, ‘-댓-’, ‘-더-’, ‘-으랬/랬’ 등이 확인되고 전성 어미는 ‘-기’, ‘-음/ㅁ’, ‘-을’, ‘-은/ㄴ’, ‘-는’이 확인되었다.
4장에서는 곡용과 활용에서의 음운현상을 교체, 첨가, 탈락, 축약으로 분류하여 기술하였다. 교체에는 자음동화, 평폐쇄음화, 경음화, 원순모음화, 움라우트, 활음화, 완전순행동화 등의 음운 과정들이 존재하고 첨가에는 활음 ‘w’ 첨가가 존재하였다. 탈락에는 자음군단순화, ‘ㅎ’탈락, ‘ㄹ’탈락, 어간말 ‘으’탈락, 어미초 ‘으’탈락, 어간말 ‘ㅇ’탈락, 어간말 ‘ㄴ’탈락, 활음 탈락 등의 음운 과정들이 존재하고 축약에는 ‘ㅎ’축약과 모음 축약 등의 음운 과정들이 존재하였다.
이 지역어에서 특징적인 것은 조사와 어미의 형태가 중부 방언과 다르고 특히 어미의 용법 등이다. 즉 대우법 등급이 종결 어미의 형태에 반영되어 있고 종결 어미의 사용이 화자 계층의 영향을 받는 등 점에서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음운현상에서 특징적인 것은 활음화가 곡용에서도 나타나고 어간말 ‘ㄴ’탈락, ‘ㄹ’탈락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점이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